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하지맥 2구간[진삼령(도덕재)-백하산(633.1m)-칠봉산-안압재 ).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4.2km. 5시간 42분.
충북 영동군 학산면,용화면경계인 진삼령(450m.도덕재.581도로)-.576.5m-여의치(如意峙)-627.8m-백하산(白霞山.633.1m)-
574.2m-압치고개(학산재)-507.9m(무주남대천길갈림봉)-칠봉산(519.9m)-안압재1차선도로 삼거리.
◈ 일시 : 2014. 4. 27. 진도에서 세월호 사고난후 12일째.
◈ 날씨 : 천안 13/16도. 영동12/16. 전국적으로 비가 온다는 예보로 오후부터 비가 옴.
◈ 동행인 : 달인클럽 15명. 김형식회장님. 강화사부님. 고광의님.정영옥님.곽병태님.이선우님.강형태님.이인표님.정환규님.
이덕희님.최상진님.왕언니.김홍천님. 앵두님. 박종율.
◈ 회비 : 5만원.
◈ 지도.
백하지맥 2구간[진삼령(도덕재)-백하산(633.1m)-칠봉산-안압재 ).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 일정정리.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10. 천안에서 합류하여 옥산휴게소 들려 → 경부고속도로 영동IC→영동읍 →
10 ; 03/5. 충북 영동군 학산면,용화면경계인 진삼령(450m.도덕재.581도로).도덕재 450m표지판.
10 ; 10. 철탑있는 둔덕을 우측사면으로 건너가고.
10 : 15. 산불초소.
10 : 20. 두 번째 철탑인 29번 철탑봉. 우측으로 내려가다 잘못 간걸 알고 빽해서
10 ; 27. 26번철탑에서 약 200m 빽한 550m봉 사면길에서 좌측(서)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10 ; 36. 둔덕봉에서 T셔츠 벗어 가방에 넣고 . 길은 좋다.
10 ; 44. 521.2m Y능선에서 우측 으로 내려갔다.
10 ; 56. 약 550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576.5m봉은 좀더가야 하고 송이지역 빨간 라일론줄이 시작된다.
11 ; 07. 한턱 올라선 576.5m. 좌측으로 백하산이 건너다 보이고
11 : 11. 좌틀해 내려선 안부. 묘지들 있고 빨간 로프는 여기까지.뚝 떨어져 내려가며 길은 전만 못하다.
11 ; 36. 잔솔밭을 이리저리 돌아 내려간 여의치(如意峙). 약 320m.고갯마루 우측((북)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송이지역 경고현수막.
12 ; 00/17. 된비얄을 올라 면경계 능선위 묘지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백하산과 627.8m봉이 올려다 보임.
12 ; 22. 살짝 올라 도경계 능선만남.좌측 아래에서 전북,충북 도경계능선이 올라와 우측으로 627.8m봉 된비얄 오름길이 됨
12 ; 34. 조망바위에서 각호산과 분기봉부터 온 지맥능선을 뒤돌아 봄.
12 : 38. 표고 약 130m을 단번에 올린 627.8m. 묘 있고 맥에서 좌측으로 30 여m 떨어져 있음.
12 ; 45. 바윗길 전망대에서 우측으로 온길을 돌아보고
12 ; 50/52. 백하산(白霞山.633.1m). 삼각점(이원 28. 1983재설)과 묘있고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북)능선길도 길좋음.
12 ; 58. 건너편 620m 오름길의 바위에서 백하산과 학산면을 뒤돌아보고
13 ; 00. 620m봉을 넘어서며 우측으로 다음구간의 성주산, 갈기산줄기와 갈 길을 짚어본다.
13 ; 09. 봉긋한 610m봉에서 우틀했다 다시 좌틀하며 저앞에 높은 574.2m봉이 건너다 보인다.
13 ; 22. 쭈욱 내려갔다 오른 성터같은 574.2m봉에서 백하산과 627.8m봉을 뒤돌아 보고
13 ; 30/35. 574.2m에서 몇발짝 내려와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온 안부. 좌측으로 흐릿한 소로길.뒤로 574.2m봉이 올려다 보임.
