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지맥 1구간[대간 묘적령-고항치-옥녀봉-자구산(758m)-한티재).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11.7km+2km+2.5km .6시간6분 .
고항치-백두 대간 묘적령-고항치-옥녀봉(888m)-971.3m삼각점봉-974m(달밭산표석)-소목재-786m(자구산 팻말)-
지도상의 자구산(758m)-지르매기-732.4m 대삼각점봉-705m-한치재-한치마을-물안마을.
◈ 일시: 2011. 10. 9(일).
◈날씨: 가을날씨로산행하긴 좋음.
◈ 동행인:19명. 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최평칠님.고광의님.박성태님.정영옥님.김권봉님.정한규님.이정아님. 강형태님.
김정옥님.안수영님.이정세님.박봉규님.권순창님.배병률님.주기현님.손호진님외 1인.나.
◈ 지도.
자구지맥 1구간[대간 묘적령-고항치-옥녀봉-자구산(758m)-한티재).지도 1.
돋보기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자구지맥 1구간[대간 묘적령-고항치-옥녀봉-자구산(758m)-한티재).지도 2.
돋보기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40. 천안출발.
07 : 30/07 :50. 일죽 IC근처 대송휴게소에서 합류.안개가 자욱하게 낌.
10 : 25. 고항치(古項峙) 2차선 포장도로.세멘임도따라 고갯마루로 오름.옥녀봉이 저앞에.배낭은 차에두고
10 : 29. 고항치(古項峙)고갯마루 동물 이동통로위.백두 대간 등산안내도와 이정표.묘적령 2km.옥녀봉 0.7km.풍기군 봉현면과 예천군 상리면경계.
10 ; 39. 한턱 올라서면 헬기장이 있고 다시 한턱 올라선 담양전씨묘.
10 ; 50. 900m봉. 우측으로 소백산,도솔봉, 묘적봉조망.
11 ; 01. 980m봉. 가야할 자구지맥의 옥녀봉과 974m봉과 자구산이 뒤로 보이고 우측 앞에 도솔봉과 묘적봉이 보이고.
11 ; 16/18, 자구지맥 분기봉인 백두 대간 1020m 묘적재(령).솔봉 1.7km,고항치 →, 모래재 1.95km이정표.다시 고항치로 뒤돌아 내려감.
11 : 50/58. 다시 돌아온 고항치(古項峙).차에가서 배낭가지고 올라옴.자구산 5.7km 푯말.
12 ; 20/39. 옥녀봉(888m). 돌탑과 정상표석과 팻말.소백산, 도솔봉등 대간조망.점심.
12 : 43.앞봉끝의 754.1m봉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단풍이 곱게 물들기 시작했다.
12 ; 54. 문곡재.쭉쭉뻗은 낙엽송안부.
13 ; 10/11. 밋밋하게 길게 올라간 971m삼각점(단양 317)과 달밭산표석.도솔봉과 소백산조망.
13 ; 16. 바로 앞봉인 974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달밭산 푯찰.좌측능선은 천부산으로 가는 26km되는 긴 산줄기.<주의>
13 : 21. 큼직한묘에서 좌틀하며 간벌목지대가 시작됨.우측으로 곤충박물과 대간능선이 계속보임.
13 ; 35. 소목재안부. 간벌목은 여기까지.
13 ; 38. ㅓ자능선에서 직진해가고<주의>
13 ; 40.뚝떨어져내려가면 다시 간벌목 지대가 잠깐 있고 내림길은 계속되고 .
13 ; 43. 좌로 꺽어 내려가면 안동권씨묘 3기.
13 ; 46. 맨밑안부.좌측에 임도.
14 ; 04/13. 786m봉.좌우가 급경사인 둔덕봉을 오르고또올올라간 바위지대.자구산팻말.
14 ; 22/24. 758m봉. 지도상의 자구산.삼각점은 없고 .다시 뚝 떨어져 내려감.
14 ; 25. 좌측으로 노좌리 마을의 사과밭들이 내려다 보이고
14 ; 29. 743m봉엔 장뇌삼재배지 현수막.Y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14 ; 36. 장뇌삼 현수막 안부를 지나 편한길가며 좌측으로 외국풍경같은 다시 노좌리 마을.
