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ㄱ 기맥,지맥.

금대지맥 5구간(고양리큰골-상정바위(1007.4m)-남평대교)終.

 

 

금대지맥 5구간(고양리큰골-상정바위(1007.4m)-남평대교)終.
(2013. 11. 10일에 입산통제로 헛탕친후 다시 갔다)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7.4km.  8시간.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 고창교앞 삼거리에서 택시로 큰골 삼거리로 감-큰골 삼거리 우측 위에 있는 농가-
금대지맥 1010.1m과 1008.6m사이안부-1006.4m 삼각점봉-1004.3m 삼면경계봉-마치(910.6m)-상정바위(1007.4m)-
955m 산불초소봉-남산(959m)왕복-814.3m-세리곡임도-남평초교-오음봉(446.3m)-남평대교(오대천,골지천이 합류하여 한강(조양강)이 됨).

 

◈ 일시 : 2014. 5. 25.

 

◈ 날씨 :    가는길엔 빗방울 떨어졌으나  산행중엔 비가 안오고 산행 끝나고 비가옴.

 

동행인 : 달인클럽 13명. 김형식회장님. 한상훈님. 오세춘님.이한원님.고광의님.곽병태님.이선우님.강형태님.
                     이인표님.정환규님. 이덕희님.맑음님. 박종율.

 

◈ 회비 : 5만원.

 

◈ 지도.

 

 

금대지맥 5구간(고양리큰골-상정바위(1007.4m)-남평대교)終.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금대지맥 5구간(고양리큰골-상정바위(1007.4m)-남평대교)終.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하늘에서 본 한반도지형.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하늘에서 본 금대지맥 끝자락.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금대5.gpx

 

 

◈ 일정정리.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출발.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00.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영월거쳐
11 : 10/14.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 삼거리 버스종점. 좌 고창골,우 큰골.안내판. 가랑비가 와서 우비입고 큰골로
11 ; 16. 우측으로 상정바위등산로 안내판.일부는 직접 상정바위로 오르고. 택시로 큰골로 감
11 : 25.  삼거리에서 2.86km 떨어진 큰골 마지막집에서 산행시작.세멘길은 5분쯤 올라가서 끝남.비가 그침.
12 ; 05. 금대지맥 주능선안부.마지막집 →첫계곡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계곡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올랐음.
12 : 19. 곰목이재.내림길은 평퍼짐해 생각보다 길이 시원찮고 취나물이 지천이다.
12 ; 28/49. 1006.4m 삼각점봉. 우측 빼곡한 덤불속에 삼각점(77.6재설.424건설부)이 숨어 있다.점심
 12 : 55. 삼각점봉에서 살짝 좌틀해 내려가 앞 바위봉을 넘고
13 ; 02. 삼면경계인 1004.3m과 998.9m 두 바위 사이로 내려간다.우측 바위에 삼각점이 있나 살펴볼걸 잊었다.
13 ; 09. 뚝 떨어져 내려가며 능선갈림에서 좌측으로 간다.
13 ; 12. 처음으로 상정바위가 저만치 올려다 보인다.
13 ; 28. 잔봉을 두 어번 오르내리다  897.2m 된비얄 오름길에 1004.3 삼면경계봉을 뒤돌아보고
13 ; 32. 바윗길을 빨 딱 올려 챈 897.2m . 참나무숲이 좋다.

