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개지맥 4구간[흑석고개-배해삼거리-양갈배기(5번국도)-유릉산-무섬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12.5km .4시간44분 .
흑석고개(조개재.2차선10번군도)-260m봉-배해(2차선 935번도로)-271.3m 삼각점봉-양갈배기(4차선 5번국도)-종릉고개삼거리 포장도로-
유릉산(柳陵山.299m)-일영루-막현고개(1차선)-176m봉-중앙선철로-무섬교(내성천과 서천 두물머리).
◈ 일시: 2011. 09. 25(일).
◈날씨: 바람선들선들한가을날씨로산행하긴 좋음.
◈ 동행인:22명. 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최평칠님.고광의님.박성태님.곽병태님.정영옥님.정한규님.이정아님.
강형태님.현주환님.강경복님.이덕희님.김정옥님과 1인.안수영님.이정세님.박봉규님.권순창님.배병률님.손호진님.나.
◈ 지도.
자개지맥 4구간[흑석고개-배해삼거리-양갈배기(5번국도)-유릉산-무섬교](終).지도 1.
돋보기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자개지맥 4구간[흑석고개-배해삼거리-양갈배기(5번국도)-유릉산-무섬교](終).지도 2.
돋보기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40. 천안출발.
07 : 30/08 :15. 일죽 IC근처 대송휴게소에서 합류.
10 : 38/40. 흑석고개(조개재.10번군도) .영주시 이산면 .우측 절개지 배수로 따라 오름.
10 : 49. 흑석사 갈림길. 묘 우측으로 내려선 안부엔 명학산 제비봉 이정표.길 좋아짐.
10 : 55. Y 갈림길. 돗밤실 둘레길은 우측 이산으로 가고 맥은 좌측으로 내려감.<주의>
11 : 00. 수렛길안부.우측 선령사,좌측 샘골.좌우로 밭이 있고 바로위에 철탑.
11 ; 06. 면경계봉. Y능선에서 좌측으로 감.<주의>
11 ; 10. 수렛길 안부를 건너 절개지를 올라감.좌측 培海池,우측 금봉사.
11 : 14. 좌측으로 윗배해 마을과 도로와 뒤로 박봉산(389.4m)이 보임.우측으로 도로와 맥이 나란히 감.
11 ; 27. 배해 삼거리.935번도로.우측 이산,좌측 상운.용산1리.삼거리 우측 농협창고뒤로 수렛길이 있음.
11 ; 30. 이동통신탑.삼거리 우측 농협창고뒤에서올라온 수렛길이 능선따라 계속됨.
11 ; 45. 검단못-전단교회 안부.수렛길은 바로전에 끝남.좌우로 밭이 있는 날등을 건너가 우측으로 꺽어짐.
11 ; 54/12 : 16. 261m봉 갈림길 묘지에서 점심.좌측으로 감.
12 : 21. 봉위의 예천임씨묘를 내려와 우측 세멘길을 건너감.<주의>
12 : 25. 세멘길건너 고추밭에 왕릉같이 큰묘지 우측능선으로 감. 학가산이 보임.
12 ; 32. 271.3m 삼각점(4 14복구.건설부 74.11).높이는 다음봉이 더 높다.
12 ; 40. 둔덕봉을 넘어가면 상태좋은 세멘 임도가 5번국도까지 이어진다.
12 ; 48. 선우에너지 태양열 발전시설.학가산이 보임.
12 : 55. 임도 갈림길. 임도는 5번국도로 이어지고 맥은 활처럼휘어 삥 돌아감.요령피워 도로따라 5번국도로 감.
13 : 03. 양갈배기. 5번국도 굴다리.맨후미조가 선두조를 만남.
13 ; 10/18. 양갈배기 구도로 위 묘지.모두모여 휴식하고 좌측으로 감.
13 : 25. 222 철탑.바로전에 우측 사면길 있으나 직진해 넘어감.
13 : 40. 공동묘지봉.우측으로 내려감.소백산과 죽령이 보임.
13 : 44. 자개지맥 윗길(유릉산쪽), 아랫길(사낼굴쪽)갈림점.정확한 맥은 아랫길(사낼굴쪽)이나 유릉산길을 택함.
