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두지맥 1구간(정령치-만복대 분기봉(1365m)-영제봉-밤재).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거리 약 13km. 5시간 50분.
지리산 정령치-1351m봉-견두지맥분기봉(약1365m)-만복대(1433m)왕복-1167m봉-요강(오강)바위-1112m봉-
다름재-영제봉(1048m)-824m-881m-800.4m 삼각점봉-739m솔재-숙성재-543m 시루봉-밤재-밤재터널입구
◈ 일시 : 2013. 5. 26(일).
◈ 날씨 : 저녁엔 비가온다는 예보로 종일 흐리고 바람이 불어 시원하나 시계는 나쁨.
◈ 동행인 : 달인클럽 28명. 김형식회장님.오세춘님.이한원님.고광의님.곽병태님.정영옥님.강형태님.강경복님.이성모님.
정환규님.김정옥님. 현주환님.이정세님.박봉규님. 배병률님.손호진님.주기현님. 최상진님.왕언니님.최숙녀님.
김홍천님과 송백회원 2분. 이승희님 부부와 지인 2분.박종율.
◈ 지도
견두지맥 1구간(정령치-만복대 분기봉(1365m)-영제봉-밤재). 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30. 영등포경방필앞.
07 : 00. 양재출발.
08 : 05. 천안에서합류.
11 : 08/09.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남쪽 나무계단을 오르며 산행시작.만복대 2km,바래봉 9.4km 이정표.
11 ; 13. 계단끝 첫봉. 산불초소.북쪽 고리봉-바래봉 능선과 1351m봉과 분기봉이 올려다 보이고
11 : 22. 한오름 올라서면 지북 20-01. 현위치 1240m 구조 표지목이 있고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반야봉부터 지리 주능선과 고리봉 능선과 만복대와 견두지맥 분기봉과 갈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야생동물 촬영 카메라.바위봉에서 갈맥을 짚어보고 좌측 만복대를 다녀옴.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점심. 돌탑과 이정표.사방 팔방 시원한 조망.정령치 2km,성삼재 5.3km 이정표.
12 ; 26. 다시 견두지맥 분기점(1365m).전망바위 좌측 아래로 뚝 떨여져 내려감.
12 : 44. 쭈욱 내려가 뾰족한 1167m봉을 우측으로 길게 우회함.
12 : 56. 다시 쭈욱 내려가 안부 가까이에 오(요)강바위.
12 : 58. 안부. 바로앞에서 갈 1112m,1109m봉을보고 샛길 단속구간 현수막에서 1167m봉을 뒤돌아 본다.
13 ; 10. 한오름 올라선 얼굴형상의 바위에서 뒤로 1167m봉과 구름속에 갇힌 만복대가 어림되고
13 : 13. 1112m봉. 우측(북)으로 큰 능선으로 고기리 하산로 가 잘나있고 맥은 좌측으로 간다.
13 ; 15/20. 1109m봉. 좌측이 절벽인 전망대.좌측으로 지나온 능선이 빤히 보임.잠시 조망 즐기고 빼곡한 철쭉길로
13 : 36. 쭈욱 내려간 영진지도의 다름재 억새안부.좌측골이 깊게 내려다 보이고 좌우로 길은 안보인다.
13 : 42. 1042m봉. 1/25000의 다름재.정점 10여m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감.
좌측길은 산수유 마을인 위안리나 지리산온천지구 하산길 인듯.
13 : 46. 살짝 올라선 둔덕봉. 가지많은 큰 소나무있고 1042m을 뒤 돌아 보고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직진능선길 주의>저앞 824m봉이 높게
14 : 14. 좌측 국립공원 현수막 뒤 능선으로 수락폭포쪽 하산길에서 우측으로 내려가고.<주의>
14 : 16. 큰 절벽바위를 우측으로 우회해 내려간다.
14 : 21. 산죽밭을 빠져나온 맨밑 안부. 824m봉 오름길이 시작.
14 ; 33. 작은 둔덕을 하나 넘고 다시 824m봉 오름길에 영제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51. 824m봉.조망 없으나 잠시 숨 돌리고 좌측으로 꺽어간다.
14 : 58. 881m봉 넓적 바위. 800.4m 삼각점봉과 그뒤로 밤재와 견두산이 보인다.
15 : 11. 800.4m삼각점봉 턱밑 안부.좌측으로 삼각점봉을 우회하는 사면길 있고.소나무 고사목.