13 : 41. 봉을 하나 넘어서며 마치,상정바위가 다시 보이고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 고양산, 1004.3m 부터 지나온능선과 갈 마치,상정바위.큰골쪽이 한눈에 조망된다.
14 ; 16. 910.6m 마치(馬峙). 삼면경계봉. 좌측 월천쪽 능선에서 올라온 좋은길이 나온다.
            857.4m에서 910.6m까지는 면경계가 마루금 좌측 계곡으로 떨어져 있다.
14 ; 21. 마치안부.등산로 기둥.좌우로 옛길흔적.
14 : 29. 둔덕봉 오름길에 우측 지능선으로 큰골 하산길 있다<우회길 아니니 주의>
14 ; 32. 맨밑안부. 서서히 올라간다.
14 ; 51. 암벽밑. 위험표시판. 우측으로 우회길따라 오름.
14 ; 52. 직벽로프.이후로도 계속 로프가 이어진다.
15 ; 03. 로프끝. 바로위가 정점이다.
15 ; 05. 980m. 좌측 큰골,작은골쪽애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고 올라온길쪽에 암벽위험로 표시판.
15 ; 06. 상정바위 정상 암벽을 좌측밑으로 돌아 계단을 오른다.
15 ; 07. 상정바위정상 좌측의 헬기장.마루금이다. 우측 50여m가 정상.
15 : 08/14.상정바위.삼각점(305재설. 77.6 건설부) 한반도 모양의 정상석.
         우측(남) 절벽위에서 지나온 지맥과 한반도 지형, 갈 남산쪽을 보고 되돌아 나와 좌측 헬기장쪽으로 감.
15 : 21. 975.2m봉. 상정바위를 뒤돌아 보고 한반도 지형을 다시 본다.좌틀해 내려간다.
15 ; 31. 잔돌 바윗길에 하얀들꽃이 만발한 약 970m봉을 넘어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46.좌우 길 없는 안부를 지나 926.6m오름길에 975.2m봉을 뒤돌아 보고
15 : 50. 뾰족한 926.6m봉.하얀 야생화 만발한 잡목봉.
16 ; 09. 835.5m. 야트막한 둔덕을 지난다.
16 ; 13.안부.좌,우측 스므골 하산길 족적이 보인다. 이제부턴 955m 산불초소까지는  오름길이다.
16 ; 26. 890m. 된비얄 올라서 우틀하며 숨고르기 하고 노란 야생화가 만발했다.
16 ; 39/41. 955m 산불초소봉. 삼각점(77.6 재설 418건설부).통신탑.맥은 좌측으로 내려감.남산 찍으러 우측 수렛길로.내려감
16 ; 47.안부부터 통신 케이블따라 오른 산악기상 관측장비 통신탑.여기까진길이 있다.정점은 좀더 앞쪽으로 나가야
16 ; 50. 남산(959m)정상. 빼곡한 잡목숲.토끼가 지나간 흔적도 없다.
16 ; 58. 다시 돌아온 955m 삼각점봉.길은 넓고 울창한 소나무숲길이 좋다.
17 ; 16/23. 814.3m봉밑 안부터는 우측이 벌목하여 북평면과 뒤로 옥갑간과 백석봉이 조망된다. 잠시 숨돌리고
17 : 28. 814.3m봉. 정점을 넘어서며 고사목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 주의>내림길이 나무등걸로 나쁘다.
17 ; 37. 소나무가  울창한 앞봉을 넘고
17 ; 43. 약 750m봉을 넘어 유인 정선김씨묘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좌측 737.3m길 아님>
17 : 53. 능선이 애매한 잣나무숲속에서 살짝 우틀해 내려가고(좌측 작은 계곡 건너편이 높아 보이지만)
17 ; 56. 임도를 건너 직진해 내려가고
17 ; 58. 안동김씨묘역을 지나며 옥갑산,노추산능선이 보이고
18 : 00. 넓은 초원같은 묵밭 수렛길 삼거리에 내려서 직진해 수렛길따라 묵밭을 오르고.좌측 아래가 세리곡
18 ; 05. 묵밭끝 "나무주사" 푯찰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18 ; 09.약 620m 잡목에서 좌측으로 내려선다.
 18 ; 16. 평평한 안부에서 우측 사면길 같은 곳으로 건너간다.
18 ; 28. 뚝 뚝 떨어져 내려오면 급경사 벌목지가 나오고 남평초교와 오음봉과 지맥의 긑이 보인다.
            맥은 좌측 50m거리의 벌목지 끝의 철탑쪽이나 족적따라 벌목지 급경사를 내려갔다.
18 ; 39. 정선농업기술쎈터뒤.울타리로 막혀있어 우측으로 돌아 나오면
18 : 41. 정선군농업기술쎈터 버스정류장.좌측이 마루금이다.
18 ; 42. 남평초교앞 마루금도로. 남평초교쪽 마루금은 민가로 막혀있어 우측으로 돌아감.
18 : 45. 남평초교.  건물 우측 갓으로 오르면 좋은길이 나온다.
18 : 56. 오음봉(五音峰.446.3m).두 개의 작은 바위사이에 삼각점이 있고 측량 폴대가 꽃혀있다.
18 ; 58. 오음봉을 내려가면 통덕랑 남평홍공과 숙부인 정선김씨묘가 있고 앞에 봉긋한 봉이 있다.
19 ; 00. 앞 봉긋한 봉넘어 절벽위. 내려가기가 위험해 되돌아  넘어갔다.
19 ; 09. 통덕랑묘에서 동쪽에 길이 있는걸 모르고 서쪽 마을쪽으로 치고 내려오니 북평면 옴모탱이길 60.
       축사옆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갔으면 바로 남평대교인데  좌측으로 가니 길이 신촌마을로  돌아 나 있다.      
19 ; 22. 남평대교앞.남평리 관광안내도.황토민박. 이진사댁간판. 황토민박 뒤 빈집에서 대충씻다.
            남평대교 좌측이 오대천과 골지천이 만나는 합수점이다.
        
