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ㅊ, ㅌ 기맥,지맥.

칠갑지맥 2구간[마재터널-백토고개-문드레미고개-명덕봉-창현(금강)](終).

칠갑지맥 2구간[마재터널-백토고개-문드레미고개(39번도로)-명덕봉-창현(금강)](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17km .7시간10분.

마재터널(2차선도로)-410m(묘)-임도-359m(주의)-248.4m삼각점-백토고개 2차선도로-254m(통일기원비)-180m-171m-
문드레미고개 39번도로-(공주-서천고속도로)-136.4m삼각점봉-포장도로(축사)-명덕봉(168.7m 동판 대삼각점)-
유례고개(포장도로.우리 F&B공장)-123m-104m-645번도로(청흥버섯)-마지막봉-금강뚝.

◈ 일시: 2011. 01. 27(목).

◈날씨: 천안지방이 아침영하 14.3도로 쌀살하고 산엔 잔설이 있음.

◈ 인원:홀로

◈ 지도.

 

 

칠갑지맥 2구간[마재터널-백토고개-문드레미고개(39번도로)-명덕봉-창현(금강)](終).지도 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칠갑지맥 2구간[마재터널-백토고개-문드레미고개(39번도로)-명덕봉-창현(금강)](終).지도 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칠갑지맥 2구간[마재터널-백토고개-문드레미고개(39번도로)-명덕봉-창현(금강)](終).지도 3.

 

 

◈ 일정정리.

07 ; 15/08 : 15. 천안에서 공주(5000원)버스.
08:25/55. 공주에서 정산(2300원)버스.
09 ; 06/08.정산에서택시로 마재터널앞 도착(10000원).
09 ; 15. 마재터널위 주능선.
09 ; 46. 410m(묘).30여m 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55. 403봉. 좌측사면으로 건너가고 간별목들이 널려있다.
10 : 02. 임도.우측으로 오르고 359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0 : 16. 359m봉.납작묘. 길좋은 좌측이 아니고 길없는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10 : 31. 248.4m삼각점.
10 : 48. 백토고개. 2차선 2번도로.낙지리 마을표석. 좌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른다.

11 : 03. 214m봉. 잡목.살짝 좌틀해서잡목을 내려간다.
11:12.안부지나면 좌측으로백토고개와지나온능선이보인다.
11 ; 24. 254m봉. 통일기원비.밀양박공묘.밤나무밭시작.밤나무밭에서 조망좋아 계룡산까지 다보인다.
11 ; 40. 220m봉. 정점에서 좌측 잡목으로 .
12 : 01. 180m봉. 묵은 밤나무밭위.멀리 가야할 지맥길과 지맥의 끝자락이 어림된다.
12 : 16. 171m봉. 좌측 벌목지 뒤로 고속도로의 높은교각들이보인다. .
12 : 30. 밤나무밭끝봉.지나갈 고속도로 굴다리와 갈길조망.
12 : 45/55. 문드레미고개.39번도로.양쪽이 높은 절개지.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넘어갔다.
13 : 09. 공주-서천 고속도로굴다리.
13 : 14/32. 136.4m전안부.고속도로 굴다리옆.영진지도의 문드레미고개.풍성 뿌리박사 시험포장팻말. 점심.


13 : 46. 지독한 잡목뚫고 올라간 136.4m삼각점봉.
13 ; 58. 능선끝까지 나와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14 ; 07. 포장도로.우사있고 좌측 가까이에 2번도로와 인화달천이 보인다.
14 ; 28. 명덕산중턱의 조망처.뒤로 지나온 지맥이 조망된다.
14 ; 37/8. 명덕산(168.7m).대삼각점.계룡산,칠갑산조망된다.
14 ; 39. 넘어서며 묘지에서 갈길 짚어보고 우측으로 내려가 건너편 묘지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5 : 00. 유례고개 포장도로. 우측에 우리 F&B공장.맥은 앞쪽 높은 언덕쪽이 아니고 좌측 철계단능선이다.