14 ; 38. 내려온 맨밑 안부로 우측엔 길있고 좌측은 없음.출입금지 현수막.
14 ; 40. 660m.살짝 올라선 철탑.
14 ; 42. 안부.좌측은 송전탑길로 넓고 우측은 소롯길.지르매기재.
14 ; 52/15 ; 01. 빨딱 올려채 오른 740m봉. 우측에 길 있고 살짝 좌틀해 내려감.
15 ; 06/07. 732.4m 삼각점봉.국방부대삼각점과 부춘산 팻말. 좌측으로 감 <주의지역>여기서 중간팀이 우측으로 가서 대형알바.
15 : 10. 720m에서 살짝 우틀하여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22. 하얀바위봉은 좌측으로 살짝 비켜 밋밋하게 쭈욱 오른 705m봉.Y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우측은 면경계.
15 : 27. 좌측에 약초재배지 철망이 나오고 멧돼지 가 온통.
15 : 31. T 갈림길 좌 한티마을.우측으로 감.철망은 좌측 능선으로 가고
15 ; 33. 645m봉을 넘어서면 철탑.부용산이 저앞에. 묘들이 자주나오고
15 : 38. 587m.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5 : 43. 한티재.세멘 임도삼거리와 동물이동통로.좌측 한티마을로 감.중간조가 반대방향인 동사리쪽에 있단다
15 ; 57/9. 사과밭을 지나 598m 지능선위의 한티마을뒤.소나무 보호수 2그루.우측 한티마을로 내려감
16 ; 06. 한티마을 끝사과밭.버스가 저아래로 까마득히 내려다보인다.
16 ; 31. 수한리 물안마을.버스가 억지로 억지로 겨우 들어와 있다.
17 ; 20. 알바하고 온 중간조가 도착하여 바로 물안리출발.
18 ; 01. 영주 풍기삼계탕집 도착하여 삼계탕으로 저녁먹고
18 : 50. 영주 풍기삼계탕집(054 631 4900)출발
20 : 50. 일죽 IC근처의 대송휴게소도착
21 ; 5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고항치-대간 묘적령분기점(1020m)-옥녀봉(888m)-자구산(758m).9.6 km.
10 : 25. 고항치(古項峙) 2차선 포장도로.세멘임도따라 고갯마루로 오름.옥녀봉이 저앞에.배낭은 차에두고
10 : 29. 고항치(古項峙)고갯마루 동물 이동통로위.백두 대간 등산안내도와 이정표.묘적령 2km.옥녀봉 0.7km.풍기군 봉현면과 예천군 상리면경계.
10 ; 39. 한턱 올라서면 헬기장이 있고 다시 한턱 올라선 담양전씨묘.
10 ; 50. 900m봉. 우측으로 소백산,도솔봉, 묘적봉조망.
11 ; 01. 980m봉. 가야할 자구지맥의 옥녀봉과 974m봉과 자구산이 뒤로 보이고 우측 앞에 도솔봉과 묘적봉이 보이고.
11 ; 16/18, 자구지맥 분기봉인 백두 대간 1020m 묘적재(령).솔봉 1.7km,고항치 →, 모래재 1.95km이정표.다시 고항치로뒤돌아 내려감.
11 : 50/58. 고항치.차에가서 배낭가지고 올라옴.자구산 5.7km 푯말.
12 ; 20/39. 옥녀봉(888m). 돌탑과 정상표석과 팻말.소백산, 도솔봉등 대간조망.점심.
12 : 43.앞봉끝의 754.1m봉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단풍이 곱게 물들기 시작했다.
12 ; 54. 문곡재.쭉쭉뻗은 낙엽송안부.
13 ; 10/11. 밋밋하게 길게 올라간 971m삼각점(단양 317)과 달밭산표석.도솔봉과 소백산조망.
