팔음지맥 5구간[원당교-가운데날산--당재-철봉산(449.5m)-금강2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14.6km .5시간 35분.
보청천과 금강두물머리의 원당교-469.8m 삼각점봉-가운데날산(446m)-345m-토끼재(금정고개)-당재(505번도로)-407m봉-
365.5m삼각점봉-374m-343m-447m-말목재-철봉산(鐵峰山.449.5m)-분지벌고개-고수봉(해맞이산. 297m)-216m-금강2교.
원당교-1.8km-430m-0.5km-469.8m삼각점봉-0.4km-가운데날산(446m)-2km-토끼재(금점고개.505번도로)-1.5km-당재(505번도로)-
0.8km-410m-1.5km-365.5m삼각점봉-0.5km-374m봉-1.3km-430m-1.3km-447m봉-0.5km- 철봉산(449.5m)-1.3km-고수봉(해맞이산 297m)-1.2km-금강2교
◈ 일시: 2011. 05. 08(일).
◈날씨: 금년들어 가장 더워30도 가까이되나 바람 한 점 없이 더움.
◈ 인원:20명. 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 최평칠님.고광의님.정영옥님.곽병태님.강형태님.김권봉님.정한규님.이성개님.
강동범님.안수영님. 청산은님. 권순창님.이정세님.주기현님.미도리산님 외 2인.나.
◈ 지도.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팔음지맥 5구간[원당교-가운데날산--당재-철봉산(449.5m)-금강2교](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팔음지맥 5구간[원당교-가운데날산--당재-철봉산(449.5m)-금강2교](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팔음지맥 5구간[원당교-가운데날산--당재-철봉산(449.5m)-금강2교](終).지도 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9 ; 23/25. 원당교.575번도로.보청천이 금강에 합류점.40여m가서 우측능선으로.
10 ; 10. 힘들게 길게 올라간 능선분기봉. 우측 430m을 보며 내려감.허름한 묘1기.
10 ; 29/32. 469.8m봉 삼각점(74.9 복구.건설부 308).당재와 410m봉,깃대봉,쇠말봉조망.
10 : 37. 가운데날산(446m).보도블럭참호.좌측능선이 실하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가다다시우측으로 내려감. <주의>
10 ; 50. 세멘길임도.여양진씨세거비와 납골당.깃대봉,쇠말봉,금강4교조망.도로따라감.
11 ; 08. 토끼재(금점고개).2차선 505번도로.삼거리.마을집 몇 채.앞 깃대봉은 지난번에 지났으니바로당재로 감.
11 ; 13. 메쥐골날망 조망처에서 주변조망.
11:16. 당재.505번도로.영동군 심천면과 옥천군 청성면 경계.우측 세멘길따라 올라감.
11 : 30.긴계단을올라간 407m봉 SK 당재기지국.우측으로 감.
11 : 35/11 : 50. 410m밑에서 점심.
11 : 54. 410m. 좌측 군경계능선길이 좋으나 직진해 넘어감.<주의>
12 : 02. 395m 분기봉. 잔솔밭이 빼곡한봉에서 뚝 떨어져 내려감.
12 : 19. 365.5m 삼각점(보은 478. 1980 재설).평지능선 잡목속에 있음.영진지도는 306.5m로 잘못표기.
12 ; 30. 길게 올라간 374m.솔밭에서 좌측 능선길 좋으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주의>
12 ; 39. 쭈욱 내려간 안부.좌우로 하산길. 넓직한 임도흔적.
13 : 03. 343m봉.전봉은 우측으로 건너가고 343m은 좌측으로 건너간다.
13 ; 27. 447m.보도불럭 개인호.좌로 꺽어 내려감.철봉산이 건너편에 보임.금강조망.
13 ; 44. 철봉산(鐵峰山449.5m)/52. 삼각점과 정상표석. 철봉산 유래비.조망좋아 온길 갈길과 금강조망.
13 : 59/14 : 00. 앞둔덕봉에서 금강과 장령지맥조망.
14 ; 03. 내려서며 금강과 금강휴게소조망.
14 : 16. 로프잡고 내려간 분지벌고개 안부.좌측으로 하산길.
