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지맥 3구간(낙조대-고려산(436.3m)-봉천산-별악산- 제적봉 평화전망대)終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15.3km(맥 12.3km + 진입 3km). 6시간 26분.
적석사-낙조봉(340m)-고천리 고인돌군-진달래능선- 고려산(436.3m)헬기장-시루메산(250m)-160m산불초소-
2차선 7번 군도(부근리 점골 지석묘)-48번도로 (하점면 장정마을)-봉천산(291.1m. 봉천대)-새말고개 2차선도로-
덕고개 2차선도로-성덕산(210m)-별악봉(167.3m)-제적봉 평화전망대.
◈ 일시 : 2013. 6. 6(목).
◈ 날씨 : 30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
◈ 동행인 : 나홀로.
◈ 지도.
강화지맥 3구간(낙조대-고려산(436.3m)-봉천산-별악산- 제적봉 평화전망대)終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강화지맥 3구간(낙조대-고려산(436.3m)-봉천산-별악산- 제적봉 평화전망대)終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18. 전철로 천안출발.
08 : 00. 신길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타고
08 ; 35/55. 송정역에서 강화행 버스탐.
09 : 52. 강화에 도착하여 나래현을 넘어가는 30번 버스시간을 알아보나 차가 없다.
10 ; 06/20. 택시로 적석사로 감.11700원.
10 : 20/26. 적석사(積石寺).조망 좋아 나래현과 혈구산을 보고 좌측 보타전 가는길로 낙조대로 오름.고구려 장수왕 4년(416년)창건.
10 : 29/32. 낙조대.낙조대 일몰은 강화8경의 한곳으로 혈구산. 고려지,석모도.고려산 조망이 일품임.해수관세음보살 좌측으로 오름
10 ; 39. 낙조봉(落照峰.340m).좌측 망월리. 미꾸리 2.6km.우측 고려산 2.7km.적석산 0.4km이정표.고려산,석모도 조망.
10 ; 43. 안부. 우측으로 적석사 하산길에 이정표.
10 : 47. Y 갈림길 봉에서. 우측 능선길로 간다 ,좌측은 계곡길로 잠시후에 다시 만난다.
10 ; 53. 두길은 다시 만나 안부로 내려간다.
10 ; 54. 안부 지나서 인천 기념물 제 46호인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을 지나고
11 ; 04, 둔덕을 넘어가면 또 고인돌군을 지난다.
11 : 08. 좀 올라서면 우측으로 내가면 하산길에 이정표가 있으며 오름길이 된다
11 : 14. 첫봉을 넘어서면 고려산 좌측밑으로 군부대와 시루메산과 봉천산등 가야할 지맥이 눈에 들어온다.
11 ; 19. 봄엔 진달래 축제장으로 유명한 진달래 군락지 전망대.사방으로 조망이 트여 고려산,혈구산, 봉천산.별립산등 조망.
12 : 27. 고려산 정상밑 헬기장.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실질적인 고려산정상. 혈구산쪽을 보고 좌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감.
12 : 32. 우측으로 청련사와 혈구산 가는 삼거리.고려산 정상 0.2km, 백련사 1.2km. 청련사 1.6km 이정표.좌측으로 도로따라
12 : 35. 고려산 오련지(五蓮池).고려산 주변 사찰의 창건과 연관된 못.
11 : 38. 앞쪽은 군부대로 통행금지라 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들어서고 고려산정상 0.6km. 백련사 0.7km 이정표.
11 : 38/43. 우측으로 백련사 하신길 공터에서 잠시 땀좀 식히며 쉬어서 좌측 숲길로 가고
11 ; 46. 쭈욱 내려가 군부대 철조망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48. 철조망으로 붙어 좌측으로 돌아가야 하나 바로 아래에 백련사가 보이므로 백련사를 들렸다 가기로
11 : 51/54. 백련사.규모가 꽤큰 유서깊은 사찰로 청련사,적석사와 함께 고려산 자락의 3대 사찰이다.우측뒤로 오름
12 : 06. 군부대뒷봉을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 주능선도로가의 헬기장 . 백련사에서 여기까진 길이 없어 고생좀 했다.
