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지맥 2구간(30번도로-고덕산(619m)-721번도로)
천황지맥 3구간(갈치-뒷밤재(17번구도로)-745번도로).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도상거리 약 7km +11km.6시간 40분.
성수지맥 : 30번도로-구암고개-삼봉산 갈림봉-506m봉-고덕산(619m)-379.3m삼각점봉-721번도로.
천황지맥 : 갈치(葛峙.721번도로)-381.3m삼각점봉-뒷밤재(17번구도로)-전라선 화정터널위-745번도로.
◈ 일시: 2012. 2. 19(일).
◈ 날씨 : 날씨는 쌀쌀하나 우려한 잔설은 없어 산행하긴 좋음.
◈ 동행인:요맥회 13명. 강형태회장님.최평칠님.이한원님.강경복님.이선우님.정한규님.
권순창님.최덕조님.홍완섭님.정송자님.김정옥님.유소림님.나.
◈ 지도.
성수지맥 2구간 30번도로-고덕산(619m)-721번도로.2010념에 성수지맥 종주할때 기록이다.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천황지맥 3구간(갈치-뒷밤재(17번구도로)-745번도로).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6 : 30. 사당출발.
07 : 35.천안에서 합류.13명.
09 : 30/32. 전북 임실군 성수면 태평리 주암마을 서쪽 30번.운현전적 의혼 추모비 소공원에서 산행시작.
09 ; 38. 성수지맥 구암고개 좌측
0 9 : 52. 삼봉산 갈림봉.우측으로 내려감. 좌측 사면길로 가면 삼봉산.
10 ; 00. 구암리와 삼봉리를 잇는 수렛길 안부.
10 : 07.. 496m봉 바위봉.조망 좋아 고덕산과 갈 지맥조망.
10 : 19. 507m 봉.오름길이 가파름.조망좋음.
10 : 25. 암봉시작밑 안부.고덕산정상 0.9km,좌측 삼봉리 1.6km 이정표.
10 : 38. 암봉위. 외나무다리.
10 : 48. 너른 암반있는 암봉.고덕산조망.
11 : 03. 광개토대왕비 아래 안부.앞쪽 위에 낡은 로프 있음 좌측으로 정상까지 크게 우회 하는길 있음.
11 : 07. 좌로 우회하여 간 정상 넘어 계단 밑.좌측(남)이 맥길이고 우측 계단위가 정상임
11 : 10/16. 고덕산(619m).표지판. 팔공산부터 성수지맥과 금남호남정맥.천황지맥조망.내동산은 건너편에.
11 ; 19. 급경사 계단 내려와 직진.좌측은 정상우횟길. 우측은 도착점 1300m 이정표.
11 ; 28. 앞봉 Y자 능선 길림길에서 좌측길로 감.우측은 고덕제 가는길.
11 : 36. 424m봉 갈림능선 전 안부. 좌측 사면길로 건너감.
11 : 55. 평지능선에 379.3m삼각점(임실 309 1984재설).
11 ; 58. 안부.
12 : 04/31. 354m봉 정점까지 올라서 좌측으로 내려감.정점 우측밑 묘지에서 점심. 팔공산.고덕산조망.
12 : 40/41. 721번 2차선도로.도로 건너 수렛길로 맥은 이어짐.
13 : 20. 차량으로 성수,오수,보절면을 거쳐 갈치(葛峙.721번도로)로 이동하여 천황지맥 3구간 시작.
13 : 40. 310m봉.좌측 고산봉(427m)분기봉.우로 꺽어 내려감.
14 : 43. 에끼재.옛길흔적. 좌측 밑은 흙퍼낸 채토장.건너편 지맥 능선도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
14 : 56. 한오름 올라선 우측 채석장 절개지에서 천황산과 지리산 바래봉 능선 조망.바로위에서 좌측이 지맥임.
14 ; 59/01.호인치(호치.381.3m.남원 415 삼각점).직진은 계룡산(392m). 뒤돌아 100m쯤 내려간 둔덕봉이 지맥임.
14 : 03.뒤돌아 내려온 둔덕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14 ; 08. 좌우로 돌아 내려가는 넓은수렛길.우측 수렛길을 따라도 됨.
14 ; 13. 싹둑 잘래낸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절개지 앞뒤로 조망은 좋음.
14 ; 24.절개지위에서 밋밋하게 쭈욱 나가 9. 90번 철탑.
14 ; 31. 빨딱 올라선 정점전 T 봉갈림길에서 우로 내려가고.
14 : 42. 330m봉에서 길따라 직진해 내려간다.