15 ; 07. 114m봉 묘.능선좌측은 밤나무밭.
15 : 12. 건너편 밤나무밭끝봉에서 우측으로간다.
15 : 21. 123m 리기다 소나무숲을 넘어간다.
15 : 24. 갈림길에서 좌측 계곡 같은곳으로 내려가면 계단식 묘지터가 나온다.
15 ; 36. 104m봉갈림길.묘지에서 좌,우능선이 아닌 직진해 넘어간다.
15 ; 49. 63m봉.넘어쪽에 묘지들이 있고 왕지리와 지맥의 끝봉이조망된다.
15 ; 56. 645번도로.청흥버섯영농조합.길건너슈퍼옆길로 오른다.
16 ; 08. 마지막봉.밤나무밭.넘어서면 합수점과 금강이조망된다.
16 ; 17. 금강제방둑에서 금강과 합수점조망.
16 : 40/17 ; 15.정산 택시불러 정산으로 나옴(13000원)
17 :35/18 :05.정산에서 버스로 공주로 나옴(2300원)
19 : 00. 공주에서 버스로 천안도착.

◈ 산행후기.

공주가는 7시 15분 첫차를 타고 공주로가서 바로 정산가는 버스로 갈아타고 정산에 가니 8시 55분.
줄지어 기다라고 있는 택시중에 지난번에 타고 내려온 차가 있나 찾아보니 안보여 다른차를 타고 마재고개로 가는데
지난번엔 못본 온천통문이란 터널을 넘어가는데 길이 미끄럽다.오늘아침도 천안지방이 영하 14도 밑으로 내려갔고
이런 강추위가 벌써 며칠째인지 모르겠다.올겨울엔눈도많이오고추운날도유난히많아 시내가 꽁꽁언 어름판길이다.

※ 마재터널-410m-359m봉-백토고개(2차선도로).1시간 40분.

09 ; 06/08.정산에서택시로 마재터널앞 도착(10000원).
09 ; 15, 마재터널위 주능선.
09 ; 46. 410m(묘).30여m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09 : 55. 403봉. 좌측사면으로 건너가고 간별목들이 널려있다.

10 : 02. 임도.우측으로 오르고 359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10 : 16. 359m봉.납작묘. 길좋은 좌측이 아니고 길없는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10 : 31. 248.4m삼각점.
10 : 48. 백토고개. 2차선 2번도로.낙지리 마을표석. 좌측으로 내려와 좌측 참봉묘뒤로 오른다.

마재터널앞에 내려 행장 수습하고 바로 우측 임도를따라 고개위로 오르는데 길가 개사육장개들이 요란스럽게 인사를한다.
7분정도 오르면 터널위다.호흡한번가다듬고 푹푹빠지는 눈길로 첫봉은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고 322m봉을 넘어서니
묘지가있고소나무들이큼직큼직하다.몸이더워져겉옷 벗어 가방에 넣고364m봉은 좌측으로 토끼길따라 건너가고
한오름 길게 올라서면 410m봉인데 정점에 묘가 있고 우측으로낙지터널을거쳐정혜산(355.1m),망월산(356.2m)로가는능선이분기하고,
30여m를 내려가면 능선이 Y로 갈라지는데 맥은 우측이다.

09 ; 06/08. 마재터널앞 .
우측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09 ; 15, 마재터널위 주능선 안부.
눈은 10~15cm쌓였는데 얼어붙어 힘이 좀 들어간다.


09 ; 46. 410m(묘).
우측능선은낙지터널을거쳐정혜산(355.1m),망월산(356.2m)로가는능선이고
맥은직진하여 30여m 내려가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우측으로 조금 내려가면 우측으로 오서산,백월산과 성태산,성주산과등이 보인다.
건너편 403m봉은 좌측 사면으로 건너가고 간벌목들이 길가에널려 있고 쭈욱 내려가면 임도가 나온다.
임도건너로 359m봉과 그 좌측 봉들이 올려다 보이고 그쪽 실한능선이 맥같이 보이나 맥은 제일높은 359m에서 우측으로 내려갈것이다.
임도 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와 임도건너 우측 능선으로 바로 붙는다.임도따라가면 붙을곳이 없다.

영지진지도는 이곳 임도을 낙지재라 적고있고 지리원 1/25000은 서북쪽 0.75km지점을 낙지재로 적고 있다.


410m봉을 내려서며 우측으로 본 금북기맥의 월하산(423m) ,월명산(544m.중뒤)과 아미산(639m.우측뒤)


410m봉을 내려서며 우측으로 본 오서산(맨우측)과 백월산(좌측).


10 : 02. 임도.
우측으로 오르고 359m봉이 높게 올려다 보인다.


359m봉 오름길 턱밑에선 우측 사면으로 건너가는길이 있고 빨딱 올라가면 359m봉인데 뒤로 칠갑산과 삼형제봉이 보이고
납작묘가 있는 갈림능선에서 맥은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는데 족적도 흐릿한게 낙엽만 쌓여있고
좌측능선은 산세도 실하고 길도 좋아 알바하기딱 좋겠는데 표지기는양쪽 다 없다.주의할곳이다.