12 ; 09/10. 시루메산(250m). 벙커봉으로 고려산과 가야할 봉천산조망.좌측으로 내려서고
12 : 15/6. 교통호 따라 오른 봉에서 시루메산과 고려산을 뒤돌아 보고 앞쪽에 산불초소봉과 별립산이 보인다.
12 : 31/41. 160m 산불초소봉. 폐움막과 좌측 넘어쪽에 산불초소.봉천산, 별립산을 보고 초소 우측 묘지앞으로 내려감.
12 : 45. Y갈림길에서 우측 잣나무숲으로 내려서는데 <여기서 좌측으로 갔으면 마을로 곧장 들어갔을 것 같다>
12 : 50. 잣나무밭 쉼터앞의 그물망 울타리.앞에 지석묘가 빤히 보이나 넘어갈 수 없으니 우측으로 삥 돌아갔다.
13 : 01. 울타리가 계속 쳐져 있어 결국 점곡 지석묘앞 도로까지 뺑 돌아왔다.지석묘 보고 도로따라 48번도로로 .
13 ; 13. 48번도로 우측에 하점 우체국앞 버스정류장.곧장 하점슈퍼 우측 마을길로 들어가서
13 ; 16. 하점천주교,믿음슈퍼가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석조여래입상 900m쪽 길로 들어서 믿음슈퍼 뒤로 간다
13 : 18. 맥을 우측에 끼고 수렛길따라 쭈욱 올라간다.
13 : 22. 좌측 마을에서 온길을 만나는 안부.전주이씨 납골묘와 평택임씨묘지 위로 오른다.
13 ; 31. 쭈욱 올라간 묘지군위에서 고려산부터 온길을 쭈욱 훝어본다.3분후 좌측 계곡쪽에서 올라온 일반 등산로를 만난다.
13 ; 40. 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직진해 오르는 마루금엔 길이 없고 우측 사면길은 양오리쪽 봉으로 오른다
13 ; 42. 봉천산 정상부가 올려다 보이는 곳에 공설묘지 안내판이 있고 길은 계곡 끝에서 우측으로 오른다.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 팔각정자와 철탑, 삼각점(교동 306)이 있고 좌측 아래엔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봉천대가 있다
사방 막힘이 없어 고려산과 가야할 지맥의 끝뒤로 바다 건너 북한땅과 문수산이 보이고 별립산과 석모도가 가깝게 보인다. 점심.
14 : 20. 살짝 내려서며 새말고개 건너편봉과 우측으로 덕고개 건너 장군바위봉(210m봉)을 보고
14 : 28. 쭈욱 내려가 안부 건너 봉에선 좌로 꺽어가고
14 ; 37. 2차선도로인 새말고개.하점면과 양사면 경계.
14 : 50. 시원찮은 길따라 쭈욱 올라간 200m봉 우측 어깨의 묘2기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5 : 01. 안부→ 둔덕을 넘어 내려간 Y길에서 좌측으로 . 우측으로 가면 비석묘지.간벌목으로 길 나쁨
15 : 11/16. 덕고개 2차선도로. 덕고개 삼거리 버스정류장. 우측 집에서 물보충.좌측 넘어엔 검문소와 양사면사무소 .길 좋아짐.
15 ; 33. 쭈욱 올라간 삼거리. 좌측에서 올라온 좋은길 만나고 덕고개 삼거리 → 이정표.
15 : 37/40. 장군바위 600m이정표와 군삼각점(?)이 있는 바위봉에서 별립산과 교동도조망. 도상 210m 성덕산 정상은 6,70m위에
15 : 43/54. 정점을 지나 100여m 내려가면 운동기구들있는 성덕산정상쉼터. 이정표(별악산,약수터. 성덕산정상쉼터 876m지점).
좌측 아래에 약수터있고 운동기구 앞에서 좌측으로 팍 꺽어 로프따라 내려가며 길은 대로가 된다.
16 ; 05. 둔덕을 넘어간 안부엔 우측(60m) 금정골 하산길 이정표.