13 ; 49. 491.7m앞 510m봉에서 좌로 꺽어 가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13 ; 53. 574.2m과 온길을 뒤돌아 본다.
14 ; 01. 솔밭봉을 내려간 안부에서 칠봉산과 다음구간의 성주산쪽이 멀리 보이고
14 ; 04. 방금 지나온 491.7m봉을 뒤돌아 보고
14 ; 14. 약 480m봉에서 우로 꺽어지는데 검은 그물망이 마루금따라 이어진다.우측으로 사면길 있다.
14 ; 20. 그물망을 넘어 우측 사면길로 내려가면
14 ; 26/31. 압치고개(학산재).전북 무주읍과 충북 영동군 학산면경계.압치고개표석과 소공원. 영동군마스코트 조형물. 우측으로 오름.비가온다.
14 ; 41. 족적도 흐릿한 된비얄 오름길 중턱에서 압치고개와 온길을 뒤돌아 보고 다시 또 오름.
14 : 47. 벌목지에서 무주남대천으로 가는 명산(明山.402.8m)줄기와 507.9m봉을 올려다 보고
14 ; 58. 507.9m봉.무주남대천으로 가는 명산줄기를 건너다 보고 살짝 내려서면
14 ; 59/15 ; 03. 좌측은 남대천으로가는 산줄기가 갈리는저점에서 맥은 우측인데 건너편 봉만보고 좌측으로 내려서다 돌아와 우측으로 감.<주의>
15 ; 11. 칠봉산(七峰山.519.9m). 삼각점(이원 313).직진해 넘어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15 : 17. 노거수 2그루 있는곳에서 칠봉산과 다음구간의 산들과 우측 건너로 백하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을 돌아보고.
15 ; 31/37. 쭈욱 내려간 거리대 우측 안부 삼거리. 앞쪽은 그물망을 뺑 둘러친 밭인데 수렛길은 좌측으로 가고 맥은 그물망따라 우측으로 간다.
15 ; 43. 매실밭언덕에서 다음구간의 성주산과 뒤로 칠봉산을 돌아보고
15 ; 47. 안압재 삼거리. 1차선도로. 오래된사과밭. 충북 영동군 학산면과 무주읍 경계. 압치고개서 탈출한 탈출조와 동시에 도착.
16 ; 05. 안압재출발하여
16 ; 35/47. 안심랜드휴게소에 들려 간다히 씻고
17 ; 20/18 : 00. 청원 IC근처 청주본가 갈비탕집에서 저녁먹고
18 ; 35.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진삼령(도덕재)-여의치-백하산(633.1m). 7km. 2시간 45분.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10. 천안에서 합류하여 옥산휴게소 들려 → 경부고속도로 영동IC→영동읍 →
10 ; 03/5. 충북 영동군 학산면,용화면경계인 진삼령(450m.도덕재.581도로).도덕재 450m표지판.
10 ; 10. 철탑있는 둔덕을 우측사면으로 건너가고.
10 : 15. 산불초소.
10 : 20. 두 번째 철탑인 29번 철탑봉. 우측으로 내려가다 잘못 간걸 알고 빽해서
10 ; 27. 26번철탑에서 약 200m 빽한 550m봉 사면길에서 좌측(서)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10 ; 36. 둔덕봉에서 T셔츠 벗어 가방에 넣고 . 길은 좋다.
10 ; 44. 521.2m Y능선에서 우측 으로 내려갔다.
10 ; 56. 약 550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576.5m봉은 좀더가야 하고 송이지역 빨간 라일론줄이 시작된다.
11 ; 07. 한턱 올라선 576.5m. 좌측으로 백하산이 건너다 보이고
11 : 11. 좌틀해 내려선 안부. 묘지들 있고 빨간 로프는 여기까지.뚝 떨어져 내려가며 길은 전만 못하다.
11 ; 36. 잔솔밭을 이리저리 돌아 내려간 여의치(如意峙). 약 320m.고갯마루 우측((북)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송이지역 경고현수막.
12 ; 00/17. 된비얄을 올라 면경계 능선위 묘지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백하산과 627.8m봉이 올려다 보임.
