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지맥 3구간(남한산성-은고개-용마산-검단산(657m)-팔당댐)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약 15km. 8시간.
남한산성북문-동장대터-521.1m-장구미기고개-300.4m-은고개(43번국도)-중부고속도로 산곡분기점-
용마산(595.7m)-두리봉(고추봉.569m)-검단산(657m)-395m-371.1m- 팔당댐앞 45번국도 배알미삼거리.
◈ 일시 : 2013. 4. 26(금).
◈ 날씨 : 오후엔 비가 온다는 예보나 비는 안 만났고 바람이 많이 불고 흐림.
.
◈ 동행인 : 아내와 둘이서.
◈ 지도.
검단지맥 3구간(남한산성-은고개-용마산-검단산(657m)-팔당댐)終.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검단지맥 3구간(남한산성-은고개-용마산-검단산(657m)-팔당댐)終.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7 : 00. 천안에서 성남(야탑)행 버스(5200원).
07 : 50/08 : 17. 성남 야탑역에서 52번 버스로 남한산성으로.
08 ; 57. 남한산성 산성동도착.
09 ; 03. 북문(北門. 戰勝門)에서 산성길따라 우측으로
09 ; 23. 군포지터(軍鋪址).
09 ; 29. 쭈욱 올라가 우로 꺽임점.뒤로 남문부터 온길이 한눈에 보이고
09 : 45. 된비얄 올라 넘어간 3암문(동암성 암문).바로앞이 동장대터.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 .본성 성곽은 우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하나 내려갈 수 없으니 뒤돌아가 3암문을 나가 마루금 따라감.
10 : 00. 좌측 사면으로 벌봉 갈림길.벌봉 0.2km.
10 : 03. 좌측으로 벌봉 갈림봉(522m). 외동장대터 .우측봉이 521.1m봉.
10 ; 06/15. 521.1m 삼각점봉.422재설. 76.9 건설부 삼각점.검단산과 남한산성 전체를 돌아보며 간식.
10 ; 18. 한봉(汗峰.418m)갈림길. 은고개 3.9km.한봉 1.1km.
10 : 34. 410m. 넘어서며 로프따라 우측으로
10 : 53. 장구마기고개.솔숲안부.
11 : 04. 330m.능선끝에 철탑.용마산 검단산 줄기가 보이고
11 : 20. 300.4m 삼각점.대림학원 학교림 안내판.
11 : 33. 우승지 안동김신묘.바로 아래가 은고개.
11 : 37. 은고개(43번국도). 하남시와 광주시 경계.우측으로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 193m봉으로
11 : 44. 193m봉 넘어 철조망 삼거리에서 직진해 낙엽송밭을가고
11 : 50. 중부고속도로 .여기서 우측으로 내려 갔어야 하는데 좌측으로 내려가 굴다리 찾느라 헤매고 .
12 : 18. 다시 올라와 우측으로 내려간 묘지에서 갈길을 조망.
12 ; 24. 중부고속도로 지하통로 2개를 연이어 건너고.좌측 뾰족한 봉이 맥이나 도로따라 가고
12 ; 29. 낚시터를 지나 세멘길을 오르고
12 : 31. 검단산 7km,용마산 5km 이정표. 좌측 지맥 안부쪽으로 난 세멘길 있으나 장뇌삼재배지라니 일반등산로 따라 오르고
12 ; 40. 쭈욱 올라가 Y 길에서 세멘길은 우측으로 가고 좌측 등산로로 들어서고. 용마산 4.5km 이정표
12 ; 49. 능선위. 지맥아님.좌측엔 마을제를 올리는 산이니 출입금지 경고판. 우측으로 오름.바로위에 철탑.
12 : 53/13 : 08.. 철탑위에서 점심.검은 비구름이 몰려오느라 바람이 불고 침침하다.
13 : 17. 우측 454m봉에서 온 능선길 만나 좌측으로 오름.용마산 1.3km 이정표가 거꾸로 걸려있다.
13 ; 22. 423m봉. 큰 소나무. 지맥마루금 복귀.시계방향으로 돌아 용마산으로
13 : 54/6. 용마산(龍馬山.595.7m).삼각점(이천 21).양수리 두물머리와 정약용 유적지.소내섬.앵자지맥끝과 해협산조망.