10 : 02. 임도를 건너서 본 359m봉과 그 좌측능선모습.


10 : 16. 359m봉.
납작묘에서맥은 길좋은 좌측이 아니고 길없는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뚝 떨어져 내려오면 우측에서 건너온 사면길을 만나고 간벌목들로 지저분한 앞 둔덕을 넘어서다시올라서면248.m삼각점이나온다.
삼각점뒤로 359m봉이 올려다 보이고 좀 내려오면우측으로간벌목들이널려있는갈림능선을 지나고
백토고개 절개지위 묘지에서 건너편으로 214m,254m봉,220m을 짚어 보고 절개지를 좌측으로 내려오면 2차선도로인 백토고개다.
고갯마루엔 낙지리 표석이 있고 절개지 좌측 璿院閣(선원각) 참봉 영양(潁陽)천공묘 뒤로 오른다.


359m봉을 내려오다 본 백토고개 건너편의 214m봉(우)과 254m봉(좌)


10 : 31. 248.4m삼각점과 뒤 돌아 본 359m봉.


백토고개 절개지위 묘지에서본 건너편 214m,254m봉,220m.


10 : 48. 백토고개.
2차선 2번도로.낙지리 마을표석. 좌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른다.


※ 백토고개(2차선도로)-254m봉-문드레미고개(39번도로).2시간.

10 : 48. 백토고개. 2차선 2번도로.낙지리마을표석. 좌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른다.
11 : 03. 214m봉. 잡목.살짝 좌틀해서 잡목길로 내려간다.
11:12.안부지나면 좌측으로백토고개와지나온능선이보인다.
11 ; 24. 254m봉. 통일기원비.밀양박공묘.밤나무밭시작.밤나무밭에서 조망좋아 계룡산까지 다보인다.
11 ; 40. 220m봉. 정점에서 좌측 잡목속으로.
12 : 01. 180m봉. 묵은 밤나무밭위.멀리 가야할 지맥길과 지맥의 끝자락이 어림된다.
12 : 16. 171m봉. 좌측 벌목지뒤로 고속도로의 높은교각들이보인다. .
12 : 30. 밤나무밭끝봉.자나갈 고속도로 굴다리와 갈길이 조망된다.
12 : 45/55. 문드레미고개.39번도로.양쪽이 높은 절개지.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넘어갔다
.

백토고개 좌측에 있는 선원각(璿院閣) 참봉(參奉)영양천씨(潁陽千氏)묘뒤로 오른다.
참봉하면 능참봉만 생각나서 선원각 참봉이 뭔가했더니 선원각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에서왕실족보를보관하던 누각을 말하고
참봉벼슬은 능참봉만있는게 아니라 종9품의 문관벼슬로 많은 관서의 말단직 벼슬인데 이분은 사고참봉 [ 史庫參奉 ]을 지낸분이다.

영양천씨는 경북 영양군의 영양(英陽)이 아니고 중국 사천성의 천고봉(千古峰) 만인암(萬仁巖)의 지명이다.

선원각(璿院閣) 조선시 사고에는 실록을 보관하는 사각과 선원보(왕실 족보) 등을 보관하는 선원각(璿院閣)이라는 두 채의
누각식 기와집이 있었으며,
사고(전등사에 정족산 사고,안국사에 적상산 사고,각화사에 태백산 사고,월정사에 오대산 사고)를 지키는 사람으로
조선 후기에는 각 사고마다 책임자로 참봉 2인을 두고 주변 사찰에게 관리 책임을 지우고 사고 경비를 맡은 수호 사찰에는 수십명의 승군을 배치하였다.