12 ; 22. 살짝 올라 도경계 능선만남.좌측 아래에서 전북,충북 도경계능선이 올라와 우측으로 627.8m봉 된비얄 오름길이 됨
12 ; 34. 조망바위에서 각호산과 분기봉부터 온 지맥능선을 뒤돌아 봄.
12 : 38. 표고 약 130m을 단번에 올린 627.8m. 묘 있고 맥에서 좌측으로 30 여m 떨어져 있음.
12 ; 45. 바윗길 전망대에서 우측으로 온길을 돌아보고
12 ; 50/52. 백하산(白霞山.633.1m). 삼각점(이원 28. 1983재설)과 묘있고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북)능선길도 길좋음.
10 ; 03/5. 충북 영동군 학산면,용화면경계인 진삼령(450m.도덕재.581도로).도덕재 450m표지판.
10 : 15. 쭈욱 올라간 산불초소.
10 : 20. 두 번째 철탑인 29번 철탑봉.
우측으로 내려가다 잘못 간걸 알고 빽해서
두 번째 철탑인 29번 철탑에서 우측으로 본 가야 할 지맥능선.
우측 두번째봉인 521.2m에서 우측으로.
10 ; 27. 26번철탑에서 약 200m 빽한 550m봉 사면길에서 좌측(서)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주의>
10 ; 44. 521.2m Y능선에서 우측 으로 내려갔다.
10 ; 56. 약 550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는데 576.5m봉은 좀더가야 하고 송이지역 빨간 라일론줄이 이봉앞부터 시작된다.
11 ; 09. 한턱 올라선 576.5m을 내려가며 좌측으로 본 백하산(우)과 627.8m(좌).
11 : 11. 좌틀해 내려선 안부.
묘지들 있고 빨간 로프는 여기까지.뚝 떨어져 내려가며 길은 전만 못하다.
잔솔밭을 내려가며 좌측으로 본 백하산(좌)과 627.8m(우).
여의치(如意峙)위에서 본 갈 627.8m(좌)과 백하산(우끝).
11 ; 36. 잔솔밭을 이리저리 돌아 내려간 여의치(如意峙).
약 320m.고갯마루 우측((북)은 세멘포장, 좌측은 비포장.송이지역 경고현수막.
백하산까진 표고 약 310m를 올려야 한다.
12 ; 00/17. 된비얄을 올라 면경계 능선위 묘지에서 점심먹고 좌측으로 .
백하산과 627.8m봉이 올려다 보임.
12 ; 22. 살짝 올라 도경계 능선.
좌측 아래에서 전북,충북 도경계능선이 올라와 우측으로 627.8m봉 된비얄 오름길이 됨
12 ; 34. 조망바위에서 본 도경계능선과 갈모봉(우 뾰족봉)-천만산 지맥분기봉.
12 ; 34. 조망바위에서 본 여의치(앞 안부)-576.5m-천만산-분기봉-각호산-과 분기봉부터 온 지맥능선을 뒤돌아 봄.
12 : 38. 표고 약 130m을 단번에 올린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본 627.8m.
묘 있고 맥에서 좌측으로 30 여m 떨어져 있음.
백하산(白霞山.633.1m)과 620m(좌).
12 ; 45. 바윗길 전망대에서 우측으로 본 지맥모습.
가운데 높은봉이 576.5m.우측 앞쪽 낮은봉이 도경계 시작봉.
12 ; 45. 바윗길 전망대에서 좌측으로 본 백하산에서 내려가는 지맥모습.
제일 높은봉이 574.2m.그 좌측 좀 낮은봉이 칠봉산.
12 ; 50/52. 백하산(白霞山.633.1m).
삼각점(이원 28. 1983재설)과 묘있고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북)능선길도 길좋음.
12 ; 50/52. 백하산(白霞山.633.1m)에서 후미그룹..
※ 백하산(633.1m)-칠봉산-안압재. 7.2km. 2시간 55분.
12 ; 50/52. 백하산(白霞山.633.1m). 삼각점(이원 28. 1983재설)과 묘있고 좌측으로 내려감.우측(북)능선길도 길좋음.