19 : 35. 남평대교 출발. 비가 오기 시작한다.
20 ; 55. 정선 황토방  병천순대집에서 저녁먹고 출발. 준비가 안돼있서 늦어졌다.
23 ; 30. 일죽 대송휴게소 도착. 비가 많이 오고 있다.
00 ; 30. 천안도착.

 

 

◈ 산행후기

 

※ 고양리큰골-1006.4m-상정바위(107.4m). 7.87km. 3시간 23분.

 

06 ; 30. 영등포 소방서앞출발.
07 ; 00. 양재역 서초구민회관앞,
08 ; 00.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영월거쳐
11 : 10/14.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 삼거리 버스종점. 좌 고창골,우 큰골.안내판. 가랑비가 와서 우비입고 큰골로
11 ; 16. 우측으로 상정바위등산로 안내판.일부는 직접 상정바위로 오르고. 택시로 큰골로 감
11 : 25.  삼거리에서 2.86km 떨어진 큰골 마지막집에서 산행시작.세멘길은 5분쯤 올라가서 끝남.비가 그침.
12 ; 05. 금대지맥 주능선안부.마지막집 →첫계곡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계곡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올랐음.
12 : 19. 곰목이재.내림길은 평퍼짐해 생각보다 길이 시원찮고 취나물이 지천이다.
12 ; 28/49. 1006.4m 삼각점봉. 우측 빼곡한 덤불속에 삼각점(77.6재설.424건설부)이 숨어 있다.점심
 12 : 55. 삼각점봉에서 살짝 좌틀해 내려가 앞 바위봉을 넘고
13 ; 02. 삼면경계인 1004.3m과 998.9m 두 바위 사이로 내려간다.우측 바위에 삼각점이 있나 살펴볼걸 잊었다.
13 ; 09. 뚝 떨어져 내려가며 능선갈림에서 좌측으로 간다.
13 ; 12. 처음으로 상정바위가 저만치 올려다 보인다.
13 ; 28. 잔봉을 두 어번 오르내리다  897.2m 된비얄 오름길에 1004.3 삼면경계봉을 뒤돌아보고
13 ; 32. 바윗길을 빨 딱 올려 챈 897.2m . 참나무숲이 좋다.

13 : 41. 봉을 하나 넘어서며 마치,상정바위가 다시 보이고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 고양산, 1004.3m 부터 지나온능선과 갈 마치,상정바위.큰골쪽이 한눈에 조망된다.
14 ; 16. 910.6m 마치(馬峙). 삼면경계봉. 좌측 월천쪽 능선에서 올라온 좋은길이 나온다.
            857.4m에서 910.6m까지는 면경계가 마루금 좌측 계곡으로 떨어져 있다.
14 ; 21. 마치안부.등산로 기둥.좌우로 옛길흔적.
14 : 29. 둔덕봉 오름길에 우측 지능선으로 큰골 하산길 있다<우회길 아니니 주의>
14 ; 32. 맨밑안부. 서서히 올라간다.
14 ; 51. 암벽밑. 위험표시판. 우측으로 우회길따라 오름.
14 ; 52. 직벽로프.이후로도 계속 로프가 이어진다.
15 ; 03. 로프끝. 바로위가 정점이다.
15 ; 05. 980m. 좌측 큰골,작은골쪽애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고 올라온길쪽에 암벽위험로 표시판.
15 ; 06. 상정바위 정상 암벽을 좌측밑으로 돌아 계단을 오른다.
15 ; 07. 상정바위정상 좌측의 헬기장.마루금이다. 우측 50여m가 정상.
15 : 08/14.상정바위.삼각점(305재설. 77.6 건설부) 한반도 모양의 정상석.
         우측(남) 절벽위에서 지나온 지맥과 한반도 지형, 갈 남산쪽을 보고 되돌아 나와 좌측 헬기장쪽으로 감.