14 : 17. 빗방울이 떨어져 비옷을 꺼내입고 536m봉을 넘어서면 우아한 팽나무가 있고.
14 ; 22. 뚝 떨어지는 내림길에 고추봉 우측으로 운길산과 예봉산이 보이고
14 ; 34. 된비얄 오름길 끝에서 용마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 두리봉(569m). 누군가 고추봉이란 코팅지를 걸었다.검단산이 건너다 보인다.
14 : 52. 밋밋하게 나간 전망바위에서 두리봉과 남한산성을 뒤돌아 보고
14 ; 59. 내려간 펑퍼짐한 안부.춤추는 나무.좌측 산곡초교쪽 하산길.
15 ; 05/10. 작은 둔덕을 넘은 안부 위 철탑. 우측으로 수자원공사 하산길. 검단산 1.1km
15 : 22. 된비얄 올라 용마산과 두리봉을 뒤돌아보고 우측으로 꺽어감.바위들 나오고
15 ; 28. 안부. 벤취와 검단산 등산 안내도. 좌측으로 산곡초교 하산길.정상 0.5km.산곡초교 2km.
15 ; 41. 작은 헬기장. 건너편으로 검단산 정상이 건너다본이고.
15 : 42. 안부 삼거리.좌측 곱돌 약수터 0.81km.정상 100m.이정표.긴 계단을 오름.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 넓은 헬기장. 정상표석. 망원경.이동매점.조망좋음.지맥은 우측 아래배알미 2.13km쪽으로.
16 : 06. 길고 긴 계단을 내려간 쉼터. 식탁의자 2. 여기서 지맥은 우측이나 마눌이 힘들어 해 좋은길따라 내려감
16 ; 30. 없는것만 못한 새로 만들고 있는 통나무 계단길.아랫배알미 1.2km검단산정상 1.38km.
17 : 00. 좌측 골짜기위로 통일정사 가는길.세멘길 따라 내려감.검단산 1.8km.아랫배알미 0.3km 이정표 거리는 고무줄 .
17 ; 07. 등산로입구.주차장.등산안내도.371.1m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이고
17 : 16/21. 배알미동 마을회관. 버스종점. 정자.팔당수도사업소.하남가는 버스시간은 16 ; 35. 17 : 10. 17 : 50. 18 ; 35.
17 : 26.지맥의 끝인 팔당댐앞 배알미동 삼거리. 구림식당.
17 : 50. 배알미동(拜謁尾洞) 마을회관에서 2번 버스 타고 하남으로. 손님은 우리 둘 뿐.
18 : 00/18 : 12.. 하남에서 112번 버스 타고 강변역으로
19 : 15 ~20 : 35.. 동서울에서 천안으로
◈ 산행후기.
※ 남한산성북문-521.1m-은고개(43번국도). 6km. 2시간 40분.
07 : 00. 천안에서 성남(야탑)행 버스(5200원).
07 : 50/08 : 17. 성남 야탑역에서 52번 버스로 남한산성으로.
08 ; 57. 남한산성 산성동도착.
09 ; 03. 북문(北門. 戰勝門)에서 산성길따라 우측으로
09 ; 23. 군포지터(軍鋪址).
09 ; 29. 쭈욱 올라가 우로 꺽임점.뒤로 남문부터 온길이 한눈에 보이고
09 : 45. 된비얄 올라 넘어간 3암문(동암성 암문).바로앞이 동장대터.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 .본성 성곽은 우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하나 내려갈 수 없으니 뒤돌아가 3암문을 나가 마루금 따라감.
10 : 00. 좌측 사면으로 벌봉 갈림길.벌봉 0.2km.
10 : 03. 좌측으로 벌봉 갈림봉(522m). 외동장대터 .우측봉이 521.1m봉.
10 ; 06/15. 521.1m 삼각점봉.422재설. 76.9 건설부 삼각점.검단산과 남한산성 전체를 돌아보며 간식.
10 ; 18. 한봉(汗峰.418m)갈림길. 은고개 3.9km.한봉 1.1km.
10 : 34. 410m. 넘어서며 로프따라 우측으로
10 : 53. 장구마기고개.솔숲안부.
11 : 04. 330m.능선끝에 철탑.용마산 검단산 줄기가 보이고
11 : 20. 300.4m 삼각점.대림학원 학교림 안내판.