12 ; 58. 건너편 620m 오름길의 바위에서 백하산과 학산면을 뒤돌아보고
13 ; 00. 620m봉을 넘어서며 우측으로 다음구간의 성주산, 갈기산줄기와 갈 길을 짚어본다.
13 ; 09. 봉긋한 610m봉에서 우틀했다 다시 좌틀하며 저앞에 높은 574.2m봉이 건너다 보인다.
13 ; 22. 쭈욱 내려갔다 오른 성터같은 574.2m봉에서 백하산과 627.8m봉을 뒤돌아 보고
13 ; 30/35. 574.2m에서 몇발짝 내려와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온 안부. 좌측으로 흐릿한 소로길.뒤로 574.2m봉이 올려다 보임.
13 ; 49. 491.7m앞 510m봉에서 좌로 꺽어 가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13 ; 53. 574.2m과 온길을 뒤돌아 본다.
14 ; 01. 솔밭봉을 내려간 안부에서 칠봉산과 다음구간의 성주산쪽이 멀리 보이고
14 ; 04. 방금 지나온 491.7m봉을 뒤돌아 보고
14 ; 14. 약 480m봉에서 우로 꺽어지는데 검은 그물망이 마루금따라 이어진다.우측으로 사면길 있다.
14 ; 20. 그물망을 넘어 우측 사면길로 내려가면
14 ; 26/31. 압치고개(학산재).전북 무주읍과 충북 영동군 학산면경계.압치고개표석과 소공원. 영동군마스코트 조형물. 우측으로 오름.비가온다.
14 ; 41. 족적도 흐릿한 된비얄 오름길 중턱에서 압치고개와 온길을 뒤돌아 보고 다시 또 오름.
14 : 47. 벌목지에서 무주남대천으로 가는 명산(明山.402.8m)줄기와 507.9m봉을 올려다 보고
14 ; 58. 507.9m봉.무주남대천으로 가는 명산줄기를 건너다 보고 살짝 내려서면
14 ; 59/15 ; 03. 좌측은 남대천으로 가는 산줄기가 갈리는저점에서 맥은 우측인데 건너편 봉만보고 좌측으로 내려서다 돌아와 우측으로 감.<주의>
15 ; 11. 칠봉산(七峰山.519.9m). 삼각점(이원 313).직진해 넘어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15 : 17. 노거수 2그루 있는곳에서 칠봉산과 다음구간의 산들과 우측 건너로 백하산부터 지나온 지맥능선을 돌아보고.
15 ; 31/37. 쭈욱 내려간 거리대 우측 안부 삼거리. 앞쪽은 그물망을 뺑 둘러친 밭인데 수렛길은 좌측으로 가고 맥은 그물망따라 우측으로 간다.
15 ; 43. 매실밭언덕에서 다음구간의 성주산과 뒤로 칠봉산을 돌아보고
15 ; 47. 안압재 삼거리. 1차선도로. 오래된사과밭. 충북 영동군 학산면과 무주읍 경계. 압치고개서 탈출한 탈출조와 동시에 도착.
16 ; 05. 안압재출발하여
16 ; 35/47. 안심랜드휴게소에 들려 간다히 씻고
17 ; 20/18 : 00. 청원 IC근처 청주본가 갈비탕집에서 저녁먹고
18 ; 35. 천안도착
12 ; 58. 건너편 620m 오름길의 바위에서 뒤 돌아 본 백하산.
620m봉에서 본 다음구간의 성주산(622.5m.맨우측봉).
13 ; 02. 620m봉을 넘어서며 본 갈 574.2m과 그뒤 510m.
13 ; 02. 620m봉을 넘어서며 본 다음구간의 성주산(622.5m.맨우측봉) 가는길.
맨좌측 가운데 허연곳이 오늘의 종착점인 안압재.
13 ; 22. 쭈욱 내려갔다 오른 성터같은 574.2m봉에서 뒤 돌아 본 백하산(좌)과 627.8m봉(우).
13 ; 22. 쭈욱 내려갔다 오른 성터같은 574.2m봉.
574.2m에서 몇발짝 내려와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온 안부 건너에서 잠시 쉬고.