參奉은 종9품 문관 벼슬직의 말단직 벼슬인데 참봉들이 배치되어 있던 곳은
돈녕부(왕족간의 친목 도모를 위한 관청),
사옹원(임금의 식사를 관리하는 관청),
군자감(군수 물자를 관리하는 관청),
사재감(생선, 고기, 소금, 땔나무에 관한 것을 관장하는 관청),
제용감(모시마포, 나사, 능단 등 옷감을 맡아보고 또한 직조에 관한 일을 주관하는 관청),
봉상시(제사의 회의, 시호 등을 관장하는 관청),
내의원(대궐의 약과 화제를 다루는 기관),
예빈시(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고 연회와 종실 및 재상 등을 대접하는 관청),
관상대(천문, 책력기후, 누각 등을 맡아 보는 기관),
전의감(약을 대궐에 공급하고 일반에게 주는 일들을 주관하는 관청),
사역원(다른 나라의 통역과 번역을 맡은 관청),
소격서(하늘과 땅, 별 등에 제사하는 기관),
사직서(나라의 근본을 지키는 신을 모신 기관),
전생서(궁중제향에 쓸 짐승기르는 일을 관장하는 관청),
혜민서(가난한 민중들을 치료하는 기관),
활인서(병자를 치료하는 기관),
전릉(각 대궐의 전과 능에 배치되어 지키는 이),
전옥서(지금의 교도소),
선공감(토목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전연사(궐의 수리를 맡아보는 관청) 등이 있습니다.

영양천씨(潁陽千氏)는 본래 중국 성씨로, 《영양천씨매헌공가승보(潁陽千氏梅軒公家乘譜)》에 의하면
시조 천암(千巖)은 명나라 홍무(洪武) 연간에 도총장(都總將), 판도승상(版圖丞相)을 역임하였고 영양에 세거하였으므로 관향으로 삼았다.

천만리장군은 영양천씨(潁陽千氏)의 중시조로 명나라 조정의 무신으로 있다가 1592년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영량사 겸 총독장(領糧使兼總督將)으로 아들 상(祥) ·희(禧)와 함께 조선에 들어와 참전하여 평양 ·곽산(郭山) 등지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는 정유재란 때에도 많은 전공을 세웠는데, 명나라 군사가 철수한 뒤에도 그대로 남았다가 귀화하여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지고,
후일 충장공(忠壯公)의 시호를 받았다. 그의 저서도 《사암선생문집(思庵先生文集)》 2권이 전하고 있으며,
전북 남원시 금지면(金池面) 방촌리(芳村里)에 있는 그의 묘는 세칭 ‘천장군묘(千將軍墓)’로 불리고 있다

214m오름길은 잡목길로 사납고 214m봉에 올라 살짝 좌틀하여 내려가는데 역시 길이 사납다.
길이 사나워 우측이 훤해서 나가보면 우측은 밤나무밭이고 앞쪽은 벌목해 건너편에 254m봉이 높게 보이고 우측 들판건너로 정해산이 건너다보인다.
주능선안부로 건너오면 좌측이 언제 벌목을했는지 키작은 잡목지로 칠갑산과 지나온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0 : 48. 백토고개 좌측에 있는 선원각(璿院閣) 참봉(參奉)영양천씨(潁陽千氏)묘.


참봉하면 능참봉만 생각나서 선원각 참봉이 뭔가했더니 선원각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에서왕실족보를보관하던 누각을 말하고
이사고를 지키는 관리가 종9품인 참봉이다.
참봉벼슬은 능참봉만있는게 아니라 종9품의 문관벼슬로 많은 관서의 말단직 벼슬이있는데 이분은 사고참봉 [ 史庫參奉 ]을 지낸분이다.

영양(潁陽)은 경북 영양군의 영양(英陽)이 아니고 중국 사천성의 천고봉(千古峰) 만인암(萬仁巖)의 지명이다.


214m봉을 넘어서며 본 254m봉.


254m봉전 안부에서 좌측으로 본 백토고개(좌)-248.4m(중)-359m(우측 낙타등)-410m(가운데 뒷봉).


254m엔 동학교신도들이 세운 조국평화통일기원비가 있고 바로 앞쪽엔 잘쓴 밀양박공묘지가 있고 그앞은 밤나무밭인데 전망이 좋다.
좌측으로 가야할 맥능선이 보이고 그뒤로 계룡산도 보이고 지나갈 고속도로 절개지도 보이고 멀리는 지맥의 끝자락도 어림된다.


11 ; 24. 254m봉의 통일기원비.
넘어쪽에 밀양박공묘 있고 바로앞에서 밤나무밭시작되며 밤나무밭에서 조망좋아 계룡산까지 다 보인다.


넘어쪽에 밀양박공묘 있고 바로앞에서 밤나무밭시작되며 밤나무밭에서 조망좋아 계룡산까지 다 보인다.


뒤 돌아 본 254m정상모습.


밀양박공묘 앞 밤나무밭위에서 본 조망좌측부터 1.
건너편 220m봉에선 화살표방향으로 간다.


밀양박공묘 앞 밤나무밭위에서 본 조망좌측부터 2.
삥돌아 가야할 지맥모습이다.