13 ; 16. 바로 앞봉인 974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달밭산 푯찰.좌측능선은 천부산으로 가는 26km되는 긴 산줄기.<주의>
13 : 21. 큼직한묘에서 좌틀하며 간벌목지대가 시작됨.우측으로 곤충박물과 대간능선이 계속보임.
13 ; 35. 소목재안부. 간벌목은 여기까지.
13 ; 38. ㅓ자능선에서 직진해가고<주의>
13 ; 40.뚝떨어져내려가면 다시 간벌목 지대가 잠깐 있고 내림길은 계속되고 .
13 ; 43. 좌로 꺽어 내려가면 안동권씨묘 3기.
13 ; 46. 맨밑안부.좌측에 임도.
14 ; 04/13. 786m봉.좌우가 급경사인 둔덕봉을 오르고또올올라간 바위지대.자구산팻말.
14 ; 22/24. 758m봉. 지도상의 자구산.삼각점은 없고 .다시 뚝 떨어져 내려감.
10 : 25. 고항치(古項峙) 2차선 포장도로에서 세멘 임도따라 고갯마루로 오르면서 본 옥녀봉.
10 : 29. 고항치(古項峙)고갯마루 동물 이동통로위에서 묘적령쪽모습.
백두 대간 등산안내도와 이정표.묘적령 2km.옥녀봉 0.7km가 있다.동쪽은 풍기군 봉현면,서쪽은 예천군 상리면이다.
10 : 29. 고항치 (古項峙)고갯마루 동물 이동통로위에서 서쪽 예천군 고항리쪽 모습.
예천 곤충생태체험관 2km 표지판이 보인다.
10 ; 50. 900m봉에서 우측으로 본 도솔봉(가운데 뒷봉)과 묘적봉(좌).
11 ; 01. 980m봉에서 뒤 돌아 본 가야할 옥녀봉(가운데)과 974m봉(우측).
11 ; 01. 980m봉에서 본 묘적봉과 도솔봉.
11 ; 01. 980m봉에서 뒤 돌아 본 974m봉에서 자구산으로 이어지는 지맥모습.
11 ; 16/18, 자구지맥 분기봉인 백두 대간 1020m 묘적재(령).
솔봉 1.7km,고항치 →, 모래재 1.95km이정표가 있는데 고항치(古項峙)를 고향치로 썼다.다시 고항치로 뒤돌아 내려간다.
11 ; 16/18, 자구지맥 분기봉인 백두 대간 1020m 묘적재(령).
백두대간을 종주할때 여길 지나간게 1996.1월이니까 16년만에 다시 오니 감회가 새롭다.그때 입었던 T셔츠다.
11 ; 16/18, 자구지맥 분기봉인 백두 대간 1020m 묘적재(령)에서 내려다 본 대강면 사동리 .
그땐 대강면에서 단양온천이 있는 남조리에서 싸리재로 올랐었다.
11 : 50/58. 다시 고항치로 내려와서 차에 두고온 배낭챙겨 옥녀봉으로...
고항치 고갯마루엔옥녀봉은 0.8km,묘적령은 2km,자구산 5.7km 푯말이 있다.
12 ; 20/39. 옥녀봉(888m).
고항치에서 20여분 올려채면 옥녀봉인데 돌탑과 정상표석과 팻말이 있고 소백산, 도솔봉등 대간능선이 조망된다.점심 .
돌탑뒤로 있는길은 옥녀봉 휴양림으로 가는 길인듯싶고 맥은 직진해 내려간다.
12 ; 20/39. 옥녀봉(888m)에서 본 솔봉-묘적령-묘적봉-도솔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과
묘적령에서 앞쪽으로 내려온 자구지맥.
12 ; 20/39. 옥녀봉(888m)에서 본 소백산 제1연화봉-비로봉-국망봉능선.
12 ; 20/39. 옥녀봉(888m)에서 김정옥님.
앞쪽은 옥녀봉,뒷면엔 봉현면이라 써있다.
12 : 43.앞봉끝의 754.1m봉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편안한 능선길이 단풍이 물들기 시작했다.
12 ; 54. 문곡재의 쭉쭉뻗은 낙엽송안부.