13 : 45/9. 종릉고개.포장도로 삼거리. 좌측 우무실,우측 한정이마을.
13 : 54. 둔덕넘어 2차선도로와 임도 삼거리.좌측 종릉,우측 자만마을.해맞이공원 1.1km.자만 0.5km.임도가맥임.
13 ; 59. 임도 안내도와 벤취.
14 ; 05. 유릉산(柳陵山.299m) 어깨.뒤돌아본 지맥과 사낼굴쪽지맥.지도상의 유릉산은 우측 둔덕봉이나 임도따라 감.
14 ; 09. 임도 갈림길.임도는 우측으로 내려가고 바로 앞 둔덕에 정자보임.해맞이공원 200m.막현 1km.적동리 3.3km.
14 : 10/19. 해맞이 공원 日迎樓 팔각정과 산불초소.학가산,소백산등 주변조망.지도상의 달밤재쯤.
14 : 23. 성금재.영양남공묘뒤에서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능선길 주의>
14 ; 29. 물탱크.세멘길이 막현고개까지 이어짐.
14 ; 32. 막현고개. 1차선포장도로.길건너 우측위로 올라감.
14 ; 35. 언덕위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14 ; 38. 세멘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효자 단양우씨비와 큰 느티나무.
14 ; 53. 176m봉 묘.좌측 사면길 따라 건너가서 우측 으로.<좌측능선 주의>
14 ; 56. 세멘안부 삼거리.좌측 돌내 우측 승평교.임도따라 올라감.
15 : 00. Y 갈림능선.묘 좌측능선으로 감.철로와 서천과 마지막봉의통신탑이 보임.
15 : 04. 중앙선철로.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름.
15 ; 09/17. 마지막봉. 통신탑 있고 서천이 내려다보임.
15 : 20. 물섬마을 도로에 내려서 하천길따라 우측 무섬교로 감.
15 : 24/50. 무섬교.내성천을 건너는 무섬교 앞에서 서천과 내성천이 만남.
15 : 58/16 : 20. 내성천이 휘돌아가는물돌이마을인 수도리 무섬 전통마을을 둘러봄.
17 ; 50. 영주 황주걸음 식당에서 식사후 출발.
19 : 50. 일죽 IC근처 대송휴게소 도착.
20 ; 5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흑석고개-배해삼거리-양갈배기(5번국도). 7km.
10 : 38/40. 흑석고개(조개재.10번군도) .영주시 이산면 .우측 절개지 배수로 따라 오름.
10 : 49. 흑석사 갈림길. 묘 우측으로 내려선 안부엔 명학산 제비봉 이정표.길 좋아짐.
10 : 55. Y 갈림길. 돗밤실 둘레길은 우측 이산으로 가고 맥은 좌측으로 내려감.<주의>
11 : 00. 수렛길안부.우측 선령사,좌측 샘골.좌우로 밭이 있고 바로위에 철탑.
11 ; 06. 면경계봉. Y능선에서 좌측으로 감.<주의>
11 ; 10. 수렛길 안부를 건너 절개지를 올라감.좌측 培海池,우측 금봉사.
11 : 14. 좌측으로 윗배해 마을과 도로와 뒤로 박봉산(389.4m)이 보임.우측으로 도로와 맥이 나란히 감.
11 ; 27. 배해 삼거리.935번도로.우측 이산,좌측 상운.용산1리.삼거리 우측 농협창고뒤로 수렛길이 있음.
11 ; 30. 이동통신탑.삼거리 우측 농협창고뒤에서올라온 수렛길이 능선따라 계속됨.
11 ; 45. 검단못-전단교회 안부.수렛길은 바로전에 끝남.좌우로 밭이 있는 날등을 건너가 우측으로 꺽어짐.
11 ; 54/12 : 16. 261m봉 갈림길 묘지에서 점심.좌측으로 감.
12 : 21. 봉위의 예천임씨묘를 내려와 우측 세멘길을 건너감.<주의>
12 : 25. 세멘길건너 고추밭에 왕릉같이 큰묘지 우측능선으로 감. 학가산이 보임.
12 ; 32. 271.3m 삼각점(4 14복구.건설부 74.11).높이는 다음봉이 더 높다.