밀양박공묘 앞 밤나무밭위에서 본 조망좌측부터 3.


밀양박공묘 앞 밤나무밭위에서 본 조망좌측부터 4.
우측 정혜산(355.1m).이산은 지맥을 마칠때까지 계속 보게될것이다.


밤나무밭 좌측길따라 좌측으로 꺽어 내려가 건너편 능선에 올라 우측에 있는 220m 정점에서 좌측 잡목속으로 들어가
빼곡한 잡목을 빠져 니가면 다시 밤나무밭이 나오고 밤나무밭갓길을 따라 건너편 180m봉을 넘어가 건너편에서 우측으로 꺽어가고
밤나무밭끝에서 잡목숲을 내려가 안부를 지나며 이번엔 능선 좌측이 밤나무밭이고 우측이 숲이며 좌측으로 지나온 맥능선이 쭈욱 보인다.


11 ; 40. 220m봉.
정점에서 좌측 잡목속으로 들어서며 좌측으로 본백토고개-359m봉.


12 : 01. 180m봉. 조망1.
묵은 밤나무밭위.멀리 가야할 지맥길과 지맥의 끝자락이 어림된다.


12 : 01. 180m봉. 조망2.
묵은 밤나무밭위.멀리 가야할 지맥길과 지맥의 끝자락이 어림된다.


밤나무밭끝에서 우측으로 걱어 내려가며 뒤 돌아 본 180m봉(우)-254m봉(좌).


171m봉오름길에 좌측으로 본 259m(맨 좌측)-삼형제봉(중)-칠갑산(우).


171m봉오름길에 좌측으로 본 도림저수지.
마을앞 도로가 오른 시작점인 마재터널로 올라가는 도로다.


171m봉에 올라서면 좌측과 앞쪽이 벌목하여 훤하고 10,11시방향으로 공주-서천 고속도로의 높은 교각이 보이고 앞쪽은 다시 밤나무밭이다.
우에서 좌로 삥 돌아가며 254m봉쪽 지나온 지맥을 뒤돌아보고 앞쪽으론 가아할 고속도로 건너편 지맥이 건너다보인다.
132m봉 앞으로 공주-서천 고속도로 높은 절개지가 보이고 그 좌측으로 굴다리가 보인다.
이굴다리로 가기로 마음먹고 132m봉앞 절개지를 기준삼아 줄줄이 있는 묘지길을 따라 내려간다


12 : 16. 171m봉에서 좌측 벌목지뒤로 고속도로의 높은교각들이보인다. .


171m봉밑 안부에서 우측으로 본 254-220m-180m.
맨좌측 높은봉은 정혜산(355.1m)이다.


12 : 30. 밤나무밭끝봉에서 뒤 돌아 본 171m봉과 359m(좌측뒤).칠갑산(우뒤).


12 : 30. 밤나무밭끝봉에서 본 좌측 모습.


12 : 30. 밤나무밭끝봉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1.
저앞에서 망주석과 상석들이 줄줄이 있는 묘지쪽으로 내려간다.

12 : 30. 밤나무밭끝봉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2.


리기다소나무숲을 빠져나가면 39번도로 절개지위인데 좌측이나 직진쪽엔 길이 없고 우측으로 길따라 내려오면
앞쪽에 39번도로가의버스정류장과바로뒤로고속도로를건너는굴다리가보인다.
39번 도로따라 좌측으로 조금 올라가면 양쪽이 높은 절개지인데 양쪽으로 철계단과 낙석방지 철망이 있는데 좌측은 문은 열려 있으나
칡덩굴로 엉켜있고 우측 고속도로쪽은 문도 없고 아예 철망으로 막혀있다.올라간다해도 다시 높은 고속도로 절개지가 나올 것이다.


문드레미고개우측 아래모습.
앞쪽에 39번도로가의상장리 버스정류장과바로뒤로고속도로를건너는굴다리가보인다.
우측으로 우회하면 저 굴다리를 지나서 좌측으로 올라서 두 번째 높은 절개지를 올라야 132m봉이라
바로 문드레미고개를 넘어가 132m봉 좌측에 있는 굴다리로 갔다.


12 : 45/55. 문드레미고개.39번도로.
양쪽이 높은 절개인데 작은 그림은 좌측 모습이다.우측엔 쪽문도 없고 올라간다해도다시고속도를건너야한다.


※ 문드레미고개(39번도로)-명덕봉(168.7m)-유례고개(우리 F&B공장.포장도로).2시간 5분.