16 : 08. 앞 둔덕을 넘어 좌측으로 별악봉(別岳峰.167.3m)갈림길. 맥은 우측으로 꺽어가며
이정표는 별악봉쪽을 저담산 2km지점으로 표기하고 별악산은 우측 콘테이너 있는쪽으로 가란다.
16 ; 13. 주욱 내려가 좌측으로 북성 2리,우측으로 덕하2리 하산길 안부 네거리를 지나고.
16 ; 19. 별악산(140m)밑에서 로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르고
16 ; 22/25. 철계단을 오르면 이정표상의 별악산(140m).조망좋아 고려산,봉천산,성덕산으로 이어온 산줄기가 한눈에 들어온다.
16 : 26. 내려서면 바로 별악산정상(2.9km지점),덕하2리 이정표잇는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31. 내려온 안부.좌측 북성2리,우측 철산리(철곳). 앞쪽 평화전망대 이정표를 지나면 넓은 수렛길이 다시 나온다.
16 : 39/40. 좌측에서 올라온 세멘길을 만나며 우측엔 군부대 철조망이 보인다.앞쪽, 우측은 평화전망대(통행불가)란다.
좌측 북성2리 (평화전망대)라 쓴걸보면 좌측으로 돌아가라지만 우측으로 들어서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른다,
16 ; 46. 5,6분돌아 오르면 봉에서 철조망은 좌측 소래돈대쪽으로 가고 우측 능선으로 내려선다.부채살같은 홈통길이라 다소 헷갈린다.
16 : 51. 오늘이 현충일이라 통일전망대로가는 군부대의 쪽문들이 열려있어 쉽게 통일전망대로 내려섰다.
16 : 52/58. 통일전망대.임진왜란때 이정암의 연성대첩비.제적봉비.망배단에서 백마산,유도,문수산을 건너다보고 도로따라 내려감.
18 : 00. 평화전망대 버스정류장에서 1번 버스타고 양사면으로 감. 반대편으로 가는 2번 차는 10분후쯤 지나감.
18 ; 07. 양사면에서 부천에서 오신 내외분차를 얻어 타고 강화를 거쳐 개화산역으로
19 ; 35/43. 개화산역에서 5호선 전철타고 신길역으로
20 : 15/34. 신길역에서 천안 가는 급행전철타고
22 : 0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낙조대-고려산(436.3m)-48번도로 하점우체국앞. 2시간 47분.
06 : 18. 전철로 천안출발.
08 : 00. 신길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타고
08 ; 35/55. 송정역에서 강화행 버스탐.
09 : 52. 강화에 도착하여 나래현을 넘어가는 30번 버스시간을 알아보나 차가 없다.
10 ; 06/20. 택시로 적석사로 감.11700원.
10 : 20/26. 적석사(積石寺).조망 좋아 나래현과 혈구산을 보고 좌측 보타전 가는길로 낙조대로 오름.고구려 장수왕 4년(416년)창건.
10 : 29/32. 낙조대.낙조대 일몰은 강화8경의 한곳으로 혈구산. 고려지,석모도.고려산 조망이 일품임.해수관세음보살 좌측으로 오름
10 ; 39. 낙조봉(落照峰.340m).좌측 망월리. 미꾸리 2.6km.우측 고려산 2.7km.적석산 0.4km이정표.고려산,석모도 조망.
10 ; 43. 안부. 우측으로 적석사 하산길에 이정표.
10 : 47. Y 갈림길 봉에서. 우측 능선길로 간다 ,좌측은 계곡길로 잠시후에 다시 만난다.
10 ; 53. 두길은 다시 만나 안부로 내려간다.
10 ; 54. 안부 지나서 인천 기념물 제 46호인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을 지나고
11 ; 04, 둔덕을 넘어가면 또 고인돌군을 지난다.
11 : 08. 좀 올라서면 우측으로 내가면 하산길에 이정표가 있으며 오름길이 된다
11 : 14. 첫봉을 넘어서면 고려산 좌측밑으로 군부대와 시루메산과 봉천산등 가야할 지맥이 눈에 들어온다.
11 ; 19. 봄엔 진달래 축제장으로 유명한 진달래 군락지 전망대.사방으로 조망이 트여 고려산,혈구산, 봉천산.별립산등 조망.