11 : 33. 우승지 안동김신묘.바로 아래가 은고개.
11 : 37. 은고개(43번국도) .하남시와 광주시 경계.우측으로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 193m봉으로
09 ; 03. 북문(北門. 戰勝門).
산성동 버스 정류장에서 5,6분 거리인 북문에서 산성길따라 우측으로
수어장대 1.7km,우익문(서문)1km,상사창동 3.5km.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대문이 있는데 북문으 병자호란 당시 성문을 열고 나가
기습공격을 감행했던 문이다.싸움에 패하지 않고 모두 승리를 한다는 뜻에서 " 전승문 " 이라고도 하였다.
당시 영의정 김류의 주장에 의해 군사 300여명이 북문을 열고 나가 청나라 군을 공격하였으나
적의 계략에 빠져 전멸하고 말았다.이를 " 법화골 전투 "라 하는데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있었던 최대의 전투이자 최대의 참패였다.
정조3년 1779 성곽을 개보수할때 성문을 개축하고 이름을 붙여
전승문(戰勝門)이라 한것은 그때의 패전을 잊지말자는 뜻이었을것이다.
북문에서 5분쯤 올라가 뒤 돌아 본 수어장대(좌측위)와 서문(우).
북문에서 5분쯤 올라가 본 동장대터(우측 높은봉)과 별봉(좌).
09 ; 23. 군포지(軍鋪址)터.
군포는 성을 지키기위한 초소 건물을 말하는데 남한산성엔 125개의 군포가 있었단다.
09 ; 29. 쭈욱 올라가 우로 꺽이는 지점에서 뒤 돌아 본 남문(좌측안부)-수어장대가 있는 청량산(480m.우)1.
09 ; 29. 쭈욱 올라가 우로 꺽이는 지점에서 뒤 돌아 본 수어장대가 있는 청량산(480m.우)-서문(우측 끝)-북문(가운데안부) 2.
가파른 돌계단을 올라서고
09 : 45. 3암문(동암성 암문).
바로앞에 있는 동장대터에 올랐다가 이리로 다시 내려와서 저 암문으로 나가야한다.
암문(暗門)은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설치한 성문으로 일종의 비밀통로로
이 암문은 원성과 봉암성을 연결하는 주출구로 다른 아문에 비해 매우 큰 편이다.
이정표는 올라온쪽 전승문(북문) 1.4km.우측 좌익문 (동문)1.5km,갈길쪽 벌봉0.5km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 .
본성 성곽은 우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하나 내려갈 수 없으니 뒤돌아가 3암문을 나가 마루금인 봉암성을 따라감.
장대(將臺)란 지휘와 관측을 위해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 건물로 남한산성에는 5개의 장대가 있었다.
이곳은 동장대가 있던곳으로 성 동쪽에 있다하여 동장대라 불린다.
이곳에는 남한산성에 주둔하던 수어청에 소속된 5영중 좌영장을 지휘하던곳이다.
동장데는 인조 2년 1624 산성수축시에 설치되었고 누각도 함께 건립되었으나 18세기 초에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18세게 중엽에 이르러 남장대와 서장대는 다시 수축하였으나 북장대와 동장대는 다시 짓지 않았다.
한봉성과 연주봉옹성의 축성으로 동장대와 북장대는 상징적인 의미만 있을 뿐
군사적인 실효성이 없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에서 본 앞쪽 봉암성(蜂巖城).1
저앞의 우측봉이 521.1m봉이고 좌측봉이 벌봉인 봉암(蜂巖.487m)이다.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에서 본 우측으로 내려 간 본성(本城)과 한봉(汗峰.맨앞봉) 2.
09 : 47. 동장대터(東將臺址)에 있는 안내판.
3암문을 나가 본 동장대터(東將臺址).
봉암성(蜂巖城)안내판에서 뒤 돌아 본 동장대터(東將臺址).
남한산성.
10 : 02. 좌측으로 벌봉(봉암.蜂巖.487m) 길에서 본 갈림봉(522m.좌)과 우측 521.1m 삼각점봉.
벌봉(봉암) 갈림봉(522m)에 있는 외동장대터 표석.
벌봉(봉암) 갈림봉(522m)에 우측으로 본 521.1m 삼각점봉.
벌봉(봉암) 갈림봉(522m)에 본 은고개로 가는 지맥과 용마산-검단산(좌측나무 뒤).