 

 

11 : 10/14.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 삼거리 버스종점. 좌 고창골,선양교회. 우 큰골. 안내판.
가랑비가 와서 우비입고 큰골로


 

 

11 : 10/14. 정선군 여량면 고양리 삼거리 버스종점.
뒤론 상정바위산.

 

 

 

 

11 ; 16. 우측으로 상정바위등산로 안내판.일부는  여기서 직접 상정바위로 오르고.
나머지는 여량에서 불러 온 택시로 두번에 나눠 큰골로 감.

 

 


 

 

상정바위등산로 안내도.
클릭하면 확대됩나다.

 

 

 

11 : 25.  삼거리에서 2.86km 떨어진 큰골 마지막집에서 산행시작.
세멘길은 5분쯤 올라가서 끝나고 비가 그침.

 

 


 

세멘길은 저 전봇대까지고 이후는 수렛길이 잠시 이어짐.

 

 

 

12 ; 05. 금대지맥 주능선안부.1010.1m과 1008.6m사이 안부다.
마지막집 →첫계곡 갈림길에서 우측 이정표 날개는  떨어져 나가고 기둥만 남아있는쪽으로 →두 번째 계곡갈림길에서 좌측으로 올랐음.


 

 

12 : 19. 곰목이재.
곰목이재로 내려가는 길은 평퍼짐해 생각보다 길이 시원찮고 취나물이 지천이다.


 

 

곰목이재부근.


 

 

12 ; 28/49. 1006.4m 삼각점봉.
우측 빼곡한 덤불속에 삼각점(77.6재설.424건설부)이 숨어 있다.여기서 점심.

 

 


13 ; 02. 삼면경계인 1004.3m과 998.9m 두 바위 사이로 내려간다.
좌측바위가 1004.3m,우측 바위가 998.9m인데 온맵지도는 우측  998.9m에  삼각점이 있는것으로 돼 있는데 살펴볼걸 지나쳤다.


 

 

13 ; 12. 내림길에 처음으로 상정바위산이  저만치 올려다 보인다.


 

 

13 ; 28. 잔봉을 두 어번 오르내리다  897.2m 된비얄 오름길에 1004.3, 삼면경계봉을 뒤돌아보고

 

 

 

13 ; 32. 바윗길을 빨 딱 올려 챈 897.2m .
참나무숲이 좋다.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에서 본  910.6m 마치(馬峙. 앞봉).상정바위산(우뒤).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에서 본 1004.3m (중).
1004.3m 좌측능선이 지맥이고 우측능선은 덕우리로 내려가는 면경계능선임.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에서 본 고양산.

가운데 능선 넘어가 산행시작점인 큰골이 되겠다.

 

 

 

 

13 ; 53/4. 전망좋은 857.4m봉에서 본 큰골교쪽.

 

 

 

14 ; 16. 910.6m 마치(馬峙). 삼면경계봉. 좌측 월천쪽 능선에서 올라온 좋은길이 나온다.
            857.4m에서 910.6m까지는 면경계가 마루금 좌측 계곡으로 떨어져 있다.

 

 

 

14 ; 21. 마치안부.등산로 이정표 기둥.좌우로 옛길흔적.

 

 


 

14 ; 51. 암벽밑. 위험표시판. 우측으로 우회길따라 오름.

 

 

 

14 ; 52. 직벽로프.이후로도 계속 로프가 이어진다.

 

 

15 ; 05. 980m.

좌측 큰골,작은골쪽애서 올라온 좋은길을 만나고 올라온길쪽에 암벽위험로 표시판.

 

 

15 ; 06. 상정바위 정상 암벽을 좌측밑으로 돌아 계단을 오른다.

 

 

 

15 ; 07. 상정바위정상 좌측의 헬기장.마루금이다. 우측 50여m가 정상.

 

 

 

15 : 08/14.상정바위산 암벽위에서 본 1004.3m(좌)-마치(910m.중)-상정바위산으로 이어온 지맥모습.

 

 

 

 

15 : 08/14.상정바위산 암벽위에서 본 갈 975.2m(앞)-955m(중)-남산(우).

뒤로 높은산은 백석봉(1237.5m)다.

 

 

 

15 : 08/14.상정바위산 암벽위에서 본  한반도지형.

 

 

 

땡겨 본  한반도지형.

 

 

 

15 : 08/14.상정바위.삼각점(305재설. 77.6 건설부) 한반도 모양의 정상석.
         우측(남) 절벽위에서 지나온 지맥과 한반도 지형, 갈 남산쪽을 보고 되돌아 나와 좌측 헬기장쪽으로 감.