12 : 27. 고려산 정상밑 헬기장.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실질적인 고려산정상. 혈구산쪽을 보고 좌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감.
12 : 32. 우측으로 청련사와 혈구산 가는 삼거리.고려산 정상 0.2km, 백련사 1.2km. 청련사 1.6km 이정표.좌측으로 도로따라
12 : 35. 고려산 오련지(五蓮池).고려산 주변 사찰의 창건과 연관된 못.
11 : 38. 앞쪽은 군부대로 통행금지라 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들어서고 고려산정상 0.6km. 백련사 0.7km 이정표.
11 : 38/43. 우측으로 백련사 하신길 공터에서 잠시 땀좀 식히며 쉬어서 좌측 숲길로 가고
11 ; 46. 쭈욱 내려가 군부대 철조망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1 : 48. 철조망으로 붙어 좌측으로 돌아가야 하나 바로 아래에 백련사가 보이므로 백련사를 들렸다 가기로
11 : 51/54. 백련사.규모가 꽤큰 유서깊은 사찰로 청련사,적석사와 함께 고려산 자락의 3대 사찰이다.우측뒤로 오름
12 : 06. 군부대뒷봉을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 주능선도로가의 헬기장 . 백련사에서 여기까진 길이 없어 고생좀 했다.
12 ; 09/10. 시루메산(250m). 벙커봉으로 고려산과 가야할 봉천산조망.좌측으로 내려서고
12 : 15/6. 교통호 따라 오른 봉에서 시루메산과 고려산을 뒤돌아 보고 앞쪽에 산불초소봉과 별립산이 보인다.
12 : 31/41. 160m 산불초소봉. 폐움막과 좌측 넘어쪽에 산불초소.봉천산, 별립산을 보고 초소 우측 묘지앞으로 내려감.
12 : 45. Y갈림길에서 우측 잣나무숲으로 내려서는데 <여기서 좌측으로 갔으면 마을로 곧장 들어갔을 것 같다>
12 : 50. 잣나무밭 쉼터앞의 그물망 울타리.앞에 지석묘가 빤히 보이나 넘어갈 수 없으니 우측으로 삥 돌아갔다.
13 : 01. 울타리가 계속 쳐져 있어 결국 점곡 지석묘앞 도로까지 뺑 돌아왔다.지석묘 보고 도로따라 48번도로로 .
13 ; 13. 48번도로 우측에 하점 우체국앞 버스정류장.곧장 하점슈퍼 우측 마을길로 들어가서
10 : 20/26. 적석사(積石寺) 대웅전과 부부목.
좌측 보타전 가는길로 낙조대로 오름.
10 : 20/26. 적석사(積石寺).
고구려 장수왕 4년(416m)에 천축조사가 창건된 고려산 5사찰중의 한 사찰로
적색색 연꽃이 떨어진곳에 세웠다하여 적련사(赤蓮寺)라 했다가 후에 적석사(積石寺)로 바뀌였단다.
10 : 20/26. 적석사(積石寺)에서 본 고비고개(좌)-혈구산(중)-퇴모산(우).
가운데 혈구산은 강화지맥 첫구간에 지난 산으로 백두산과 한라산을 일직선으로 놨을때 거의 중앙이 되는지점이란다.
10 : 29/32. 낙조대에서 본 낙조봉과 해수관세음보살 .
낙조대 일몰은 강화8경의 한곳으로 혈구산. 고려지,석모도.고려산 조망이 일품임이고 해수관세음보살 좌측으로 오른다.
10 : 29/32. 낙조대에서 본 내가 저수지와 뒤로 석모도.
10 : 29/32. 낙조대에서 본 낙조봉-고려산 능선과 우측 아래로 고비고개.
10 : 29/32. 낙조대에서 본 고비고개-혈구산-퇴모산.
10 ; 39. 낙조봉(落照峰.340m)에서 본 고려산과 이정표
좌측 망월리. 미꾸리 2.6km.우측 고려산 2.7km.적석산 0.4km이정표.고려산,석모도가 조망된다.
10 ; 54. 안부 지나서 인천 기념물 제 46호인 강화 고천리 고인돌군.