14 ; 47. 나분덜재 홈통안부를 건너고
14 : 55/9. 363m봉 100m 전에 좌로 내려 감.잠시후부터 기분좋은 소나무숲길이 뒷밤재지나 서남대 갈림길까지 이어짐.
15 : 10. 솔밭길 계단 오른 370.5m 삼각점(남원 304)봉. 우 뒷밤재의 팔각정 0.7km.좌 율치마을 1.2km. 온길은 배롱나무길.
15 : 21.뒷밤재. 구 17번도로.지금은 터널이 뚫려 차량통행 적음.한산한 가든(?)
15 ; 24.춘향각 팔각정.걷기좋은 소나무숲길은 계속됨.
15 ; 35. 260m에서 좌로 내려간 안부. 서남대 2km.우측 대율마을 ,좌측 포도원. 팔각정 0.6km.
15 : 45.쭈욱 둔덕을 넘어 간 좌측으로 서남대 하산길. 서남대,팔각정 1.4km. 넓은 솔숲길은 끝나고 오솔길로.
15 ; 52/4. 323m봉. 우측으로 273.6m 갈림길.잠시 쉬어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00. 봉에선 저절로 우로 꺽어 내려가고
16 : 05. 홈통안부를 건너 259m봉. 교룡산(519m) 분기봉. 우로 꺽어 가는데 길은 사납다.
16 : 15. 온통 파헤쳐진 용도를 알 수 없는 공사장 터. 노적봉과 풍악산으로 이어지는지맥 조망.
16 ; 22. 통신탑을 지나 세멘길을 따라 내려가고.
16 ; 23. 2차선 포장도로와 고공수로,세멘길 사거리.우측으론 KTX가 지난다.우측 화정 좌측 율정교.
16 ; 36. 242m봉에서 좌로 내려감. 우측 건너편에 비슷한봉.
16 ; 50/17 :00. 삼포막을 따라 내려간 745번도로.남원시 사매면 계수리와 대산면 길곡리를 잇는고개.
17 : 15/17 ; 30.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적봉 아래에 있는 혼불문학관관람.
18 : 00/19 : 00. 오수에서 저녁먹고 출발.(이한원 선배님 저녁 자 ~알 먹엇습니다,감사합니다)
20 ; 50. 천안도착.
06 : 30. 사당출발.
07 : 35.천안에서 합류.13명.
09 : 30/32. 전북 임실군 성수면 태평리 주암마을 서쪽 30번.운현전적 의혼 추모비 소공원에서 산행시작.
09 ; 38. 성수지맥 구암고개 좌측
0 9 : 52. 삼봉산 갈림봉.우측으로 내려감. 좌측 사면길로 가면 삼봉산.
10 ; 00. 구암리와 삼봉리를 잇는 수렛길 안부.
10 : 07.. 496m봉 바위봉.조망 좋아 고덕산과 갈 지맥조망.
10 : 19. 507m 봉.오름길이 가파름.조망좋음.
10 : 25. 암봉시작밑 안부.고덕산정상 0.9km,좌측 삼봉리 1.6km 이정표.
10 : 38. 암봉위. 외나무다리.
10 : 48. 너른 암반있는 암봉.고덕산조망.
11 : 03. 광개토대왕비 아래 안부.앞쪽 위에 낡은 로프 있음 좌측으로 정상까지 크게 우회 하는길 있음.
11 : 07. 좌로 우회하여 간 정상 넘어 계단 밑.좌측(남)이 맥길이고 우측 계단위가 정상임
11 : 10/16. 고덕산(619m).표지판. 팔공산부터 성수지맥과 금남호남정맥.천황지맥조망.내동산은 건너편에.
11 ; 19. 급경사 계단 내려와 직진.좌측은 정상우횟길. 우측은 도착점 1300m 이정표.
11 ; 28. 앞봉 Y자 능선 길림길에서 좌측길로 감.우측은 고덕제 가는길.
11 : 36. 424m봉 갈림능선 전 안부. 좌측 사면길로 건너감.
11 : 55. 평지능선에 379.3m삼각점(임실 309 1984재설).
11 ; 58. 안부.
12 : 04/31. 354m봉 정점까지 올라서 좌측으로 내려감.정점 우측밑 묘지에서 점심. 팔공산.고덕산조망.
12 : 40/41. 721번 2차선도로.도로 건너 수렛길로 맥은 이어짐.
09 : 30/32. 전북 임실군 성수면 태평리 주암마을 서쪽 30번.운현전적 의혼 추모비 소공원에서 산행하기전에 다함께.