12 : 45/55. 문드레미고개.39번도로.양쪽이 높은 절개지.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넘어갔다.
13 : 09. 고속도로굴다리.
13 : 14/32. 136.4m전안부.고속도로 굴다리옆.영진지도의 문드레미고개.풍성 뿌리박사 시험포장팻말. 점심.
13 : 46. 지독한 잡목뚫고 올라간 136.4m삼각점봉.
13 ; 58. 능선끝까지 나와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14 ; 07. 포장도로.우사있고 좌측 가까이에 2번도로와 인화달천이 보인다..

14 ; 28. 명덕산중턱의 조망처.뒤로 지나온지맥이 조망된다.
14 ; 37/8. 명덕산(168.7m).대삼각점.계룡산,칠갑산이조망된다.
14 ; 39. 넘어서며 묘지에서 갈길 짚어보고 우측으로 내려가 건너편 묘지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5 : 00.유례고개. 포장도로. 우측에 우리 F&B공장.맥은 앞쪽 높은 언덕쪽이 아니고 좌측 철계단능선이다.

문드레미고개를 넘어가서 엘지냉동을 지나면서 우측 밭을 가로질러 굴다리쪽으로가며 새로지은 흙벽돌집앞에서이쪽 저쪽 사진을 찍으니
주인 할아버지가 무슨일인가싶어 왜 사진을 찍는건지 물어온다.얘길해주니 도로따라 내려가면굴다리로올라오는 길이 있다고 일러준다.
보기만해도 아찔한 고속도로 절개지를 쉽게 건너가 132m봉을 생략한 136.4m아래 안부에서 늦은 점심을 먹었다.
지리원 1/25000은 30번도로 고개를 문드레미고개로 적고 있고 영진 지도는 이곳을 문드레미고개로 적고 있다.

문드레미고개를 넘어가서 엘지냉동을 지나면서전봇대우측 우측 밭을 가로질러 굴다리쪽으로 갔다.


공주-서천 고속도를 지나는 굴다리가 보인다.
좌측봉이 136.4m삼각점봉이고 우측봉이 132m봉이다.


13 : 09. 고속도로굴다리.
굴다리에서 본 132m봉 절개지. 굴다리는 농로 통로다.


굴다리를 지나서 뒤 돌아 본 칠갑산.
멀리 좌측이 410,369m봉이고 가운데가 삼형제봉,우측이 칠갑산정상이다.


13 : 14/32. 136.4m전 안부
.고속도로 굴다리옆.영진지도의 문드레미고개.풍성 뿌리박사 시험포장팻말. 점심.


풍성뿌리박사시범포장 팻말이 있는 곳에서 136.4m 오름길은 길은 전혀없고 가시밭이라 애를먹고 정점에 올라보니
맥을 고집할게아니라 우측 밤나무밭 능선으로 건너와서올라 왔으면 좀 나을걸 그랬다.
뒤로 132m봉과 고속도로절개지,지나온 잔봉들을 뒤돌아보고 소나무숲속에 있는 삼각점을 찍고잡목숲길따라앞쪽으로쭈욱내려가
고속도로 고가교각이 바로 코앞에보이는곳까지내려가서우측으로내려가면 큰 축사들이 보이고 그뒤로 명덕산이저앞에보인다.


13 : 14/32. 136.4m전 안부에서 뒤 돌아 본 빼먹은 132m봉.


136.4m 오름길 가시밭에서 뒤 돌아 본 빼먹은 132m봉과 고속도로 절개지.1
우측 소나무 뒤 빨간집이 39번도로 문드레미고개이고
저뒤로 보이는산은 정혜산이다.


136.4m 오름길 가시밭에서 뒤 돌아 본 빼먹은 132m봉과 고속도로 절개2.
가운데 우측뒤가통일기원비가있는254m봉이다.


13 : 46. 지독한 잡목뚫고 올라간 136.4m삼각점봉.
직진해 내려간다.


13 ; 58. 능선끝까지 나와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큰 축사들이 보이고 그뒤로 명덕봉(168.7m)이저앞에보인다.


14 ; 07. 포장도로.우사있고 좌측 가까이에 2번도로와 인화달천이 보인다.


소 사료인 하얀 볏집더미가 산더미같이 쌓여있는 우사앞을 조심스럽게 지나가는데 또 견공들이 요란히 짖어댄다.
요즘 구제역으로 온나라가 날리통으로 올 설엔 고향방문도 자제해달라고 홍보하고 있는판이라 축사옆을 지나가기도 어렵다.
지리원지도는상장양수장이있다고했는데안보이고좌측 넘어엔바로2번군도와인화달천하천이있다.