11 ; 19. 봄엔 진달래 축제장으로 유명한 진달래 군락지 전망대에서 본 고려산정상모습.1
사방으로 조망이 트여 고려산,혈구산, 봉천산.별립산등 조망.
진달래 군락지 전망대에서 본 올라온 능선길과 우측으로 별립산(別立山.416m).2
진달래 군락지 전망대에서 본 오늘 가야 할 시메루산(우측 하얀 군부대밑봉)-봉천산(좌측 높은산)-별악산(우).3
12 : 27. 고려산 정상밑 헬기장에서 우측으로 본 고비고개- 혈구산-퇴모산.
정상은 군부대가 있어 실질적인 고려산정상. 혈구산쪽을 보고 좌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감.
12 : 27. 고려산 정상밑 헬기장에서 뒤 돌아 본 좀 전에 올라온 낙조봉-진달래 군락지 전망대능선.
우측 끝봉은 별립산(別立山.416m).
좌측으로 도로따라 내려가닫 전망데크에서 본 갈길조망.
도로따라 가다 가운데 하얀 건물인 군부대는 우측으로 돌아가고 우측밑에 백련사가 보인다.
넘어봉이 시루메산이고 사진 가운데 둥근봉이 산불초소봉,그앞 뾰족봉이 봉천산이고 우측 끝으로 별악산도 어림된다.
12 : 32. 우측으로 청련사와 혈구산 가는 삼거리.
고려산 정상 0.2km, 백련사 1.2km. 청련사 1.6km 이정표.좌측으로 도로따라
12 : 35. 고려산 오련지(五蓮池).
고려산 주변 사찰의 창건과 연관된 못.
오련지(五蓮池) 안내판.
11 : 38. 앞쪽은 군부대로 통행금지라 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들어서 공터에서 바로 좌측 능선으로 내려간다.
고려산정상 0.6km. 백련사 0.7km 이정표.
11 : 38/43. 우측으로 백련사 하신길 공터에서 잠시 땀좀 식히며 쉬어서 좌측 숲길로 가고.
요 토끼는 사람이 와도 꿈쩍도 않는다.
11 ; 46. 쭈욱 내려가 군부대 철조망에서 우측으로 2,3분내려가
철조망따라 좌측위로 돌아가야하나 우측아래에 백련사가 보이므로 백련사로 내려갔다.
11 : 51/54. 백련사.
규모가 꽤큰 유서깊은 사찰로 청련사,적석사와 함께 고려산 자락의 3대 사찰이다.
11 : 51/54. 백련사.
11 : 51/54. 백련사.
규모가 꽤큰 유서깊은 사찰로 청련사,적석사와 함께 고려산 자락의 3대 사찰이다.
11 : 51/54. 백련사.
위에 보이는 능선이 마루금이고 우측뒤로 올랐다.
12 : 06. 군부대뒷봉을 우측으로 돌아 내려간 주능선도로가의 헬기장 .
백련사에서 여기까진 길이 없어 고생좀 했다.
12 ; 09/10. 시루메산(250m). 벙커봉으로 고려산과 가야할 봉천산조망.좌측으로 내려서고
12 : 15/6. 교통호 따라 오른 봉에서 본 산불초소봉과 봉천산.
좌측 앞쪽 마을은 하점면사무소.
12 : 15/6. 교통호 따라 오른 봉에서 본 별립산(別立山.416m).
12 : 31/41. 160m 산불초소봉에서 본 봉천산(좌측 높은봉)과 하점면. 1
12 : 31/41. 160m 정점에 있는 폐움막과 좌측 넘어쪽에 있는 산불초소봉. 2
이봉에서 우측능선으로 길이 잘 나 있으나 산불초소 우측의 묘지쪽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초입에 잡초가 욱어져서 길 찾느라 왔다 갔다 10여분 헤멨다.
12 : 31/41. 160m 산불초소봉에서 뒤 돌아 본 고려산-시루메산-160m봉. 3
12 : 31/41. 160m 산불초소봉에서 본 별립산(別立山.416m).
12 : 50. 잣나무밭 쉼터앞의 그물망 울타리.