좌로부터 나,이선우님,이한원님, 유소림님,김정옥님,최평칠님,강경복님,
권순창님,최덕조님,홍완섭님,정송자님,정한규님,강형태 요맥회장님.
운현전적 의혼 추모비
09 ; 38. 성수지맥 구암고개 좌측 남원양씨 가족묘지뒤로 오름 .
09 ; 48. 뒤돌아 본 구암고개(좌측봉밑안부) 뒤로 금호남정맥의 성수산(좌.1059m)과 덕태산(1113m)과 선각산(1142m.우).
09 : 48. 우측으로 본 내동산(887m).
10 : 11. 496m봉 근처에서 땡겨 본 고덕산(619m).
10 : 11. 496m봉 근처에서 좌측으로 본 신덕마을과 삼양저수지.
골짜기 맨 안쪽엔 축사가 보이고 삼양저수지 저 앞쪽 우측산줄기가 성수지맥의 다음구간인 봉화산,매봉쪽이 되겠다.
암봉.
암봉에서 좌측 삼봉산과 삼양저수지.강형태회장님.
넓적한 마당바위위에서 건너다 본 고덕산(高德山.619m)정상모습.
세 개의 암봉중 좌측봉위가 8봉으로 정상이고 그 우측봉이 7봉이고
앞쪽 하단부에 광개토대왕비가 보이고 그 좌측 절벽바위를 좌측으로 돌아 정상뒷쪽에서 오르는 우회길이 있다.
큰구멍이 뚫린 바위문은 정상앞쪽의 바위군에 있다.
광개토왕비 밑 안부에서 절벽바위를 좌측으로 돌아간 고덕산정상 넘어쪽 철계단밑 삼거리.
11 : 10/16. 고덕산(619m)정상에서 내동산(887.4m).
고덕산은 전주근교인 완주군 구이면과 상관면 경계에 있는 603m의 고덕산이 더 잘 알려져있는데
이곳 고덕산은 임실에 있는 619m산이고 한자는 같은 한자를 쓰고 있는데 아랫마을 이름이 고덕리라서 고덕산이 부른란다.
11 : 10/16. 고덕산(619m)정상에서 뒤 돌아 본 지맥과 멀리 금호남정맥.
뒷줄 성수산(1059m.좌),덕태산(1113m.중),선각산(1142m.중).팔공산(멘우)
앞쪽은 암봉,507m봉.496m봉.삼봉산(529.4m.우측 앞봉)과 뒤로 성수지맥의 성수산(876m).
11 : 10/16. 고덕산(619m)정상에서.
좌측 뒷줄부터 홍완섭님.이선우님. 정한규님.유소림님.정영옥님.최덕조님.강형태 요맥회장님.
앞줄좌로부터 최평칠님.나. 정송자님, 이한원님.
11 : 10/16. 고덕산(高德山.619m)정상에서 본 팔공산(1151m.좌측뒤)과 천황지맥의 개동산(846m.우측뒤)
좌측위에 성수산과 보현봉이 보이고 팔공산앞에 905m봉과 그 우측으로 깃대봉이 보이고
사진 우측뒤로 개동산(846m)과 상서산(627m.맨우측)이 보이고
그앞쪽에 영태산(6663.3m)과 오봉산(600m)이 보인다.
11 : 10/16. 고덕산(高德山.619m)정상에서 본 가야할 지맥모습.
맨앞의 우측능선이 분기하는곳에 Y자 갈림길.가운데 허연 눈있는 벌목지를 지나서 우측보이 424m봉이고
벌목지 건너의 밋밋한 봉이 379.3m봉이고 그 우측 빤빤한묘들이 있는곳이 354m봉 묘지들 5,6기 있는봉이다.
그뒤로 앞쪽이 벌목된봉이 721번도로 건너의 327m봉이고 그뒤가 고속도로다.
사진 좌측 뒷산들은 옥녀봉(473m),덕재산(483.8m)이고 중앙 앞쪽 맨끝이 봉화산(467.6m),매봉(608.5m)이다.
424m봉 갈림길을 지나서 뒤 돌아 본 고덕산(高德山.619m).
좌측 1봉부터 우측 정상인 8봉.
11 : 55. 평지능선에 379.3m삼각점(임실 309 1984재설).
12 : 04/31. 354m봉 정점까지 올라서 좌측으로 내려감.
정점 우측 밑 묘지에서 점심먹고 출발.
12 : 40/41. 721번 2차선도로.도로 건너 수렛길로 맥은 이어진다.