15 ; 13. 800.4m 삼각점봉(남원 307. 1981재설).작은 공터. 조망 없고
15 : 21. 안부. 앞 739m봉으론 길이 안 보이고 좌측 사면으로 돌아간다.
15 : 23. 건너편 지능선위에 솔재 이정표(밤재 3.4km).수락폭포 가는 좌측 능선길 좋고 지맥은 우측 사면으로 <주의>
15 : 28. 길게 건너간 739m봉 서쪽 지맥능선 복귀. 큰 서어나무 한그루.길은 평지 능선으로 쭈욱 감.
15 : 37. 좌로 꺽어 659m에서 800.4m 삼각점봉과 우회한 739m봉을 뒤돌아 보고 정점 우측 사면길로 내려감.
15 : 43/53. 내림길에 로프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잠시 쉬며 견두산과 밤재를 건너다 보고
15 ; 56. 길게 내려간 로프끝 안부.숙성치 이정표(밤재 2.1km.솔재 1.3km).앞 작은 둔덕을 넘어간다.
16 ; 01/3. 서낭당 안부.우측에 현위치 가마바위 이정표.우측 숙성골 0.1km.앞쪽 시루봉 0.28km.
좌측으로 내려가면 밤재터널 입구로 가는 임도를 만날듯.길은 뜨렷함.우측골에 농가집 한 채
16 : 08. 543m봉 시루봉.앞밤재1.4km 이정표. 좌측으로 꺽어가고 직진 능선길은 지리산 유스호텔쪽 하산길.<주의>
16 : 13. 묘봉.가마봉 535m 코팅지.멀리 견두산이 보인다.내려간 안부는 신밤재터널위다.
16 : 18. 간벌목봉.좌측 아래로 밤재 터널입구에 우리 차가 보이고 앞쪽엔 견두산이 보인다.
16 : 23. 간벌목끝봉에서 뒤로 800.4m 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
16 : 27. 209번 철탑봉.한일자로 밋밋한 능선이 이어지고
16 : 35. 밤재 우측.우측으로 내려오면 지리산 둘레길 안내도와 이정표(견두산 3.km.숙성치 2.1km).
16 : 36/45. 밤재 좌측.견두산 등산안내도와 계단길. 쉼터와 밤재(490m)표석.수도물에 대충씻고 임도따라 내려감.
16 : 54. 임도/임도차길 갈림길.우측으로 임도따라 마을쪽으로 돌아 내려감.
17 : 00. 밤재터널입구에서 산행종료.밤재 2.1km 견두산 5.1km 이정표.터널은 일방통행.
18 : 15. 후미 도착하여 남원으로 감. 처음 오신 이승희님 지인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17 : 15. 남원 광한루 근처의 고향마루 추어탕집(063 632 8820)에서 추어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21 : 20. 논스톱으로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정령치-만복대분기점(1365m)-영제봉(1048m). 2시간 18분.
06 ; 30. 영등포경방필앞.
07 : 00. 양재출발.
08 : 05. 천안에서합류.
11 : 08/09.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남쪽 나무계단을 오르며 산행시작.만복대 2km,바래봉 9.4km 이정표.
11 ; 13. 계단끝 첫봉. 산불초소.북쪽 고리봉-바래봉 능선과 1351m봉과 분기봉이 올려다 보이고
11 : 22. 한오름 올라서면 지북 20-01. 현위치 1240m 구조 표지목이 있고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반야봉부터 지리 주능선과 고리봉 능선과 만복대와 견두지맥 분기봉과 갈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야생동물 촬영 카메라.바위봉에서 갈맥을 짚어보고 좌측 만복대를 다녀옴.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점심. 돌탑과 이정표.사방 팔방 시원한 조망.정령치 2km,성삼재 5.3km 이정표.
12 ; 26. 다시 견두지맥 분기점(1365m).전망바위 좌측 아래로 뚝 떨여져 내려감.
12 : 44. 쭈욱 내려가 뾰족한 1167m봉을 우측으로 길게 우회함.
12 : 56. 다시 쭈욱 내려가 안부 가까이에 오(요)강바위.
12 : 58. 안부. 바로앞에서 갈 1112m,1109m봉을보고 샛길 단속구간 현수막에서 1167m봉을 뒤돌아 본다.
13 ; 10. 한오름 올라선 얼굴형상의 바위에서 뒤로 1167m봉과 구름속에 갇힌 만복대가 어림되고
13 : 13. 1112m봉. 우측(북)으로 큰 능선으로 고기리 하산로 가 잘나있고 맥은 좌측으로 간다.