앞에 봉천산(奉天山. 291.1m)과 지석묘가 빤히 보이나 넘어갈 수 없으니 우측으로 삥 돌아갔다.
13 : 01. 울타리가 계속 쳐져 있어 결국 점곡 지석묘앞 도로까지 뺑 돌아왔다.
지석묘에서 뒤 돌아 본 160m 산불초소봉.
도로-빨간집-하얀비닐하우스-160m이 맥이 되겠다.
강화 부근리 점곡 지석묘.
사거리 도로 건너서 도로따라 48번도로로 .
도로따라 가면서 본 봉천산(奉天山. 291.1m)과 하점면 마을.
13 ; 13. 48번도로 우측에 하점 우체국앞 버스정류장.
곧장 하점슈퍼 우측 마을길로 들어가서
※ 48번도로 하점우체국앞-봉천산(291.1m)-별악산-제석봉통일전망대. 3시간 15분.
13 ; 13. 48번도로 우측에 하점 우체국앞 버스정류장.곧장 하점슈퍼 우측 마을길로 들어가서
13 ; 16. 하점천주교,믿음슈퍼가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석조여래입상 900m쪽 길로 들어서 믿음슈퍼 뒤로 간다
13 : 18. 맥을 우측에 끼고 수렛길따라 쭈욱 올라간다.
13 : 22. 좌측 마을에서 온길을 만나는 안부.전주이씨 납골묘와 평택임씨묘지 위로 오른다.
13 ; 31. 쭈욱 올라간 묘지군위에서 고려산부터 온길을 쭈욱 훝어본다.3분후 좌측 계곡쪽에서 올라온 일반 등산로를 만난다.
13 ; 40. Y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직진해 오르는 마루금엔 길이 없고 우측 사면길은 양오리쪽 봉으로 오른다
13 ; 42. 봉천산 정상부가 올려다 보이는 곳에 공설묘지 안내판이 있고 길은 계곡 끝에서 우측으로 오른다.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 팔각정자와 철탑, 삼각점(교동 306)이 있고 좌측 아래엔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봉천대가 있다
사방 막힘이 없어 고려산과 가야할 지맥의 끝뒤로 바다 건너 북한땅과 문수산이 보이고 별립산과 석모도가 가깝게 보인다. 점심.
14 : 20. 살짝 내려서며 새말고개 건너편봉과 우측으로 덕고개 건너 장군바위봉(210m봉)을 보고
14 : 28. 쭈욱 내려가 안부 건너 봉에선 좌로 꺽어가고
14 ; 37. 2차선도로인 새말고개.하점면과 양사면 경계.
14 : 50. 시원찮은 길따라 쭈욱 올라간 200m봉 우측 어깨의 묘2기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5 : 01. 안부→ 둔덕을 넘어 내려간 Y길에서 좌측으로 . 우측으로 가면 비석묘지.간벌목으로 길 나쁨
15 : 11/16. 덕고개 2차선도로. 덕고개 삼거리 버스정류장. 우측 집에서 물보충.좌측 넘어엔 검문소와 양사면사무소 .길 좋아짐.
15 ; 33. 쭈욱 올라간 삼거리. 좌측에서 올라온 좋은길 만나고 덕고개 삼거리 → 이정표.
15 : 37/40. 장군바위 600m이정표와 군삼각점(?)이 있는 바위봉에서 별립산과 교동도조망. 도상 210m 성덕산 정상은 6,70m위에
15 : 43/54. 정점을 지나 100여m 내려가면 운동기구들있는 성덕산정상쉼터. 이정표(별악산,약수터. 성덕산정상쉼터 876m지점).
좌측 아래에 약수터있고 운동기구 앞에서 좌측으로 팍 꺽어 로프따라 내려가며 길은 대로가 된다.
16 ; 05. 둔덕을 넘어간 안부엔 우측(60m) 금정골 하산길 이정표.
16 : 08. 앞 둔덕을 넘어 좌측으로 별악봉(別岳峰.167.3m)갈림길. 맥은 우측으로 꺽어가며
이정표는 별악봉쪽을 저담산 2km지점으로 표기하고 별악산은 우측 콘테이너 있는쪽으로 가란다.