<여기까진 꼭 2년전인 2010.2.26일에 쓴 성수지맥 1구간 산행기를 참조하세요>
※ 오후 천황지맥 갈치-뒷밤재(17번 구 도로)-745번도로.11km. 3시간 30분.
13 : 20. 차량으로 성수,오수,보절면을 거쳐 갈치(葛峙.721번도로)로 이동하여 천황지맥 3구간 시작.
13 : 40. 310m봉.좌측 고산봉(427m)분기봉.우로 꺽어 내려감.
14 : 43. 에끼재.옛길흔적. 좌측 밑은 흙퍼낸 채토장.건너편 지맥 능선도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
14 : 56. 한오름 올라선 우측 채석장 절개지에서 천황산과 지리산 바래봉 능선 조망.바로위에서 좌측이 지맥임.
14 ; 59/01.호인치(호치.381.3m.남원 415 삼각점).직진은 계룡산(392m). 뒤돌아 100m쯤 내려간 둔덕봉이 지맥임.
14 : 03.뒤돌아 내려온 둔덕에서 우측으로 내려감.
14 ; 08. 좌우로 돌아 내려가는 넓은수렛길.우측 수렛길을 따라도 됨.
14 ; 13. 싹둑 잘래낸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절개지 앞뒤로 조망은 좋음.
14 ; 24.절개지위에서 밋밋하게 쭈욱 나가 9. 90번 철탑.
14 ; 31. 빨딱 올라선 정점전 T 봉갈림길에서 우로 내려가고.
14 : 42. 330m봉에서 길따라 직진해 내려간다.
14 ; 47. 나분덜재 홈통안부를 건너고
14 : 55/9. 363m봉 100m 전에 좌로 내려 감.잠시후부터 기분좋은 소나무숲길이 뒷밤재지나 서남대 갈림길까지 이어짐.
15 : 10. 솔밭길 계단 오른 370.5m 삼각점(남원 304)봉. 우 뒷밤재의 팔각정 0.7km.좌 율치마을 1.2km. 온길은 배롱나무길.
15 : 21.뒷밤재. 구 17번도로.지금은 터널이 뚫려 차량통행 적음.한산한 가든(?)
15 ; 24.춘향각 팔각정.걷기좋은 소나무숲길은 계속됨.
15 ; 35. 260m에서 좌로 내려간 안부. 서남대 2km.우측 대율마을 ,좌측 포도원. 팔각정 0.6km.
15 : 45.쭈욱 둔덕을 넘어 간 좌측으로 서남대 하산길. 서남대,팔각정 1.4km. 넓은 솔숲길은 끝나고 오솔길로.
15 ; 52/4. 323m봉. 우측으로 273.6m 갈림길.잠시 쉬어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00. 봉에선 저절로 우로 꺽어 내려가고
16 : 05. 홈통안부를 건너 259m봉. 교룡산(519m) 분기봉. 우로 꺽어 가는데 길은 사납다.
16 : 15. 온통 파헤쳐진 용도를 알 수 없는 공사장 터. 노적봉과 풍악산으로 이어지는지맥 조망.
16 ; 22. 통신탑을 지나 세멘길을 따라 내려가고.
16 ; 23. 2차선 포장도로와 고공수로,세멘길 사거리.우측으론 KTX가 지난다.우측 화정 좌측 율정교.
16 ; 36. 242m봉에서 좌로 내려감. 우측 건너편에 비슷한봉.
16 ; 50/17 :00. 삼포막을 따라 내려간 745번도로.남원시 사매면 계수리와 대산면 길곡리를 잇는고개.
17 : 15/17 ; 30.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적봉 아래에 있는 혼불문학관관람.
18 : 00/19 : 00. 오수에서 저녁먹고 출발.(이한원 선배님 저녁 자 ~알 먹엇습니다,감사합니다)
20 ; 50. 천안도착.
13 : 20. 차량으로 성수,오수,보절면을 거쳐 갈치(葛峙.721번도로)로 이동하여 천황지맥 3구간 시작.
호인치(호치.381.3m.남원 415 삼각점)정상밑까지 몽땅 파먹은 채석장.
채석장 좌측 날등을 타고 좌에서 우로 돌아 오른다.
채석장 좌측 날등에서 우측으로 본 지난구간의 개동산과 천황산(가운데 뾰족봉).
채석장 좌측 날등에서 우측으로 본 지난구간의 약산(좌)과 갈치고개위의 채석장과 청룡산,청룡산 뒤 하얀곳는 지리산 바래봉.