14 ; 26/33. 고수봉( 해맞이산. 297m). 오름길이 표고 110m을 단번에 올리는 급경사임.좌측으로 내려감.오늘 지나온길이 한눈에 보임.
14 : 52.금강2교.폐고속도로.철봉산등산안내도.버스는 강 건너에 있음 .
15 : 00. 강 건너에서 산행종료.
15 ; 35~16 ; 35. 금강휴게소뒤에서 두부전골에 도리뱅뱅이(정한규님제공)로 저녁먹고 출발.
18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원당교-가운데날산(446m)-당재. 6.2km. 1시간 50분.
08 ; 00. 천안에서 합류.
09 ; 23/25. 원당교.575번도로.보청천이 금강에 합류점.40여m가서 우측능선으로.
10 ; 10. 힘들게 길게 올라간 능선분기봉. 우측 430m을 보며 내려감.허름한 묘1기.
10 ; 29/32. 469.8m봉 삼각점(74.9 복구.건설부 308).당재와 410m봉,깃대봉,쇠말봉조망.
10 : 37. 가운데날산(446m).보도블럭참호.좌측능선이 실하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가다다시우측으로 내려감. <주의>
10 ; 50. 세멘길임도.여양진씨세거비와 납골당.깃대봉,쇠말봉,금강4교조망.도로따라감.
11 ; 08. 토끼재(금점고개).2차선 505번도로.삼거리.마을집 몇 채.앞 깃대봉은 지난번에 지났으니바로당재로 감.
11 ; 13. 메쥐골날망 조망처에서 주변조망.
11:16. 당재.505번도로.영동군 심천면과 옥천군 청성면 경계.우측 세멘길따라 올라감.
5회에 걸친 팔음지맥 마지막구간이다. 당재에서 금강2교까지 남은 거리가 짧고 보청천(報靑川.72.1km)이 금강에 드는 합수점이 궁금해서
두물머리인 원당교에서시작하여 가운데날산을 거쳐 토끼재,깃대봉,당재를 연결하기로 하니 도상거리 약 15km 가까이 된다.
금강휴게소 금강 IC로 나가서 금강을 따라 9번군도를 쭈욱 올라가면 보청천을 건너는 원당교가 나온다.
원당교앞에서 하차하여 바로 능선으로 붙으면 좋겟는데 엘도라도란 찻집인듯한 집이 있어 다리를 건너지 않고
우측 보청천갓길로 3,40m들어가선 우측 능선으로 붙었다.원당교 다리를 건너가면 575번도로로 우측은 청성,좌측은 안남,안내다.
흐릿한 족적따라 한오름 올라서 첫둔덕봉을 넘어서면 430m,469.8m,가운데날산이 저앞에 보이고 길은 좀 나아진다.
380m봉 분기봉까진 계속오름길인데 가끔 좌측으로 깊은 보청천이 내려다 보이긴하지만 길고 지루한오름길인데
날이더워눈이따갑게땀이흐른다.
원당교에서 45분 올라가면 좌측으로380m봉이분기하는분기봉엔 허름한 묘지가 있고 우측에 430m보이 건너다 보인다.
우측으로 꺽어 살짝 내려섯다 오른면430m봉이고430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서섰다 오르면 469.8m봉인데
430m에서 14분정도 걸리고 469.8m봉 삼각점(74.9 복구.건설부 308)에선 당재와 407m과 깃대봉이 건너다 보인다.
가운데날산(446m)엔 보도블럭으로 된 개인호같은 참호가 있고 좌측능선이 실하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다
내림길에다시우측으로 내려가면 바로 좌측에서 온 묘지길이 나오고 좌측으로 깃대봉과 토끼재,당재도로가 보인다.
묘지길따라 조금 나가면 납골당과 여양진씨세장비가 나오고 좌측 토끼재부터 온 세멘길이 우측 고현마을쪽으로 가고 있다.
조망이 트여 우측으론 경부고속도로와 금강이 내려다보이고 좌측으론 쇠말봉능선이 보인다.
능선위로 난 세멘 임도를 따라 345m은 좌측으로 살짝 비켜가고 옥천3터널위는 어딘지도 모르게 지나가고
좌측으론지난번에줄곳보이던 통신탑과 군부대가 있는 국사봉과 쇠말봉이보이고좀나오면당재뒤의407m봉부터 가야할 맥능선이 다 보인다.