12 ; 40. 둔덕봉을 넘어가면 상태좋은 세멘 임도가 5번국도까지 이어진다.
12 ; 48. 선우에너지 태양열 발전시설.학가산이 보임.
12 : 55. 임도 갈림길. 임도는 5번국도로 이어지고 맥은 활처럼휘어 삥 돌아감.요령피워 도로따라 5번국도로 감.
13 : 03. 양갈배기. 5번국도 굴다리.맨후미조가 선두조를 만남.
10 : 38/40. 흑석고개(조개재.10번군도) .영주시 이산면 .
도로확장공사가 마무리 안된절개지 우측 배수로를 따라 오르고.
10 : 41. 흑석고개(조개재.10번군도) 절개지위에서 뒤 돌아 본 약수봉(269m).
10 : 50. 흑석사 갈림길 아래 안부.
묘 우측으로 내려선 안부엔 명학산 제비봉 이정표가 있는데 이 이정표는 이산면에서 세운 것인듯싶고
우측 아래 마을이 돗밤실인데 여기서 부터 보이던 "돗밤실 둘레길 "표지기는 잠시후에 우측 돗밤실마을로 내려간다.
11 : 01. 수렛길안부 바로위에 있는 철밭.
5분후에 만나는 Y 자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
11 : 14. 좌측으로 윗배해 마을과배해삼거리로 가는 도로와가 보이고
뒤로 박봉산( 樸峰山.389.4m)이 보인다
우측으로 도로와 맥이 나란히 배해삼거리로 가고 저 앞봉이 260m봉이다.
11 ; 27. 배해 삼거리.935번도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건너갔다.
11 ; 27. 배해 삼거리.935번도로.
우측 이산,좌측 상운.용산1리 마을표석.삼거리 우측 농협창고뒤로 수렛길이 있다.
11 ; 30. 이동통신탑.
삼거리 우측에 있는 농협창고뒤에서올라온 수렛길이 능선따라 잠시 간다.
11 ; 45. 검단못-전단교회 안부.
수렛길은 바로전에 끝남.좌우로 밭이 있는 날등을 건너가 우측으로 꺽어간다.
11 ; 54/12 : 16. 261m봉 갈림길 묘지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갔다.
12 : 21. 예천임씨묘를 내려와 우측 세멘길을 건너간다.직진하는 능선이 더 실하고 세멘길이 능선위로 있어 주의 할 곳이다.
12 : 25. 세멘길건너 고추밭에 왕릉같이 큰묘지 우측능선으로가며 좌측으로 학가산이 보인다.
12 ; 32. 271.3m 삼각점(4 14복구.건설부 74.11).
높이는 다음봉이 더 높다.
12 ; 40. 둔덕봉을 넘어가면 상태좋은 세멘 임도가 5번국도까지 이어진다.
멀리 문수지맥의 학가산과 조운산이 보인다.
12 ; 48. 선우에너지 태양열 발전시설.
12 : 55. 임도 갈림길.
직진하는 임도는 5번국도로 이어지고 맥은 활처럼휘어 삥 돌아감.요령피워 도로따라 5번국도로 갔다.
바람골우측뒤로 활처럼휘어 삥 돌아가는 지맥모습.
마을앞 철탑있는곳이 양갈배기 5번구도다. 요령피워 도로따라 5번국도로 갔다.
13 : 03. 양갈배기. 5번국도 굴다리.
맨 후미조가 맥따라 돌아온 선두조를 만났다.
※ 양갈배기(5번국도)-유릉산-무섬교 합수점. 5.5km.
13 : 03. 양갈배기. 5번국도 굴다리.맨후미조가 선두조를 만남.
13 ; 10/18. 양갈배기 구도로 위 묘지.모두모여 휴식하고 좌측으로 감.
13 : 25. 222 철탑.바로전에 우측 사면길 있으나 직진해 넘어감.
13 : 40. 공동묘지봉.우측으로 내려감.소백산과 죽령이 보임.
13 : 44. 자개지맥 윗길(유릉산쪽), 아랫길(사낼굴쪽)갈림점.정확한 맥은 아랫길(사낼굴쪽)이나 유릉산길을 택함.