13 ; 49. 491.7m앞 510m봉에서 좌로 꺽어 가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성터엿는지 성돌들이 있고
좌측뒤로 지나온 574.2m(가운데 높ㄴ은봉)과 뒤 우측으로 627.8m봉과 그 우측으로 내려간 산줄기가 보인다.
솔밭봉을 넘어가고.
14 ; 03. 솔밭봉을 내려간 안부에서 칠봉산(좌)과 오늘의 종착지(우끝)가 보이고.
방금 지나온 491.7m봉을 뒤돌아 보고
14 ; 14. 약 480m봉에서 우로 꺽어지는데 검은 그물망이 마루금따라 이어진다.우측으로 사면길 있다.
14 ; 20. 쭈욱 내려가 그물망을 넘어 우측 사면길로 내려가면
14 ; 26/31. 압치고개(학산재).전북 무주읍과 충북 영동군 학산면경계.압치고개표석과 소공원.
영동군마스코트 조형물. 우측으로 오른다.비가와서 우비를 꺼내입고.
압치고개표석과 소공원. 좌측 넘어쪽에 학산재(310m)표지판.
507.9m봉까진 표고 190m을 올려채야한다.
14 ; 41. 족적도 흐릿한 된비얄 오름길 중턱에서 뒤 돌아 본 압치고개와 온길을 뒤돌아 보고 다시 또 오름.
14 ; 41. 족적도 흐릿한 된비얄 오름길 중턱에서 뒤 돌아 본 압치터널입구와 무주쪽 모습.
벌목지에서 본 무주 남대천으로 가는 산줄기.
507.9m봉넘어에서 본 명산(明山.402.8m).
14 ; 59/15 ; 03. 좌측은 남대천으로 가는 산줄기가 갈리는저점에서
맥은 우측인데 건너편 봉만보고 좌측으로 내려서다 돌아와 우측으로 감.<주의>
15 ; 11. 칠봉산(七峰山.519.9m).
삼각점(이원 313).직진해 넘어가는데 길이 시원찮다.
15 : 17. 노거수 2그루 있는곳에서 좌측으로 본 다음구간의 성주산.
15 : 17. 노거수 2그루 있는곳에서 뒤 돌아 본 칠봉산(七峰山.519.9m).
15 : 17. 노거수 2그루 있는곳에서 우측으로 본 지나온 백하산(좌 뒤 흐릿한봉)과 627.8m봉(가운데 나무뒤 뾰족봉).
15 ; 31/37. 쭈욱 내려간 거리대 우측 안부 삼거리.
앞쪽은 그물망을 뺑 둘러친 밭인데 수렛길은 좌측으로 가고 맥은 그물망따라 우측으로 간다.
앞쪽은 그물망을 뺑 둘러친 밭인데 수렛길은 좌측으로 가고 맥은 그물망따라 우측으로 간다.
뒤 돌아 본 칠봉산(七峰山.519.9m).
15 ; 43. 마지막 언덕인 매실밭언덕에서 뒤 돌아 본 칠봉산.
사진 가운데 우측으로 삼거리의 밭이 보인다.
15 ; 44. 매실밭언덕을 내려오며 본 방죽안 마을과 다음구간의 성주산.
방죽안 마을(좌)과 안압재의 우리 버스가 보인다.
15 ; 47. 안압재 삼거리.
1차선도로. 오래된사과밭. 충북 영동군 학산면과 무주읍 경계. 압치고개서 탈출한 탈출조와 동시에 도착.
15 ; 47. 안압재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본 백하산(좌)-압치고개능선.
17 ; 20/18 : 00. 청원 IC근처 청주본가 갈비탕집에서 저녁먹고
'ㅂ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적지맥(粉積枝脈)은 ? (0) | 2014.05.17 |
---|---|
백하지맥 3구간(안압재-성주산(622.5m)-갈기산-금강)終. (0) | 2014.05.16 |
백하지맥(白霞枝脈)은 ? (0) | 2014.04.14 |
백하지맥 1구간(도마령-천만산(960.1m.분기봉)-천마령-진삼령 ). (0) | 2014.04.14 |
봉대지맥 2구간(한봉산-지도읍-삼암봉(197.8m)-점암선착장)終. (0) | 201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