1차선도로를건너앞능선으로 얼른 들어서 잠깐 잡목을 헤치면 능선위로 수렛길이 있고
좌우로 넘는 수렛길안부의 묘지에선 좌측으로 인화달천뒤로 지곡리 너른들판과 앵봉산(鶯鳳山.311m),석봉이 보이고
키작은 잡목을 오르면 우측으로 조망이 트여 칠갑산부터 지나온 지맥이 한눈에 들어와 하나씩 짚어가며 복습해본다.


뒤 돌아 본 포장도로.우사.


묘지에서 좌측으로 본 인화달천과 지곡리 뒤의앵봉산(鶯鳳山.311m좌),석봉.


명덕봉(168.7m)오름길에 우측으로 본 지나온 지맥모습.
앞쪽 좌측봉이 빼먹은 132m봉, 가운데봉이 136.4m 삼각점봉.
뒤로 큰산들은 칠깁산(우),삼형제봉(중),410m359m(좌측).사진좌측끝이 254m통일비봉.


명덕봉(168.7m)오름길에 우측으로 본 지나온 지맥모습.
맨뒤 우측이 359m봉.앞쪽 우측이 삼각점봉,좌측이 132m봉.가운데 줄기뒤로 254m이 있고 좌측 큰산은 정혜산.


바로위가 명덕봉인가싶었더니 리기가소나무숲을 한참 나가서 잠깐 올라사면 명덕봉정상인데 대삼각점 동판이 있고
좌측으론 금남정맥의 산들과 계룡산이 건너다 보이고 뒤로는 칠갑산쪽이 나뭇사이로 보인다.

14 ; 37/8. 명덕산(168.7m).대삼각점.계룡산,칠갑산이 조망된다.
뒤 돌아 본 칠갑산.

명덕산을 내려서면 바로 묘지가 있고 이번엔 앞쪽이 탁트여 가야할 지맥과 지맥의 끝지점이 어림되는데
어디로 내려서야할지 살펴봐야한다. 우측으로 급하게 내려가서 건너편 묘지가 있는봉위에까지 가기전에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면
좌측으로 밤나무밭이 나오고 좌측밑에 파란지붕의 공장건물이 보인다.

명덕봉 바로 아래의 묘지에서 본 앞쪽 금강넘어의 금남정맥모습.


명덕봉 바로 아래의 묘지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며 본 지맥의 끝자락모습.<주의>
우측 묘지있는 봉까지 올라가면 길이 없으니 안부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명덕봉앞 세밀도.
앞 사진을 놓고 살펴보면 우리 F&B공장 앞쪽 높은곳이 맥이 아닌걸  알 수 있다.


이동통신탑전 밤나무 밭능선에서 본 좌측모습.하얀 빤짝이는것들이 뭔지모르겠다.


능선따라 우측으로 휘어 나가면 이동통신탑과 잘쓴 묘지들이 있고 내려서면 우측에 우리 F&B공장이 있고
바로앞엔 포장도로가 있고 도로앞쪽위 도로 가 제일높고 양쪽 산들을파내서 이 언덕이 맥인가했더니1/25000을자세히보면
앞쪽 높은 언덕쪽이 아니고 공장앞에서 도로건너로 있는 좌측 철계단 능선이 맥이다.


이동통신탑에서 우측으로 본 칠갑산과 지맥모습.



우측 공장뒤와 좌측앞쪽은 삭토해서 파냈고 사진앞쪽 고개가 제일높아 헷갈리는데
좌측 아래에 철계단있는능선이 맥이다.식초하기전 골짜기의물은 우측 공장쪽으로 흘렀을것이다.


15 : 00. 유례고개(포장도로)에서 뒤 돌아 본 명덕봉(168.7m)
지리원 1/25000엔 고개이름이 없으나 영진지도는 이곳을 유례고개로 적고있다.
좌측 가까이에 청남면 소재지가 있다.


※ 유례고개(우리 F&B공장.포장도로)-645번도로-금강제방둑.1시간 17분.