통신탑을 지나 토끼재에 내려오면 토끼재는 높이가 250m는되는 제법높은 고개인데 집이 몇 채 있고 양쪽은 깊은 계곡인데
우측 밑엔 움푹파인 함지박 안에 집들이 보이는데 지도는 뫼쥐골로 적고 있다.
토끼재에서앞의 깃대봉은지난번에내려왔으니 생략하고 도로따라 당재로 바로 건너갔는데 8분쯤 걸린다.
당재는 505번도로가 지나고 영동군 심천면과 옥천군 청성면경계로 표고 260m쯤 되는 높은 고개인데
절개지 우측에도로개설비가있고바로앞봉인407m봉의SK당재기지국으로오르는 세멘길 따라 올라간다.
09 ; 23/25. 원당교.575번도로.보청천이 금강에 합류점.
09 ; 23/25. 원당교에서본 보청천.
09 ; 23/25. 원당교에서본 보청천이 금강에 합류하는모습.
09 ; 23/25. 원당교에서뒤 돌아 본 팔음지맥의 끝.
찻집인듯한 엘도라도 집뒤로 올라야하나 오를 수 없어 우측으로 40여m가서 우측으로 붙는다.
찻집인듯한 엘도라도 집뒤로 올라야하나 오를 수 없어 우측으로 40여m가서 우측으로 붙는다.
첫 둔덕봉을 넘어서며 본 430m(좌),469.8m삼각점봉,가운데날산(446m.우).
10 ; 29/32. 469.8m봉 삼각점(74.9 복구.건설부 308)에서 좌측으로 본 국사봉(안테나있는봉).
10 ; 29/32. 469.8m봉 삼각점(74.9 복구.건설부 308).
10 : 37. 가운데날산(446m).
보도블럭참호있고 좌측능선이 실하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다다시우측으로 내려간다. <주의>
가운데날산(446m)을 내려간 안부에서 좌측으로 본 깃대봉(좌),토끼재과 당재위의 407m봉과 410m봉.
10 ; 50. 차잇는 세멘길임도에 여양진씨세장비가있다.
10 ; 50. 세멘길임도에서 여양진씨세거비뒤로 보이는 납골당과 가운데날산.
10 ; 50. 세멘길임도의 여양진씨세거비뒤에서 우측으로 본 금강휴게소와 가야할 철봉산(좌측 높은봉)과 터널위의 고수봉(해맞이산).
이런 세멘길 임도가 능선위로 토끼재까지 이어진다.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좌측으로 본 국사봉(448.7m.좌)과 쇠말봉(394m.가운데뒷봉).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우측으로 본 407m봉(좌)의 통신탑과 410m봉(중),395m봉(우).1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우측으로 본 395m봉(좌)과 철봉산(중).2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우측으로 본 철봉산(449.5m. 중.제일높은봉)과 고수봉(해맞이봉.297m.고속도로터널위봉).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본 토끼재위의 깃대봉(424m)
세멘길 임도따라 토끼재로 가면서 옥천터널위에서 우측으로 본 9번도로와 금강휴게소와 철봉산(449.5m. 좌측 제일높은봉)과 고수봉(해맞이봉.297m).
토끼재 근방에서 본 당재와 407m,410m봉.
토끼재 좌측 아래모습.
11 ; 08. 토끼재(금점고개).
2차선 505번도로.삼거리.마을집 몇 채.앞 깃대봉은 지난번에 지났으니바로당재로 갔다.
11 ; 08. 토끼재(금점고개)에서 당재가는길.
11 ; 13. 메쥐골날망 조망처에서 뒤 돌아 본 토끼재와 가운데날산.
11 ; 13. 메쥐골날망 조망처에서 내려다본 메쥐골(뫼쥐골)모습.
11:16. 당재.505번도로.
영동군 심천면과 옥천군 청성면 경계.우측 세멘길따라 올라간다.
※ 당재-374m봉-철봉산(449.5m). 5.9km.2시간 13분.
11:16. 당재.505번도로.영동군 심천면과 옥천군 청성면 경계.우측 세멘길따라 올라감.