호인치(호치.381.3m.남원 415 삼각점)직전에 뒤 돌아 본 지리산 노고단(우),고리봉,바래봉(좌측끝).
14 ; 59/01.호인치(호치.381.3m.남원 415 삼각점)정상.
직진은 계룡산(392m)이고 맥은 100m쯤 뒤돌아 내려간 둔덕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 19. 싹둑 잘래낸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 절개지 위에서 뒤돌아 본 381.3m 삼각점봉.
14 ; 19. 싹둑 잘래낸 용도를 알 수 없는 채토장 절개지 위에서 뒤돌아 본 사매면.
14 : 42. 330m봉에서 길따라 직진해 내려간다.
14 : 55/9. 363m봉 100m 전에 좌로 내려 감.
잠시후부터 기분좋은 소나무숲길이 뒷밤재지나 서남대 갈림길까지 이어짐.
15 : 10. 솔밭길 계단 오른 370.5m 삼각점(남원 304)봉.
우 뒷밤재의 팔각정 0.7km.좌 율치마을 1.2km. 온길은 배롱나무길.
뒷밤재 내림길도 이런 걷기좋은 솔밭길이다.
뒷밤재 위에서 좌측으로 본 남원시내와 교룡산( 519m).
15 : 21.뒷밤재. 구 17번도로.지금은 터널이 뚫려 차량통행 적음.길건너 앞 둔덕엔 팔각정이 있다.
15 : 21.뒤 돌아 본 뒷밤재.
15 ; 24.춘향각 팔각정.걷기좋은 소나무숲길은 계속된다.
15 ; 35. 260m에서 좌로 내려간 안부. 서남대 2km.우측 대율마을 ,좌측 포도원. 팔각정 0.6km.
15 : 45.쭈욱 둔덕을 넘어 간 좌측으로 서남대 하산길. 서남대,팔각정 1.4km. 넓은 솔숲길은 끝나고 오솔길로.
16 : 05. 홈통안부를 건너 259m봉. 교룡산(519m) 분기봉. 우로 꺽어 가는데 길은 사납다.
16 : 15. 온통 파헤쳐진 용도를 알 수 없는 공사장 터.
우측에 전라선 KTX 터널이 보이고
가운데 통산탑뒤에 2차선도로가 있고 좌측봉이 오늘 마지막봉인 242m봉이다.
16 : 15. 좌측뒤로 다음구간의 산들이 보인다.
16 : 15. 용도를 알 수없는 큰 절개지뒤로 혼불기념관 뒷봉인 다음구간의 노적봉이 보인다.
길은 사납지만 우측 날등을 타고가야한다.
16 ; 23. 2차선 포장도로와 고공수로,세멘길 사거리.
우측으론 KTX가 지난다.우측 화정 좌측 율정교.
세멘길따라 올라 둔덕에서 우측 산길로.임도도745번도로로 이어질듯
16 ; 50/17 :00. 삼포막을 따라 내려가 745번도로 절개지 전 우측 묘지쪽으로 내려가며 본 노적봉.
16 ; 50/17 :00. 745번도로.남원시 사매면 계수리와 대산면 길곡리를 잇는고개.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적봉 아래에 있는 혼불문학관.
귀경길에 산행 종착지에서 가까워 잠깐 들린 서도리에 있는 혼불문학관인데
이곳은 최명희의 대하소설 혼불의 배경지였던 곳이다.
최명희는 1947.10.10일생으로 전주에서 태어나 1981년에 동아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장편공모에 혼불이 당선하여
1996 12월에 혼불 전5부 10권을 출간하고
1998. 12월에 "아름다운세상 잘 살고 간다"라는 유언을 남기고 52세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떳다.
그의 아버지 최성무(1922~1967)의 고향이 사매면 서도리로 혼불의 배경지와 같은곳이고
그도 일찍 45세에 세상을 떳다.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노적봉 아래에 있는 혼불문학관.
'ㅊ, ㅌ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황지맥 5구간(비홍치-문덕봉(599.4m)-고리봉(708.9m)-합수점). (終)( 목 디스크 발병하다 ) (0) | 2012.08.09 |
---|---|
천황지맥 4구간(수동고개-노적봉-풍악산(605m)- 응봉-비홍치). (0) | 2012.03.21 |
천황지맥 2구간(말치고개-상서바위-천황산(909.6m)-구라치-갈치). (0) | 2012.01.31 |
천황지맥 1구간(금호남 팔공산(1147.6m)-비행기재-개동산(845.9m)-말치고개). (0) | 2012.01.02 |
천황지맥(天皇枝脈)은 ? (1) | 201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