13 ; 15/20. 1109m봉. 좌측이 절벽인 전망대.좌측으로 지나온 능선이 빤히 보임.잠시 조망 즐기고 빼곡한 철쭉길로
13 : 36. 쭈욱 내려간 영진지도의 다름재 억새안부.좌측골이 깊게 내려다 보이고 좌우로 길은 안보인다.
13 : 42. 1042m봉. 1/25000의 다름재.정점 10여m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감.
좌측길은 산수유 마을인 위안리나 지리산온천지구 하산길 인듯.
13 : 46. 살짝 올라선 둔덕봉. 가지많은 큰 소나무있고 1042m을 뒤 돌아 보고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직진능선길 주의>저앞 824m봉이 높게
11 : 08/09.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남쪽 나무계단을 오르며 산행시작.
만복대 2km,바래봉 9.4km 이정표.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남쪽 나무계단을 오르며 뒤 돌아 본 정령치 휴게소와 남원고리봉.
11 ; 13. 계단끝 첫봉의 산불초소.
북쪽 고리봉-바래봉 능선과 1351m봉과 분기봉이 올려다 보이고
11 ; 13. 계단끝 첫봉의 산불초소에서 뒤 돌아 본 고리봉과 바래봉능선.
11 ; 13. 계단끝 첫봉의 산불초소에서 본 1351m봉 가는길.
우측 제일높은 1351m봉 뒤로 분기봉이 살짝 보인다.
11 : 22. 한오름 올라서면 지북 20-01. 현위치 1240m 구조 표지목이 있고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
이 꼬마는 가기 싫어 칭얼거리더니 만복대 오름길엔 결국 울음보를 터트리고 엄마품에 안겼다.
반야봉부터 지리 주능선과 고리봉 능선과 만복대와 견두지맥 분기봉과 갈 지맥능선이 건너다 보인다.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에서 뒤 돌아 본 정령치(가운데)와 그리봉-바래봉능선.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에서 본 만복대(좌)와 견두 분기점(우)
11 : 36. 1351m봉 바위 전망대에서 본 견두지맥 1167m(중),영제봉(우측뒤).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
야생동물 촬영 카메라.바위봉에서 갈맥을 짚어보고 좌측 만복대를 다녀옴.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
5,6명이 수련중인데 올라갈때 자세가 점심먹고 내려와도 그자세로 그대로 있다.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에서 본 만복대와 뒤로 반야봉.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에서 본 갈 지맥.
저아래봉이 1167m봉,가운데 한일자 능선이 1109-1112m이고
뒷줄 우측봉이 영제봉(1048m)이다.
11 : 48/9. 견두지맥 분기점(1365m)에서 본 1351m봉-정령치-고리봉-바래봉-덕두산능선.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점심.
돌탑과 이정표.사방 팔방 시원한 조망.정령치 2km,성삼재 5.3km 이정표.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점심(최상진님 왕언니님.김홍천님팀).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점심(김정옥님. 이승희님팀.강회장님은 여기에 꼽사리 꼈다가...)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본 반야봉.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본 성삼재 가는길.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본 정령치-고리봉 -덕두산능선.
11 : 59/12 : 18. 만복대1433m)에서 본 견두분기점.
구름이 몰려 오고 이후론 만복대는 운무속에 문을 닫았다.
12 ; 26. 다시 견두지맥 분기점(1365m).전망바위 좌측 아래로 뚝 떨여져 내려감.
12 : 44. 쭈욱 내려가 뾰족한 1167m봉을 우측으로 길게 우회함.
12 : 56. 다시 쭈욱 내려가 안부 가까이에 오(요)강바위.
지도엔 오강바위로 표기돼 있으나 통상 요강바위로 불린다.
요새 젊은 친구들은 요강이 뭔지 알려나?
12 : 58. 안부에서 본 갈 1112m,1109m봉.
저기 보이는 현수막은 샛길 단속구간 현수막인데 위에선 없었는데...
13 ; 10. 한오름 올라선 얼굴형상의 바위에서 뒤로 1167m봉과 구름속에 갇힌 만복대가 어림되고
13 : 13. 1112m봉.
우측(북)으로 큰 능선으로 고기리 하산로 가 잘나있고 맥은 좌측으로 간다.
13 ; 15/20. 1109m봉.
좌측이 절벽인 전망대에서 본 갈 지맥.1042M(좌)-영제봉(우).
13 : 42. 1042m봉에서 뒤 돌아 본 1109m -1112m봉과 1167m봉.