11 : 30.긴계단을올라간 407m봉 SK 당재기지국.우측으로 감.
11 : 35/11 : 50. 410m밑에서 점심.
11 : 54. 410m. 좌측 군경계능선길이 좋으나 직진해 넘어감.<주의>
12 : 02. 395m 분기봉. 잔솔밭이 빼곡한봉에서 뚝 떨어져 내려감.
12 : 19. 365.5m 삼각점(보은 478. 1980 재설).평지능선 잡목속에 있음.영진지도는 306.5m로 잘못표기.
12 ; 30. 길게 올라간 374m.솔밭에서 좌측 능선길 좋으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주의>
12 ; 39. 쭈욱 내려간 안부.좌우로 하산길. 넓직한 임도흔적.
13 : 03. 343m봉.전봉은 우측으로 건너가고 343m은 좌측으로 건너간다.
13 ; 27. 447m.보도불럭 개인호.좌로 꺽어 내려감.철봉산이 건너편에 보임.금강조망.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 삼각점과 정상표석. 철봉산 유래비.조망좋아 온길 갈길과 금강조망.
당재에서 세멘길 따라 올라가 세멘길이 끝나는곳엔 소형차 몇 대는 주차할 공간이 있고
여기서 부터 407m봉 통신탑까진 긴 세멘 계단길이 이어지고 통신탑은 우측으로 돌아간다.
407m봉에서우측으로꺽어내려가410m밑에서점심을먹고
410m에선좌측 군경계능선으로 건너가는 사면길이 좋으나 직진해 넘어간다. 무심코 길따라가면 군경계능선으로 간다.
바위가 듬성듬성있는 둔덕을 넘어 잔솔밭이 빼곡한 395m 능선갈림봉에서 살짝 좌틀해서 내려가
굴곡없는 능선을 쭈욱가면 봉같지 않은 평지능선에 365.5m삼각점(보은 478)이 있는데 영진지도는 306.5m로 잘못 표기하고 있다.
오름길을 길게 올라가 374m봉에서 직진해 넘어가는데 역시 좌측능선이 실하고 맥길은 흐릿해서 자칫하면 알바하기 쉬운곳이다.
당재 이후론 조망도 없고 특별한 지형지물도 없이고만고만한능선길이라현위치파악이어렵다.
374m봉에서쭈욱내려간안부는좌우로하산길이있고전엔임도가있었는지고개 앞뒤는 절개지다.
지도상의 좌측 기탄저수지와 우측 내촌마을을 잇는 고개다.
남서방향에서 북동방향으로 꺽어지는 둔덕봉을 우측 사면으로 건너가선 다음 343m을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
서북방향으로 길게 올라가는데 여기가 정점이니가 싶은면 또 오르고 다 올라왔나 싶으면 또 올라간다.
좌측 금강이 휘돌아가는 탕근봉(326m)능선이 분기하는 면경계봉까지가야오름길은끝이나고 우틀하며 내려서면
앞에 447m봉이 건너다 보이고 살짝 올라서면 좌측으로 철봉산이 오랜만에 건너다보인다.
447m봉에도 보도불럭 참호가 있고 좌측으로 금강이 내려다 보이고 건너편의 철봉산이 당재이후론 처음으로 보인다.
철봉산 된비얄오름길이 기운을쏙빼고철봉산정상은넓은헬기장에삼각점과정상표석과철봉산 유래비를적은비가 있고
조망이 좋아 금강건너 장령지맥의 산들과 보청천건너 팔음지맥의 산들과 오늘 지나온 산들이 쭈욱 보인다.
삼각점은 흰 페인트를 발라 글자는 알수없고 철봉산의원 이름은 달이 드기직전과 직후 그빛이 우린다하여 달우리산불렀으며
정월 대보름 망월일에 이산의 어느봉에 달이 뜨느냐에따라 그해의 길흉을 예측하였단다.
임진란때 명나라 장수들이 이산의 산세가 수려한 명산으로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되어 명나라에 해가 될것을우려하여
정기를 끊고자 쇠말뚝을 박았다하여 철봉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유래비는 적고 있다.
11 : 30.긴계단을올라간 407m봉엔 SK 당재기지국이 있고 철망 우측으로 돌아간다.
11 : 54. 410m.