13 ; 10/11. 밋밋하게 길게 올라간 971m삼각점(단양 317)과 달밭산표석.
13 ; 10/11. 밋밋하게 길게 올라간 971m삼각점(단양 317)과 달밭산표석에서 본 도솔봉(좌)과 소백산(우).
13 ; 16. 바로 앞봉인 974m봉에서 우측으로 가고. 달밭산 푯찰이 있다.
좌측능선은 천부산으로 가는 26km되는 긴 산줄기.<주의할곳이다>.
지도엔 달밭고개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봉은 자구지맥상에서 분기봉부근을 빼면 높이가 제일높은 974m이고
이봉에서 동측으로 천부산,용암산,연화산으로 이어져 서천의 좌측 분수령이 되는 길이 26km의 산줄기도분기하니
이봉이 산이름을 제대로 얻었다면 지맥이름도 자구지맥이 아니고 다른 지맥이 됏을지도 모를일이다.
이봉을 달밭산으로 불렀으면 좋겠다.
13 : 21. 큼직한묘에서 좌틀하며 간벌목지대가 시작되는데 간벌목지대는 소목재안부까지 계속된다.
13 : 22. 우측 고항리의 곤충생체체험관.
13 : 22. 우측으로 본 백두대간의 솔봉-묘적령-묘적봉-도솔봉(우).
13 ; 46. 맨밑안부 좌측의 임도.
14 ; 04/13. 786m봉.
좌우가 급경사인 둔덕봉을 오르고또올올라간 바위지대위에 자구산 팻말이 있다.실질적인 자구산으로 봐야겠다.
14 ; 22/24. 758m봉.
지도상의 자구산인데 삼각점은 없고 살짝 좌틀해서 다시 뚝 떨어져 내려간다.
※ 자구산(758m)-732.4m(대삼각점)-한티재-물안마을. 6.6km.
14 ; 22/24. 758m봉. 지도상의 자구산.삼각점은 없고 .다시 뚝 떨어져 내려감.
14 ; 25. 좌측으로 노좌리 마을의 사과밭들이 내려다 보이고
14 ; 29. 743m봉엔 장뇌삼재배지 현수막.Y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14 ; 36. 장뇌삼 현수막 안부를 지나 편한길가며 좌측으로 외국풍경같은 다시 노좌리 마을.
14 ; 38. 내려온 맨밑 안부로 우측엔 길있고 좌측은 없음.출입금지 현수막.
14 ; 40. 660m.살짝 올라선 철탑.
14 ; 42. 안부.좌측은 송전탑길로 넓고 우측은 소롯길.지르매기재.
14 ; 52/15 ; 01. 빨딱 올려채 오른 740m봉. 우측에 길 있고 살짝 좌틀해 내려감.
15 ; 06/07. 732.4m 삼각점봉.국방부대삼각점과 부춘산 팻말. 좌측으로 감 <주의지역>여기서 중간팀이 우측으로 가서 대형알바.
15 : 10. 720m에서 살짝 우틀하여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22. 하얀바위봉은 좌측으로 살짝 비켜 밋밋하게 쭈욱 오른 705m봉.Y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우측은 면경계.
15 : 27. 좌측에 약초재배지 철망이 나오고 멧돼지 가 온통.
15 : 31. T 갈림길 좌 한티마을.우측으로 감.철망은 좌측 능선으로 가고
15 ; 33. 645m봉을 넘어서면 철탑.부용산이 저앞에. 묘들이 자주나오고
15 : 38. 587m.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5 : 43. 한티재.세멘 임도삼거리와 동물이동통로.좌측 한티마을로 감.중간조가 반대방향인 동사리쪽에 있단다
15 ; 57/9. 사과밭을 지나 598m 지능선위의 한티마을뒤.소나무 보호수 2그루.우측 한티마을로 내려감
16 ; 06. 한티마을 끝사과밭.버스가 저아래로 까마득히 내려다보인다.
16 ; 31. 수한리 물안마을.버스가 억지로 억지로 겨우 들어와 있다.
14 ; 29. 743m봉.