10 ; 06/15. 521.1m 삼각점봉.
422재설. 76.9 건설부 삼각점.검단산과 남한산성 전체를 돌아보며 간식.
10 ; 06/15. 521.1m 삼각점봉에서 본 동장터(앞쪽 하얀곳)과 뒤로 수어장대가 있는 청량산(480m).
이양반들은 우리 가 이리로 오니 멋 모르고 따라왔다 되돌아갔다.
10 ; 06/15. 521.1m 삼각점봉에서 본 군부대와 중계탑이 있는 검단산(534.7m)와
동장대터에서 동문으로 거쳐 남문(우측 위)으로 이어가는 본성모습.
10 ; 18. 한봉(汗峰.418m)갈림길.
여기서 남한산성 성곽은 모두 끝나고 지맥은 좌측 은고개 3.9km 방향으로 내려가고 우측은 한봉(汗峰) 가는길 1.1km.
10 : 49. 장구마기고개 가는길에 본 346m봉.
평지길에 이 로프는 왜 설치했는지?
11 : 04. 330m 능선끝에 철탑.
11 : 04. 330m 능선끝의 철탑에서 본 검단산(657m.좌)-두리봉(569m.고추봉)-용마산(595.7m.우)-은고개.
11 : 20. 300.4m의 글자판없는 납작 삼각점과 대림학원 학교림 안내판.
11 : 33. 우승지 안동김신묘에서 본 가야할 지맥(노란선)과 실제 간 붉은 선 일반등산로.
바로 아래가 은고개.
11 : 37. 은고개(43번국도).
하남시와 광주시 경계.우측으로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 193m봉으로
※ 은고개(43번국도)-용마산(595.7m)-두리봉(569m.고추봉). 5.2km. 2시간 50분.
11 : 37. 은고개(43번국도).하남시와 광주시 경계.우측으로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 193m봉으로
11 : 44. 193m봉 넘어 철조망 삼거리에서 직진해 낙엽송밭을가고
11 : 50. 중부고속도로 .여기서 우측으로 내려 갔어야 하는데 좌측으로 내려가 굴다리 찾느라 헤매고 .
12 : 18. 다시 올라와 우측으로 내려간 묘지에서 갈길을 조망.
12 ; 24. 중부고속도로 지하통로 2개를 연이어 건너고.좌측 뾰족한 봉이 맥이나 도로따라 가고
12 ; 29. 낚시터를 지나 세멘길을 오르고
12 : 31. 검단산 7km,용마산 5km 이정표. 좌측 지맥 안부쪽으로 난 세멘길 있으나 장뇌삼재배지라니 일반등산로 따라 오르고
12 ; 40. 쭈욱 올라가 Y 길에서 세멘길은 우측으로 가고 좌측 등산로로 들어서고. 용마산 4.5km 이정표
12 ; 49. 능선위. 지맥아님.좌측엔 마을제를 올리는 산이니 출입금지 경고판. 우측으로 오름.바로위에 철탑.
12 : 53/13 : 08.. 철탑위에서 점심.검은 비구름이 몰려오느라 바람이 불고 침침하다.
13 : 17. 우측 454m봉에서 온 능선길 만나 좌측으로 오름.용마산 1.3km 이정표가 거꾸로 걸려있다.
13 ; 22. 423m봉. 큰 소나무. 지맥마루금 복귀.시계방향으로 돌아 용마산으로
13 : 54/6. 용마산(龍馬山.595.7m).삼각점(이천 21).양수리 두물머리와 정약용 유적지.소내섬.앵자지맥끝과 해협산조망.
14 : 17. 빗방울이 떨어져 비옷을 꺼내입고 536m봉을 넘어서면 우아한 팽나무가 있고.
14 ; 22. 뚝 떨어지는 내림길에 고추봉 우측으로 운길산과 예봉산이 보이고
14 ; 34. 된비얄 오름길 끝에서 용마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 두리봉(569m). 누군가 고추봉이란 코팅지를 걸었다.검단산이 건너다 보인다.
11 : 55. 중부고속도로 .
여기서 우측으로 내려 갔어야 하는데 좌측으로 내려가 굴다리 찾느라 헤매고 .
11 : 55. 다시 올라온 중부고속도로 우측에서 본 원 마루금능선과 실제 간 등산로 .