좌측 군경계능선길이 좋으나 직진해 넘어간다.<주의>
12 : 19. 365.5m 삼각점(보은 478. 1980 재설)봉오름길의 우측모습.
365.5m 삼각점(보은 478. 1980 재설)은 평지능선 잡목속에 있고 영진지도는 306.5m로 잘못표기하고있다.
12 ; 30. 길게 올라간 374m에서 최고령이신 오세춘님(76세. 우)과 강형태 요맥회 회장님(좌).
솔밭에서 좌측 능선길 좋으나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 <주의>
447m봉에서 본 철봉산(鐵峰山449.5m)과 뒤로 고수봉( 해맞이산. 297m).
13 ; 27. 447m 정상모습.
보도불럭 개인호가 있고 좌로 꺽어 내려간다.
13 ; 27. 447m 정상에서 좌측으로 본 금강과 큰물산(303m.좌)과 동이농공단지.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에서 뒤 돌아 본 447m봉.1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에서 뒤 돌아 본 447m봉 우측뒤로 보이는 각호지맥.2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에서 좌측으로 본 금강과 큰물산(303m.)뒤로 보이는 장령지맥.3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서 앞쪽 우측으로 본 금적지맥.4.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서 우측으로 본 금강휴게소(좌측앞쪽)와 옥천 2,3터널과
뒤로 오늘 지나온 430m-삼각점봉(중)-가운데날산-토끼재능선.
13 ; 44/52. 철봉산(鐵峰山449.5m)헬기장서
좌측부터 나, 청산은님, 오세춘님,정영옥님.강형태님은 사진찍음.
철봉산(鐵峰山449.5m)유래비.
철봉산의원 이름은 달이 드기직전과 직후 그빛이 우린다하여 달우리산불렀으며
정월 대보름 망월일에 이산의 어느봉에 달이 뜨느냐에따라 그해의 길흉을 예측하였단다.
임진란때 명나라 장수들이 이산의 산세가 수려한 명산으로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되어 명나라에 해가 될것을우려하여
정기를 끊고자 쇠말뚝을 박았다하여 철봉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유래비는 적고 있다.
철봉산(鐵峰山449.5m).
※ 철봉산(449.5m)-고수봉(해맞이산.297m)-금강2교. 2.5+0.5km. 1시간 8분.
13 ; 44. 철봉산(鐵峰山449.5m)/52. 삼각점과 정상표석. 철봉산 유래비.조망좋아 온길 갈길과 금강조망.
13 : 59/14 : 00. 앞둔덕봉에서 금강과 장령지맥조망.
14 ; 03. 내려서며 금강과 금강휴게소조망.
14 : 16. 로프잡고 내려간 분지벌고개 안부.좌측으로 하산길.
14 ; 26/33. 고수봉( 해맞이산. 297m). 오름길이 표고 110m을 단번에 올리는 급경사임.좌측으로 내려감.오늘 지나온길이 한눈에 보임.
14 : 52.금강2교.폐고속도로.철봉산등산안내도.버스는 강 건너에 있음 .
15 : 00. 강 건너에서 산행종료.
15 ; 35~16 ; 35. 금강휴게소뒤에서 두부전골에 도리뱅뱅이(정한규님제공)로 저녁먹고 출발.
18 : 00. 천안도착.
철봉산(鐵峰山449.5m)을 내려서 바로앞 둔덕봉에가면 다시한번 휘돌아 온 금강이 시원하게 내려다보이고
그뒤론 장령지맥의 도덕봉쪽이 조망되고 앞쪽엔 팔음지맥의 마지막봉인 고수봉(해맞이산 297m)이 송곳처럼 빨딱 솟아 있다.
몇발짝 내려서면 이번엔 우측으로 금강유원지와 오늘 지나온 가운대날산부터 당재쪽이 건너다 보인다.
로프가 길게 늘어진 비탈길을 내려가면 지도상의 분지벌고개로 좌측으로 뚜렷한 하산길이 있고
바로 앞봉이 고수봉인데 오름길이 대단히 가파르다.여기서 후미가좌측으로 하산을했는데 결과는
강가쪽으론 길이없어 멀리 우회를해서 강을 건너 오느라 더 고생을 했다.