1/25000의 다름재.정점 10여m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감.
좌측길은 산수유 마을인 위안리나 지리산온천지구 하산길 인듯.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1042m봉.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뒤 돌아 본 1112m-만복대쪽.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직진능선길 주의>저앞 824m봉이 높게
14 : 14. 좌측 국립공원 현수막 뒤 능선으로 수락폭포쪽 하산길에서 우측으로 내려가고.<주의>
14 : 16. 큰 절벽바위를 우측으로 우회해 내려간다.
14 : 21. 산죽밭을 빠져나온 맨밑 안부. 824m봉 오름길이 시작.
14 ; 33. 작은 둔덕을 하나 넘고 다시 824m봉 오름길에 영제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51. 824m봉.조망 없으나 잠시 숨 돌리고 좌측으로 꺽어간다.
14 : 58. 881m봉 넓적 바위. 800.4m 삼각점봉과 그뒤로 밤재와 견두산이 보인다.
15 : 11. 800.4m삼각점봉 턱밑 안부.좌측으로 삼각점봉을 우회하는 사면길 있고.소나무 고사목.
15 ; 13. 800.4m 삼각점봉(남원 307. 1981재설).작은 공터. 조망 없고
15 : 21. 안부. 앞 739m봉으론 길이 안 보이고 좌측 사면으로 돌아간다.
15 : 23. 건너편 지능선위에 솔재 이정표(밤재 3.4km).수락폭포 가는 좌측 능선길 좋고 지맥은 우측 사면으로 <주의>
15 : 28. 길게 건너간 739m봉 서쪽 지맥능선 복귀. 큰 서어나무 한그루.길은 평지 능선으로 쭈욱 감.
15 : 37. 좌로 꺽어 659m에서 800.4m 삼각점봉과 우회한 739m봉을 뒤돌아 보고 정점 우측 사면길로 내려감.
15 : 43/53. 내림길에 로프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잠시 쉬며 견두산과 밤재를 건너다 보고
15 ; 56. 길게 내려간 로프끝 안부.숙성치 이정표(밤재 2.1km.솔재 1.3km).앞 작은 둔덕을 넘어간다.
16 ; 01/3. 서낭당 안부.우측에 현위치 가마바위 이정표.우측 숙성골 0.1km.앞쪽 시루봉 0.28km.
좌측으로 내려가면 밤재터널 입구로 가는 임도를 만날듯.길은 뜨렷함.우측골에 농가집 한 채
16 : 08. 543m봉 시루봉.앞밤재1.4km 이정표. 좌측으로 꺽어가고 직진 능선길은 지리산 유스호텔쪽 하산길.<주의>
16 : 13. 묘봉.가마봉 535m 코팅지.멀리 견두산이 보인다.내려간 안부는 신밤재터널위다.
16 : 18. 간벌목봉.좌측 아래로 밤재 터널입구에 우리 차가 보이고 앞쪽엔 견두산이 보인다.
16 : 23. 간벌목끝봉에서 뒤로 800.4m 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
16 : 27. 209번 철탑봉.한일자로 밋밋한 능선이 이어지고
16 : 35. 밤재 우측.우측으로 내려오면 지리산 둘레길 안내도와 이정표(견두산 3.km.숙성치 2.1km).
16 : 36/45. 밤재 좌측.견두산 등산안내도와 계단길. 쉼터와 밤재(490m)표석.수도물에 대충씻고 임도따라 내려감.
16 : 54. 임도/임도차길 갈림길.우측으로 임도따라 마을쪽으로 돌아 내려감.
17 : 00. 밤재터널입구에서 산행종료.밤재 2.1km 견두산 5.1km 이정표.터널은 일방통행.
18 : 15. 후미 도착하여 남원으로 감. 처음 오신 이승희님 지인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17 : 15. 남원 광한루 근처의 고향마루 추어탕집(063 632 8820)에서 추어탕으로 저녁먹고 출발.
21 : 20. 논스톱으로 천안도착.