장뇌삼재배지 현수막있고 Y능선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좌측으로 봉현면 노좌리 마을의 산비탈 사과밭이 마치 외국의 풍경같다.
눈이온듯 하얗게 보이는건 햇볕을 많이 받으려고 은박지를 사과밭에 깐것이다.
14 ; 40. 살짝 올라선 660m의 철탑.
14 ; 42. 지르매기재안부.
좌측은 송전탑길로 넓고 우측은 소롯길..
14 ; 52/15 ; 01. 빨딱 올려채 오른 740m봉.
우측능선에 길 있고 살짝 좌틀해 내려간다.
15 ; 06/07. 732.4m 삼각점봉.
국방부대삼각점과 부춘산 팻말이 있고Y능선 양쪽에 표지기가 붙어있다.좌측으로간다 <주의지역>.
여기서 중간팀 두 구룹이 우측으로 가서 대형알바.
15 : 10. 이런 편한길을 가다 720m에서 살짝 우틀하여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22. 705m봉 Y능선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이런 철망에 경고판이 붙어있다.약초재배지란다.
묘적령 분기점부터 이어지던 영주군과 예천군경계는645m에서 이 철망따라 좌측 한티마을로 내려간다.
15 ; 33. 645m봉을 넘어서며 있는 철탑에서 본 부용산.
바로밑이 한티재같으나 묘들을 여럿지나 한참을 가야한다.
15 : 43. 한티재.세멘 임도삼거리와 동물이동통로.
좌측 임도따라 산 허리를 돌아 한티마을로 갔다.
15 : 44. 좌측기로 접어들면 바로 우측밑에 사과밭 과수원집이 있고 그 집앞 계곡으로 내려가면 좀 빠를것을..
저앞 능선넘어에 한티마을이 있고 거기가면 버스가 올라와 있을줄알았더니 사진 우측 저밑에 버스가 있었다.
15 : 55. 한티마을 가는길 뒤 돌아 본 한티재와 과수원집.
15 ; 57/9. 645m봉에서 동쪽 598m로 가는 지능선인한티마을의 소나무 보호수 2그루.
우측 한티마을로 내려갔다.
15 ; 57/9. 소나무 보호수 앞에서 본 한티마을.
이 한티마을은 표고 약 550m에 있는 고산마을인데 예천군 감천면 수한리(甘泉面 水閑里)인데
부용봉(699m)바람이 시원하고 차(寒)서 한터라고 했다하며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300여년 전에 박한수라는 이가 살던 곳으로 "한(漢)이 사는 터"라 하여 한기라고도 했다고 한다.
15 ; 57/9. 소나무 보호수에서 능선 넘어로 본 영주군 봉현면 하촌리의 한티마을.
15 ; 57/9. 보호수인 소나무 두그루인데 수령이 안적혀 있다.
16 : 07. 전깃줄끝에 버스가 까마득하게 멀리 보인다.
16 : 25, 노랗게 물든 다랭이 논들.
16 ; 31. 수한리 물안마을에서 올려다 본 한티마을(가운데 저위 조금 평평한 곳인데 안보인다).
가운데 상단 철탑 좌측 골짜기안이 한티재다.
버스가 억지로 억지로 여기까지 들어왔는데 아마도 마을이 생기고 처음 들어간 버스가 아닐까?
자개지맥 첫 구간때 이어 두번째 찾아간 영주시 하망동의 풍기삼계탕집(054 631 4900. 017 533 4900).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
지도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ㅈ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구지맥 3구간(갈부재-돌고개-34번국도-담암리 합수점)(終). (0) | 2011.11.30 |
---|---|
자구지맥 2구간[한티재-부용봉(芙蓉峰. 688.1m)-갈머리재(28국도)-갈부재). (0) | 2011.11.18 |
자구지맥(子求枝脈)은 ? (0) | 2011.10.10 |
장령지맥 4(마지막)구간[자고치-마성산(409m)-이슬봉(455m)-장계교(37번도로)]終. (0) | 2011.10.08 |
장령지맥3구간(금산고개-장령산(656m)-도덕봉(407.3m)-자고치(경부고속도로). (0) | 201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