12 ; 24. 중부고속도로 지하통로 2개를 연이어 건너고.
좌측 뾰족한 봉이 맥이나 도로따라 가고
12 ; 28. 중부고속도로 개인집인 조각공원에서 뒤 돌아 본 고속도로 건너 193m봉.
12 ; 29. 낚시터를 지나 세멘길을 오르고
세멘길을 따라 오르며 뒤 돌아 본 낚시터와 193m(앞)-300.4m삼각점봉(우)과
골짜기 맨뒤로 검단산의 중계탑이 보이고
좌측으로 건너다 본 지맥 능선인데 이쪽은 장뇌삼재배지라 검은 차광묵울타리가 쳐져있으니 일반등산로 따라 오르고
12 ; 40. 밀봉원을 지나 쭈욱 올라가 Y 길에서 세멘길은 우측으로 가고 좌측 등산로로 들어서고. 용마산 4.5km 이정표
12 ; 49. 능선위(지맥아님).
좌측엔 마을제를 올리는 산이니 출입금지 경고판. 우측으로 오름.바로위에 철탑.
13 : 17. 우측 454m봉에서 온 능선길 만나 좌측으로 오르며 본 용마산.
용마산 1.3km 이정표가 거꾸로 걸려있다.
13 : 54/6. 용마산(龍馬山.595.7m).
삼각점(이천 21).검단산 3.7km. 양수리 두물머리와 정약용 유적지.소내섬.앵자지맥끝과 해협산조망.
13 : 54/6. 용마산(龍馬山.595.7m)에서 본 소내섬과 앵자지맥의 해협산(531.3m.우측 높은산).
맨 우측으로 퇴촌이 보이고 가운데 마을이 남종면이고 맨좌측 능선끝이 앵자지맥의 끝이고 그 우측봉이 정암산(403.3m).
13 : 54/6. 용마산(龍馬山.595.7m)에서 본 천마지맥의 끝인 정약용유적지(악어머리같은 )와
뒤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와 한강지맥의 끝자락모습.
정약용유적지(악어머리같은 ) 우측 강건너는 앵자지맥의 끝자락.
14 : 17. 빗방울이 떨어져 비옷을 꺼내입고 536m봉을 넘어서면 우아한 팽나무가 있고.
두 나무가 하나 된건지 아니면 의좋게 나란히 공존하는건지 보기도 좋다.
저앞에 두리봉과 우측으로 검단산이 올려다 보인다.
14 ; 34. 된비얄 오름길 끝에서 용마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 두리봉(569m).
지리원 지도는 오봉을 두리봉으로 적고있고 영진지도는 조금 앞쪽 좀 낮은곳을 고추봉으로 적고있다.
누군가 고추봉이란 코팅지를 걸었다.검단산이 건너다 보인다.
14 ; 41. 두리봉(569m)에서 본 검단산.
※ 두리봉(569m.고추봉)-검단산(657m)-팔당댐앞 배알미삼거리. 4.9km. 2시간 30분.
14 ; 41. 두리봉(569m). 누군가 고추봉이란 코팅지를 걸었다.검단산이 건너다 보인다.
14 : 52. 밋밋하게 나간 전망바위에서 두리봉과 남한산성을 뒤돌아 보고
14 ; 59. 내려간 펑퍼짐한 안부.춤추는 나무.좌측 산곡초교쪽 하산길.
15 ; 05/10. 작은 둔덕을 넘은 안부 위 철탑. 우측으로 수자원공사 하산길. 검단산 1.1km
15 : 22. 된비얄 올라 용마산과 두리봉을 뒤돌아보고 우측으로 꺽어감.바위들 나오고
15 ; 28. 안부. 벤취와 검단산 등산 안내도. 좌측으로 산곡초교 하산길.정상 0.5km.산곡초교 2km.
15 ; 41. 작은 헬기장. 건너편으로 검단산 정상이 건너다본이고.
15 : 42. 안부 삼거리.좌측 곱돌 약수터 0.81km.정상 100m.이정표.긴 계단을 오름.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 넓은 헬기장. 정상표석. 망원경.이동매점.조망좋음.지맥은 우측 아래배알미 2.13km쪽으로.