16 ; 13. 주욱 내려가 좌측으로 북성 2리,우측으로 덕하2리 하산길 안부 네거리를 지나고.
16 ; 19. 별악산(140m)밑에서 로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르고
16 ; 22/25. 철계단을 오르면 이정표상의 별악산(140m).조망좋아 고려산,봉천산,성덕산으로 이어온 산줄기가 한눈에 들어온다.
16 : 26. 내려서면 바로 별악산정상(2.9km지점),덕하2리 이정표잇는곳에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31. 내려온 안부.좌측 북성2리,우측 철산리(철곳). 앞쪽 평화전망대 이정표를 지나면 넓은 수렛길이 다시 나온다.
16 : 39/40. 좌측에서 올라온 세멘길을 만나며 우측엔 군부대 철조망이 보인다.앞쪽, 우측은 평화전망대(통행불가)란다.
좌측 북성2리 (평화전망대)라 쓴걸보면 좌측으로 돌아가라지만 우측으로 들어서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른다,
16 ; 46. 5,6분돌아 오르면 봉에서 철조망은 좌측 소래돈대쪽으로 가고 우측 능선으로 내려선다.부채살같은 홈통길이라 다소 헷갈린다.
16 : 51. 오늘이 현충일이라 통일전망대로가는 군부대의 쪽문들이 열려있어 쉽게 통일전망대로 내려섰다.
16 : 52/58. 통일전망대.임진왜란때 이정암의 연성대첩비.제적봉비.망배단에서 백마산,유도,문수산을 건너다보고 도로따라 내려감.
18 : 00. 평화전망대 버스정류장에서 1번 버스타고 양사면으로 감. 반대편으로 가는 2번 차는 10분후쯤 지나감.
18 ; 07. 양사면에서 부천에서 오신 내외분차를 얻어 타고 강화를 거쳐 개화산역으로
19 ; 35/43. 개화산역에서 5호선 전철타고 신길역으로
20 : 15/34. 신길역에서 천안 가는 급행전철타고
22 : 00. 천안도착.
13 ; 16. 하점천주교,믿음슈퍼가 있는 삼거리에서 우측 석조여래입상 900m쪽 길로 들어서 믿음슈퍼 뒤로 간다
13 : 18. 믿음슈퍼 뒤에서 맥을 우측에 끼고 수렛길따라 쭈욱 올라간다.
저위에 전주이씨 납골묘와 평택임씨묘지가 있다.
13 ; 31. 쭈욱 올라간 묘지군위에서 고려산부터 온길을 쭈욱 훝어본다.
3분후 좌측 계곡쪽에서 올라온 일반 등산로를 만난다.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
팔각정자와 철탑, 삼각점(교동 306)이 있고 좌측 아래엔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봉천대가 있다
사방 막힘이 없어 고려산과 가야할 지맥의 끝뒤로 바다 건너 북한땅과 문수산이 보이고 별립산과 석모도가 가깝게 보인다.
여기서 점심을 먹었다.날이 무진 더워 정자에서 웃통벗고 땀좀 말릴려고했는데 도시락 싸가지고온
젊은 데이트족이 영 자리를 뜨지않아 먼저 일어났다.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에서 본 덕고개(안내판 좌측끝 )-성덕산-제석봉(우측끝봉)과 바다건너 북한땅. 1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에서 본 유도와 문스산(우측 끝봉). 2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에서 본 별립산(別立山.416m)과 좌측 뒤로 교동도의 화개산(259.5m).
13 ; 53/18. 봉천산(奉天山. 291.1m)좌측에 있는 봉천대(奉天臺).
봉천대(奉天臺)에서 본 고려산과 뒤로 혈구산.
14 : 20. 살짝 내려서며 새말고개 건너편봉과 우측으로 덕고개 건너 장군바위봉(210m봉)을 보고
14 ; 37. 2차선도로인 새말고개.
하점면과 양사면 경계.
14 : 50. 시원찮은 길따라 쭈욱 올라간 200m봉 우측 어깨의 묘2기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5 : 11/16. 덕고개 2차선도로. 덕고개 삼거리 버스정류장.