15 : 00. 유례고개.포장도로. 우측에 우리 F&B공장.맥은 앞쪽 높은 언덕쪽이 아니고 좌측 철계단능선이다.
15 ; 07. 114m봉 묘.능선 좌측은 밤나무밭.
15 : 12. 건너편 밤나무밭끝봉에서 우측으로 간다.
15 : 21. 123m 리기다 소나무숲.
15 : 24. 갈림길에서 좌측 계곡 같은곳으로 내려가면 계단식 묘지터가 나온다.
15 ; 36. 104m봉갈림길.묘지에서 좌,우능선이 아닌 직진해 넘어간다.
15 ; 49. 63m봉.넘어쪽에 묘지들이 있고 왕진리와 지맥의 끝봉이 조망된다.
15 ; 56. 645번도로.청흥버섯영농조합.길건너슈퍼옆길로 오른다.
16 ; 08. 마지막봉.밤나무밭.넘어서면 합수점과 금강이 조망된다.
16 ; 17. 금강제방둑.

114m봉 우측엔 묘지가 있고 밤나무밭따라 건너편에 올라 밤나무밭은 좌측 능선으로 이어지고 맥은 살짝 우틀해서 리기다소나무숲길을 가면
역시 리기다 소나무숲인 123m봉을 넘어가고 조금 나가선 갈림길에서 맥은 좌측 계곡같은곳으로 내려가는데 우측능선이 좀더 높아
잘 가고 있는건지 불안하다. 내려가면 능선이 살아나고 계단식으로된 가족묘지터같은 능선위로 올라간다.

123m 봉 아래에서 우측으로 본 지맥모습.


15 : 24.123m봉을넘어간 갈림길에서 좌측 계곡 같은곳으로 내려가면 계단식 묘지터가 나온다.<주의>


계단식 묘지터뒤로 104m봉이 보인다.


104m봉이 우측에 있는 묘지에서 좌측능선으로 길게 이어지는 능선이 맥같이 보이지만맥은직진해내려간다.
내려가면오래묵은 밤나무밭이 나오고 좌측으로 마을이 보이고 61봉을 넘어서니 숙부인묘등 묘지들이 쭈욱 아래로있고
앞엔 폐교된 초등학교가 버섯공장이돼있고 왕진리마을 건너로 지맥의 끝봉과 그넘어로 금강이 내려다 보인다.
버섯공장 좌측 휀스를 따라 내려가 청흥버섯영농조합 문을 나가면 645번도로가 나온다.


15 ; 36. 104m봉 갈림길
.묘지에서 좌,우능선이 아닌 직진해 넘어간다.우측위에 104m봉이 있다.


15 ; 49. 63m봉.
넘어쪽 묘지에서 본 왕진리와 지맥의 끝자락모습.


15 ; 56. 645번도로.청흥버섯영농조합.길건너슈퍼옆길로 오른다.
뒤돌아 본 63m봉.


645번도로를 건너 슈퍼,떡방아간 좌측으로 들어가면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있고 밭길따라 올라가 능선위에서 온길을 뒤돌아보고
능선수렛길을 따라 내려가 안부에서 대나무 차단기를 넘어 마지막봉인 밤나무밭으로 올라가 지나온맥을 뒤돌아보고
넘어서면 금강과 지천의 합수점이 보이고 금강 하천장리작업을 하고있는 덤프트럭들이 쉴새없이 드나들고 있다.
마지막봉을 내려가 수로와 세멘도로를 건너 금강 제방둑에서 금강과 지나온맥을 뒤돌아보며 칠갑지맥종주를 마친다.


슈퍼,떡방아간에서 뒤 돌아 본 청홍버섯공장과 63m봉.
고드름을 보니 날이 춥긴 추운가보다.


언덕위에서 다시 뒤 돌아 본 슈퍼,떡방아간,청홍버섯공장과 63m봉.


언덕위에서 다시 뒤 돌아 본 칠깁산.
좌측부터 410m,삼형제봉. 칠갑산.


지맥의 마지막봉인 밤나무밭.


지맥의 마지막봉에서 본 금강과 지천이 금강에 드는 합수점(우)


금강제방둑.
4대강사업 공사가 한창이고


금강제방둑에서 금강넘어로 땡겨본 계룡산.


◈ 돌아오는길.


세멘길따라 645번 도로로 나오면 왕진1리 버스정류장에 보건소가 있고 창고개란 표석이 있다.
청현 즉 창고개다.금강가 마을이름이 창고개라니 좀 의아하지만 무슨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정류장에서 기다리면 버스가 올것이라고해서 한참을 기다려도 감감무소식이라 결국 정산 택시를 불러 정산으로 나와서
5시 35분 공주가는 버스를 타고가서 공주가서 바로 천안가는 버스로 갈아타고 천안에 오니 7시경인데 몹시춥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