16 : 06. 길고 긴 계단을 내려간 쉼터. 식탁의자 2. 여기서 지맥은 우측이나 마눌이 힘들어 해 좋은길따라 내려감
16 ; 30. 없는것만 못한 새로 만들고 있는 통나무 계단길.아랫배알미 1.2km검단산정상 1.38km.
17 : 00. 좌측 골짜기위로 통일정사 가는길.세멘길 따라 내려감.검단산 1.8km.아랫배알미 0.3km 이정표 거리는 고무줄 .
17 ; 07. 등산로입구.주차장.등산안내도.371.1m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이고
17 : 16/21. 배알미동 마을회관. 버스종점. 정자.팔당수도사업소.하남가는 버스시간은 16 ; 35. 17 : 10. 17 : 50. 18 ; 35.
17 : 26.지맥의 끝인 팔당댐앞 배알미동 삼거리. 구림식당.
17 : 50. 배알미동(拜謁尾洞) 마을회관에서 2번 버스 타고 하남으로. 손님은 우리 둘 뿐.
18 : 00/18 : 12.. 하남에서 112번 버스 타고 강변역으로
19 : 15 ~20 : 35.. 동서울에서 천안으로
14 : 52. 밋밋하게 나간 전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두리봉.
14 : 52. 밋밋하게 나간 전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남한산성(우)과 검단산의 중계탑.
15 ; 05/10. 작은 둔덕을 넘은 안부 위 철탑.
우측으로 수자원공사 하산길. 검단산 1.1km
15 : 22. 된비얄 올라 용마산(우측 뒤)과 두리봉(가운데)을 뒤돌아보고 우측으로 꺽어감.바위들 나오고
15 : 42.헬기장을 내려간 안부 삼거리.
좌측 곱돌 약수터 0.81km.정상 100m.이정표.긴 계단을 오름.
검단산(黔丹山.657m)정상아래서 뒤 돌아 본 용마산(뒤)- 두리봉(앞)을 지나온 지맥모습.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 넓은 헬기장. 정상표석. 망원경.이동매점.조망좋음.
지맥은 우측 아래배알미 2.13km쪽으로.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에서 본 한강과 천마지맥의 예봉산,운길산.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에서 본 가야할 지맥능선과 팔당댐(좌측 아래).
남한강,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 두물머리와 천마지맥과 앵자지맥이 마주보는모습.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에서 본 하남시.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에서 정상표석앞 아래배알미 2.13km쪽으로 하산.
15 ; 47/57. 검단산(黔丹山.657m) 정상표석 뒤에 있는 요것이 삼각점인가?
16 : 06. 길고 긴 요 계단을 내려가 식탁의자 2 있는 쉼터에서 지맥은 우측이나 마눌이 힘들어 해 넓은길따라 내려갔더니
없는것만 못한 새로 만들고 있는 요런 통나무 계단길이저 아래끝까지 이어진다.
허들경기장도 아니고 도대체 이런 계단을 만들고있는 사람들은 누군지?
배알미동 마을회관 버스종점에서 본 지맥능선의 371.1m봉.
배알미동 마을회관 버스종점에서 본 검단산.
17 : 26.지맥의 끝인 팔당댐앞 배알미동 삼거리.
371.1m에서 내려왔으면 이 구림식당으로 내려왔을것이다.
17 : 26.지맥의 끝인 팔당댐앞 배알미동 삼거리에서 본 팔당댐.
17 : 26.지맥의 끝인 팔당댐앞 배알미동 삼거리.
17 : 50. 다시 돌아온 배알미동(拜謁尾洞) 마을회관에서 본 검단산.
배알미동에서 하남가는 버스시간은 오후엔 15 : 50. 16 : 35. 17 : 10.17 ; 50. 2번 버스 타고 하남으로. 손님은 우리 둘 뿐.
<終>
'ㄱ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두지맥 (犬頭枝脈) 은 ? (0) | 2013.04.30 |
---|---|
견두지맥 2구간(밤재-견두산(犬頭山.804m)-천마산-깃대봉-죽정치). (0) | 2013.04.29 |
검단지맥 2구간(새마을고개-영장산-검단산(534.7m)-북문). (0) | 2013.04.09 |
구암지맥 4구간[양곡재(914번도로)-약산(583m)- 길안천/반변천 합수점]終. (0) | 2013.04.04 |
검단지맥 1구간(한남분기점-법화산(383.3m)-불곡산(344.5m)-새마을고개). (0) | 201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