13 : 45/9. 종릉고개.포장도로 삼거리. 좌측 우무실,우측 한정이마을.
13 : 54. 둔덕넘어 2차선도로와 임도 삼거리.좌측 종릉,우측 자만마을.해맞이공원 1.1km.자만 0.5km.임도가맥임.
13 ; 59. 임도 안내도와 벤취.
14 ; 05. 유릉산(柳陵山.299m) 어깨.뒤돌아본 지맥과 사낼굴쪽지맥.지도상의 유릉산은 우측 둔덕봉이나 임도따라 감.
14 ; 09. 임도 갈림길.임도는 우측으로 내려가고 바로 앞 둔덕에 정자보임.해맞이공원 200m.막현 1km.적동리 3.3km.
14 : 10/19. 해맞이 공원 日迎樓 팔각정과 산불초소.학가산,소백산등 주변조망.지도상의 달밤재쯤.
14 : 23. 성금재.영양남공묘뒤에서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능선길 주의>
14 ; 29. 물탱크.세멘길이 막현고개까지 이어짐.
14 ; 32. 막현고개. 1차선포장도로.길건너 우측위로 올라감.
14 ; 35. 언덕위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14 ; 38. 세멘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효자 단양우씨비와 큰 느티나무.
14 ; 53. 176m봉 묘.좌측 사면길 따라 건너가서 우측 으로.<좌측능선 주의>
14 ; 56. 세멘안부 삼거리.좌측 돌내 우측 승평교.임도따라 올라감.
15 : 00. Y 갈림능선.묘 좌측능선으로 감.철로와 서천과 마지막봉의통신탑이 보임.
15 : 04. 중앙선철로.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름.
15 ; 09/17. 마지막봉. 통신탑 있고 서천이 내려다보임.
15 : 20. 물섬마을 도로에 내려서 하천길따라 우측 무섬교로 감.
15 : 24/50. 무섬교.내성천을 건너는 무섬교 앞에서 서천과 내성천이 만남.
13 ; 10/18. 양갈배기 구도로.
수렛길을 따라 조금 올라가 좌측 능선으로 붙으면 묘지가 나온다.
13 ; 10/18. 양갈배기 구도로 위 묘지.모두모여 휴식하고 좌측으로 간다.
13 : 25. 222 철탑.바로전에 우측 사면길 있으나 직진해 넘어갔다.
13 : 40. 공동묘지봉.우측으로 내려감간다.
우측으로 소백산과 죽령이 보인다.
13 : 43. 종릉고개 위에서 본 원 자개지맥이라 할수있는 아랫길(사낼굴쪽) 쪽 모습이다.
분기점은 공동묘지봉과 종릉고개 사이다.사진 좌측 위가 공동묘지봉이고 우측 아래가 종릉고개인데
이 하얀 비닐하우스물은 사진 좌측 도로쪽으로 내려간다.
13 : 45/9. 종릉고개.
포장도로 삼거리. 좌측 우무실,우측 한정이마을.
여기서 원 자개지맥은 좌측 아랫길(사낼굴쪽)이나 도로건너 유릉산길을 택해 갔다.
13 : 54. 둔덕넘어 2차선도로와 임도 삼거리.
좌측 종릉,우측 자만마을.해맞이공원 1.1km.자만 0.5km.앞쪽으로 있는 임도가맥이다.
13 ; 59. 임도 안내도와 벤취를 지나고.
14 ; 05. 유릉산(柳陵山.299m) 어깨근처에서 뒤돌아본 지맥과 멀리 청량산줄기.
지도상의 유릉산은 우측 둔덕봉이나 임도따라 지나갔다.
14 ; 09. 임도 갈림길.
임도는 우측으로 내려가고 바로 앞 둔덕위에 해맞이공원 팔각 정자가 보인다.해맞이공원 200m.막현 1km.적동리 3.3km.
14 : 10/19. 해맞이 공원 日迎樓.
팔각정과 산불초소.학가산,소백산등 주변조망.지도상의 달밤재쯤 되겠다.
14 : 10/19. 해맞이 공원 日迎樓에서 본 학가산과 조운산(좌측 뾰족봉).