 

 

 

※ 상정바위(107.4m)-남산-오음봉(446.3m)-남평대교. 10.77km. 4시간 8분.

 

15 : 08/14.상정바위.삼각점(305재설. 77.6 건설부) 한반도 모양의 정상석.
         우측(남) 절벽위에서 지나온 지맥과 한반도 지형, 갈 남산쪽을 보고 되돌아 나와 좌측 헬기장쪽으로 감.
15 : 21. 975.2m봉. 상정바위를 뒤돌아 보고 한반도 지형을 다시 본다.좌틀해 내려간다.
15 ; 31. 잔돌 바윗길에 하얀들꽃이 만발한 약 970m봉을 넘어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46.좌우 길 없는 안부를 지나 926.6m오름길에 975.2m봉을 뒤돌아 보고
15 : 50. 뾰족한 926.6m봉.하얀 야생화 만발한 잡목봉.
16 ; 09. 835.5m. 야트막한 둔덕을 지난다.
16 ; 13.안부.좌,우측 스므골 하산길 족적이 보인다. 이제부턴 955m 산불초소까지는  오름길이다.
16 ; 26. 890m. 된비얄 올라서 우틀하며 숨고르기 하고 노란 야생화가 만발했다.
16 ; 39/41. 955m 산불초소봉. 삼각점(77.6 재설 418건설부).통신탑.맥은 좌측으로 내려감.남산 찍으러 우측 수렛길로.내려감
16 ; 47.안부부터 통신 케이블따라 오른 산악기상 관측장비 통신탑.여기까진길이 있다.정점은 좀더 앞쪽으로 나가야
16 ; 50. 남산(959m)정상. 빼곡한 잡목숲.토끼가 지나간 흔적도 없다.
16 ; 58. 다시 돌아온 955m 삼각점봉.길은 넓고 울창한 소나무숲길이 좋다.
17 ; 16/23. 814.3m봉밑 안부터는 우측이 벌목하여 북평면과 뒤로 옥갑간과 백석봉이 조망된다. 잠시 숨돌리고
17 : 28. 814.3m봉. 정점을 넘어서며 고사목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 주의>내림길이 나무등걸로 나쁘다.
17 ; 37. 소나무가  울창한 앞봉을 넘고
17 ; 43. 약 750m봉을 넘어 유인 정선김씨묘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좌측 737.3m길 아님>
17 : 53. 능선이 애매한 잣나무숲속에서 살짝 우틀해 내려가고(좌측 작은 계곡 건너편이 높아 보이지만)
17 ; 56. 임도를 건너 직진해 내려가고
17 ; 58. 안동김씨묘역을 지나며 옥갑산,노추산능선이 보이고
18 : 00. 넓은 초원같은 묵밭 수렛길 삼거리에 내려서 직진해 수렛길따라 묵밭을 오르고.좌측 아래가 세리곡
18 ; 05. 묵밭끝 "나무주사" 푯찰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18 ; 09.약 620m 잡목에서 좌측으로 내려선다.
 18 ; 16. 평평한 안부에서 우측 사면길 같은 곳으로 건너간다.
18 ; 28. 뚝 뚝 떨어져 내려오면 급경사 벌목지가 나오고 남평초교와 오음봉과 지맥의 긑이 보인다.
            맥은 좌측 50m거리의 벌목지 끝의 철탑쪽이나 족적따라 벌목지 급경사를 내려갔다.
18 ; 39. 정선농업기술쎈터뒤.울타리로 막혀있어 우측으로 돌아 나오면
18 : 41. 정선군농업기술쎈터 버스정류장.좌측이 마루금이다.
18 ; 42. 남평초교앞 마루금도로. 남평초교쪽 마루금은 민가로 막혀있어 우측으로 돌아감.
18 : 45. 남평초교.  건물 우측 갓으로 오르면 좋은길이 나온다.
18 : 56. 오음봉(五音峰.446.3m).두 개의 작은 바위사이에 삼각점이 있고 측량 폴대가 꽃혀있다.
18 ; 58. 오음봉을 내려가면 통덕랑 남평홍공과 숙부인 정선김씨묘가 있고 앞에 봉긋한 봉이 있다.
19 ; 00. 앞 봉긋한 봉넘어 절벽위. 내려가기가 위험해 되돌아  넘어갔다.
19 ; 09. 통덕랑묘에서 동쪽에 길이 있는걸 모르고 서쪽 마을쪽으로 치고 내려오니 북평면 옴모탱이길 60.
       축사옆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갔으면 바로 남평대교인데  좌측으로 가니 길이 신촌마을로  돌아 나 있다.
19 ; 22. 남평대교앞.남평리 관광안내도.황토민박. 이진사댁간판. 황토민박 뒤 빈집에서 대충씻다.
            남평대교 좌측이 오대천과 골지천이 만나는 합수점이다.
     