된비얄을 올라가면 지도상의 고수봉인데 해맞이 산 표석이 있고 맥은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방금 내려온 철봉산과 금강휴게소뒤로 아침에 오른 가운데날산과 당재쪽이 뒤돌아 보인다.
금강을 좌측 발밑으로 내려다보며 20여분 내려가면 금강을 건너는 금강2교앞에서 팔음지맥이 끝난다.
금강2교는 구경부고속도로로 금강휴게소와 금강IC로 연결되고 입구엔 철봉산 등산안내도가 있다.
금강2교로 금강을 건너 금강과 고수봉을 뒤돌아보며 팔음지맥을 마친다.
13 : 59/14 : 00.철봉산 앞 둔덕봉에서 본 금강과 고수봉( 해맞이산. 297m)과 팔음지맥의 끝자락모습.
13 : 59/14 : 00.철봉산 앞 둔덕봉에서 본 금강과 큰물산(303m.)과 뒤로 장령지맥.
13 : 59/14 : 00.철봉산 앞 둔덕봉에서 좌측발밑으로 본 금강의 물놀이 배들.
13 : 59/14 : 00.철봉산 앞 둔덕봉에서 우측 발밑으로 본 금강휴게소와 경부고속도로.
13 : 59/14 : 00.철봉산 앞 둔덕봉에서 우측으로 본 금강휴게소와 오늘 지나온 나온 430m-삼각점봉(중)-가운데날산-토끼재-당재-374m봉.
고수봉( 해맞이산. 297m).
보기와는 다르게 고도 110m정도를 단번에 올려채야하는 급경사다.
14 ; 26/33. 고수봉( 해맞이산. 297m).
오름길이 표고 110m을 단번에 올리는 급경사이고 좌측으로 내려가며 오늘 지나온길이 한눈에 다 보인다.
14 ; 26/33. 고수봉( 해맞이산. 297m).에서 본 금강휴게소와
뒤로 오늘 지나온 나온 430m-삼각점봉(중)-가운데날산-토끼재-당재-374m봉.
14 ; 26/33. 고수봉( 해맞이산. 297m)에서 뒤 돌아 본 철봉산(우)-374m봉-410m봉(좌측 벌목봉).
고수봉( 해맞이산. 297m) 다음 둔덕에서 본 팔음지맥의 끝자락과 멀리 장령지맥.
고수봉( 해맞이산. 297m)을 내려와 다음 둔덕에서 뒤 돌아 본 금강.
14 : 52.지맥의 긑 지점인 금강2교 폐고속도로.
14 : 52.금강2교에서 우측 금강휴게소쪽모습.
14 : 52.금강을 건너는 금강2교.
강건너에 우리의 버스가 보인다.
14 : 52.지맥의 끝자락인등산로입구에있는등산안내도.
금강 건너에서 본 고수봉( 해맞이산. 297m)과 경부고속도로.
금강 건너에서 본 팔음지맥의 긑자락과 금강2교.
금강휴게소에서 본 철봉산(鐵峰山449.5m.우)과 447m봉(좌)
금강휴게소에서 본 금강.
◈ 귀로.
분지벌고개에서 좌측으로 하산한 후미가 오는대로 금강휴게소뒤의 대구식당에서 두부전골과 정한규씨가 산 도리뱅뱅이로 저녁을 먹고
금강 IC로 들어가 대전근교에서 잠시 정체되고1시간반만에 천안에 오니 6시가 됐다.
< 팔음지맥 終 >
달인클럽은 5월 22일 부터 2,4주 일요일에 작약지맥을 이어갑니다.
'ㅍ,ㅎ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기맥 첫구간 (두로봉-비로봉-호령봉-계방산-운두령). (0) | 2011.08.17 |
---|---|
한강기맥은 ? (0) | 2011.08.17 |
팔음지맥 4구간[밤재-영동터널위-쇠말봉-당재(505번도로)]. (0) | 2011.04.26 |
화원지맥 5구간(사동고개-운거산(318m)-당포재-매봉산-깃대봉-목포구등대) (終).1 (0) | 2011.04.19 |
팔음지맥 3구간[삼방리(장누골)-별재-천금산(465m)-샘터재-천관산(445m)-밤재].1 (0) | 201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