사진 가운데로 내성천과 서천의 합수점인 지맥의 끝자락이 어림된다.
14 : 23. 성금재.
영양남공묘뒤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우측능선길 주의>.
14 ; 32. 막현고개.
1차선포장도로.길건너 우측위로 올라간다.
14 ; 38. 효자 단양우씨비와 큰 느티나무가 있는 세멘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간다.
14 ; 53. 176m봉. 묘.
좌측 사면길 따라 건너가서 우측 으로.<좌측능선 주의>.
15 : 04. 중앙선철로.우측으로 내려와 좌측으로 오른다.
15 ; 09/17. 마지막봉. 통신탑 있고 서천이 내려다 보인다.
15 : 20. 물섬마을 도로에 내려서 하천길따라 우측 무섬교로 갔다.이 하천물은 서천으로 들어간다.
저앞에 무섬교가 보이고 다리건너 물섬 전통마을로 들어가는 도로 이정표가 보인다.
15 : 24/50. 무섬교에서 본 합수점.
좌측이 내성천,우측이 서천이고 저앞끝에 전통마을로 들어가는 수도교다리가있다.
. 무섬교에서 본 내성천.
좌측산이 사낼굴쪽으로온 자개지맥의 끝 산이다.
. 무섬교에서 본 유릉산쪽능선(좌)과 사낼굴쪽(우) 지맥모습.
두줄기 사이의 물은 도로옆 하천을 따라 서천으로 들어간다.
지천인 서천이 주천인 내성천보다 강폭이 더 넓다.
수도리 무섬(물) 전통마을의 해우당.
해우당의 편액은 흥선대원군의 친필이란다.
내성천이 굽이 굽이 휘돌아 가 섬처럼 떠있는 육지속의 섬마을인 水道里 물섬(무섬)은
국내 3대 물돌이 마을의 한곳으로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의 길지로 1660년 박수선생께서 처음 마을을 일군후
반남박씨와 선성김씨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있고
9점의 고택이 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해우당은 ?
수도리 무섬 전통마을의 김뢰진가옥.
수도리 무섬(물섬) 전통마을의 청퇴정(淸退亭).
청퇴정(淸退亭)에서 본 해우당고택.
1구간때 들린 식당에 걸려있던 수도리 무섬 전통마을 사진이다.
그때 쓴 산행기를 옮겨 적어본다.
사진설명은 제대로 됐다.
사진 좌측 중간에 발가락만 살짝 보이는 도로 아래쪽이 오늘 내려온 산줄기다.
삼계탕집에 걸려있는 지개지맥 긑자락 건너편에 있는 문수면 수도리전통마을( 무섬마을)풍경이다.
사진은 북에서 남으로 본 풍경같다.내성천이 휘돌아가는 무섬마을 저멀리 보이는 산줄기는 문수지맥이고우측높은산은 학가산 같다.
사진 좌측아래 벌건 흙탕물이 서천이고그 좌측 논 건너로 살짝 보이는 능선이 자개지맥의 긑이고 내성천이 휘돌아가고
사진 좌측 다리가 무섬교이고 우측 내성천울 건너 무섬마을로 들아가는 다리는 수도교다.
사진 우측 아래의 슬라이드 쑈를 눌러 크게하여
좌측의 ▶ 버튼을 눌러 슬라이드 쇼로 보십시오.
< 자개지맥 終>.
달인클럽은 다음 10월 둘째주(9일)부터
2,4주 일요일에 자구지맥을 이어갑니다.
참여하실분은 김형식 회장님(010 3365 5981)님께 연락 바랍니다.
산경표를 따라서(http://cafe.daum.net/yul6629)
'ㅈ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령지맥1구간(금성산분기봉(439m)-삽재-서대산분기점-비들목재). (0) | 2011.10.03 |
---|---|
장령지맥(長靈枝脈)은 ? (0) | 2011.10.03 |
전월지맥 2구간[돌고개-국사봉-연기고개(1번국도)-전월산(260m)-월산교앞](終). (0) | 2011.09.07 |
전월지맥 1구간(금북 국사봉-덕재고개-공주고개-돌고개) . (0) | 2011.09.07 |
전월지맥 (轉月枝脈)은 ? (0) | 201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