우측 집에서 물보충.좌측 넘어엔 검문소와 양사면사무소 .길 좋아짐.
15 : 11/16. 덕고개 우측 모습.
15 : 37/40. 장군바위 600m이정표와 군삼각점(?)이 있는 바위봉에서 별립산과 교동도조망.
도상 210m 성덕산 정상은 6,70m위에
15 : 37/40. 장군바위 600m이정표와 군삼각점(?)이 있는 바위봉에서 뒤 돌아 본
별립산(우측 큰산)과 새말고개(좌측 안부)와 덕고개(좌측 앞쪽 안부).
15 : 37/40. 장군바위 600m이정표와 군삼각점(?)이 있는 바위봉에서 본 좌측 모습.
15 : 43/54. 정점을 지나 100여m 내려가면 운동기구들있는 성덕산정상쉼터. 이정표(별악산,약수터. 성덕산정상쉼터 876m지점).
좌측 아래에 약수터있고 운동기구 앞에서 좌측으로 팍 꺽어 로프따라 내려가며 길은 대로가 된다.
성덕산정상쉼터에서 본 한남정맥의 끝봉인 문수산과 유도.
우측 시설물이 잇는 산줄기는 봉천산에서 북쪽으로 뻗어은 산줄기다.
16 ; 05. 둔덕을 넘어간 안부엔 우측(60m) 금정골 하산길 이정표.
의외로 등산 온 사람을 만났다.
16 : 08. 앞 둔덕을 넘어 좌측으로 본 별악봉(別岳峰.167.3m).
맥은 우측으로 꺽어가며
이정표는 별악봉쪽을 저담산 2km지점으로 표기하고 별악산은 우측 콘테이너 있는쪽으로 가란다.
별악봉(別岳峰.167.3m)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가며 콘테이너를 지나면 길은 수렛길이 된다.
16 ; 19. 별악산(140m)밑에서 로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철계단을 오르고
16 ; 22/25. 이정표상의 별악산(140m)에서 뒤 돌아 본 성덕산(우)-새말고개(좌).
16 ; 22/25. 이정표상의 별악산(140m)에서 뒤 돌아 본 고려산(좌뒤)과 봉천산(우).
16 : 39/40. 좌측에서 올라온 세멘길을 만나며 우측엔 군부대 철조망이 보인다.앞쪽, 우측은 평화전망대(통행불가)란다.
좌측 북성2리 (평화전망대)라 쓴걸보면 좌측으로 돌아가라지만 우측으로 들어서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돌아 오른다,
16 : 52/58. 강화 제적봉 통일전망대.
임진왜란때 이정암의 연성대첩비.제적봉비.망배단에서 백마산,유도,문수산을 건너다보고 도로따라 내려감.
16 : 52/58. 강화 제적봉 통일전망대에서 뒤 돌아 본 마지막봉.
오늘이 현충일이라 통일전망대로가는 군부대의 쪽문들이 열려있어 쉽게 통일전망대로 내려섰다.
16 : 52/58. 강화 제적봉 통일전망대 좌측에 임진왜란때 이정암의 연성대첩비.제적봉비가 있고
망배단에서북한의 백마산,유도,문수산을 건너다 보인다.
.제적봉(制赤峰)비
공산당을 제압한다는 의미로 김종필씨의 글씨란다.
망배단(望拜壇)옆엔 그리운금강산 노래비가 있고 북한을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볼수있는 곳이란다.
한남정맥의 문수산을 보며 버스정류장으로 내려가 강화지맥을 마친다.
<終>.
'ㄱ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화지맥 (覺華枝脈) 은 ? (0) | 2013.08.08 |
---|---|
각화지맥 1구간(석문동-백두분기봉-각화산(1202m)-왕두산-설피재 ). (0) | 2013.08.07 |
강화지맥 2구간(농업기술센터-덕정산(320m)-정족산-택리나루터) (0) | 2013.07.12 |
강화지맥 1구간(강화대교 -고려산(436.3m)-혈구산-농업기술쎈터). (0) | 2013.07.11 |
강화지맥 (江華枝脈) 은 ? (0) | 201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