13 : 57/05. 1048m봉. 영제봉 표석.조망바위에서 좌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감. <직진능선길 주의> 13분 내려가서 본 824m.881m봉. 14 ; 33. 작은 둔덕을 하나 넘고 다시 824m봉 오름길에 영제봉을 뒤돌아 보고 14 : 41/51. 824m봉.조망 없으나 잠시 숨 돌리고 좌측으로 꺽어간다. 14 : 58. 881m봉 넓적 바위. 14 : 58. 881m봉 넓적 바위. 15 : 00.881m봉을 내려서며 본 좌측 수락폭포쪽 모습. 15 ; 13. 800.4m 삼각점봉(남원 307. 1981재설). 15 : 23. 건너편 지능선위에 솔재 이정표(밤재 3.4km). 15 : 37. 좌로 꺽어 659m에서 본 800.4m 삼각점봉(좌측 뾰족봉)과 우회한 739m봉(우)을 뒤돌아 보고 15 : 43/53. 내림길에 로프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잠시 쉬며 견두산(좌)과 밤재(가운데 하얀점잇는 안부)를 건너다 보고 15 ; 56. 길게 내려간 로프끝 안부 숙성치. 16 ; 01/3. 서낭당 안부. 가마바위에서 뒤 돌아 본 659m봉(우). 16 : 08. 543m봉 시루봉. 앞밤재1.4km 이정표. 좌측으로 꺽어가고 직진 능선길은 지리산 유스호텔쪽 하산길.<주의> 16 : 13. 묘봉. 가마봉 535m 코팅지.멀리 견두산이 보인다.내려간 안부는 신밤재터널위다. 16 : 18. 간벌목봉. 16 : 23. 간벌목끝봉에서 뒤로 800.4m 봉부터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고.맨우측봉이 659M봉. 16 : 27. 209번 철탑봉에서 뒤 돌아 본 M자모양의 881m봉과 800.4m봉. 16 : 35. 밤재 우측. 16 : 35. 밤재 우측에 있는 둘레길안내도 16 : 36/45. 밤재 좌측. 16 : 36/45. 밤재 좌측. 16 : 36/45. 밤재 쉼터 우측의 임도로 내려서며 본 영제봉(맨뒤 흘릿)-818m봉-800.4m봉(M자형)-숙성치(좌). 17 : 00. 밤재터널입구에서 산행종료.밤재 2.1km 견두산 5.1km 이정표.터널은 하행선 일방통행. 17 : 15. 남원 광한루 근처의 고향마루 추어탕집(063 632 8820)에서 추어탕으로 저녁먹고 17 : 15. 남원 광한루 근처의 고향마루 추어탕집(063 632 8820)에서 추어탕으로 저녁먹고. 달인클럽은 다음 6월 9일 둘째 주 부터 2.4주 일요일에 <견두지맥 終 >.
저앞의 824m.881m봉이 이봉보다 더높은것같이 보이고 그뒤 뾰족봉이 800.4m봉인듯.
좌측 뒤로 견두산이 흐릿하게 보인다.
800.4m 삼각점봉과 그뒤로 밤재와 견두산이 보인다.
800.4m 삼각점봉과 그뒤로 밤재와 견두산이 흐릿하게 보인다.
포장도로가 골안 깊숙히 들어와 있다.
작은 공터. 조망 없고
수락폭포 가는 좌측 능선길 좋고 지맥은 우측 사면으로 <주의>
정점 우측 사면길로 내려감.
숙성치 이정표(밤재 2.1km.솔재 1.3km).앞 작은 둔덕을 넘어간다.
우측에 현위치 가마바위 이정표.우측 숙성골 0.1km.앞쪽 시루봉 0.28km.
좌측으로 내려가면 밤재터널 입구로 가는 임도를 만날듯.길은 뜨렷함.우측골에 농가집 한 채
좌측 아래로 밤재 터널입구에 우리 차가 보이고 앞쪽엔 견두산이 보인다.
한일자로 밋밋한 능선이 이어지고
우측으로 내려오면 지리산 둘레길 안내도와 이정표(견두산 3.km.숙성치 2.1km).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견두산 등산안내도와 계단길. 쉼터와 밤재(490m)표석.수도물에 대충씻고 임도따라 내려감.
견두산 2구간을 역으로 종주해 온 이정세님과 배병률님. 주기현님.
웅석지맥을 이어갑니다.
'ㄱ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지맥 (江華枝脈) 은 ? (0) | 2013.06.07 |
---|---|
관악지맥 2구간(갈현고개-국기봉-관악산(632m)-까치산근린공원). (0) | 2013.05.28 |
관악지맥 1구간(상광교동-한남 백운산 분기봉(562.5m)-학현-국사봉-갈현동). (0) | 2013.05.17 |
견두지맥 3구간(죽정치-천왕봉(天王峰.695m)-갈미봉-병방/섬진강). (0) | 2013.05.13 |
관악지맥 (冠岳枝脈)은 ? (0) | 201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