19 : 35. 남평대교 출발. 비가 오기 시작한다.
20 ; 55. 정선 황토방  병천순대집에서 저녁먹고 출발. 준비가 안돼있서 늦어졌다.
23 ; 30. 일죽 대송휴게소 도착. 비가 많이 오고 있다.
00 ; 30. 천안도착.

 

 

15 : 21. 975.2m봉.
상정바위산을 뒤돌아 보고 .

 

 

 

15 : 21. 975.2m봉.
한반도 지형을 다시 보고 좌틀해 내려간다.

 

15 ; 31. 잔돌 바윗길에 하얀들꽃이 만발한 약 970m봉.
 급하게 뚝 떨어져 내려가고

 

 

15 : 50. 뾰족한 926.6m봉.
하얀 야생화 만발한 잡목봉.

 

 


 

16 ; 13.안부.좌,우측 스므골 하산길 족적이 보인다.
이제부턴 955m 산불초소까지는  오름길이다.

 

 

16 ; 26. 890m.

된비얄 올라서 우틀하며 숨고르기 하고 노란 야생화가 만발했다.

 

 

 

16 ; 39/41. 955m 산불초소봉.
삼각점(77.6 재설 418건설부).통신탑있고 맥은 좌측으로 내려가나 남산 찍으러 우측 수렛길로 내려갔다.

 

 

 

16 ; 47.안부부터 통신 케이블따라 오른 산악기상 관측장비 통신탑.
여기까진길이 있다.정점은 좀더 앞쪽으로 나가야.

 

 


 

16 ; 50. 남산(959m)정상. 빼곡한 잡목숲.토끼가 지나간 흔적도 없다.

 

 

17 ; 16/23. 814.3m봉밑 안부터는 우측이 벌목하여 북평면과 뒤로 옥갑간과 백석봉이 조망된다. 잠시 숨돌리고

 

 


 

17 ; 16/23. 814.3m봉 벌목지에서 우측으로 본 북평 나전역과 그뒤로 옥갑간과 백석봉쪽.

 

 

 

 

17 ; 16/23. 814.3m봉 벌목지에서 뒤 돌아 본 남산과 955m봉.

 

 

 

17 : 28. 814.3m봉.
정점을 넘어서며 저기 보이는 고사목 좌측으로 내려갔.
벌목 능선따라 직진해 내려가면 알바다.
좌로 꺽어 내려가는길은 숲은 울창하고 벌목나무  나무등걸로 길이 사납다.


 

 

소나무가  울창한 저 750m 앞봉을 넘어 가야하면


 

 

17 ; 43. 약 750m봉을 넘어 유인 정선김씨묘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좌측 737.3m쪽 능선길 아님>

 

 

17 : 53. 능선이 애매한 잣나무숲속에서 살짝 우틀해 내려가고(좌측 작은 계곡 건너편이 높아 보이지만)

 

 

17 ; 56. 임도를 건너 직진해 내려가고

 

 

18 : 00. 넓은 초원같은 묵밭 수렛길 삼거리에 내려서 직진해 수렛길따라 묵밭을 올라 좌측으로 내려간다.
좌측 아래가 지도상의 세리곡

 

 

18 : 00. 넓은 초원같은 묵밭 수렛길 삼거리에 우측으로 본 백석봉(좌), 옥갑산(우).

 

 

 

 

18 ; 05. 묵밭끝 "나무주사" 푯찰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보고

 

18 ; 28. 뚝 뚝 떨어져 내려오면 급경사 벌목지에서 본 오음산과 북평면뒤로 백석봉.

 

 

 

 

18 ; 28. 뚝 뚝 떨어져 내려오면 급경사 벌목지가 나오고 남평초교와 오음봉과 지맥의 긑이 보인다.
            맥은 좌측 50m거리의 벌목지 끝의 철탑쪽이나 족적따라 벌목지 급경사를 내려갔다.

 

18 : 45. 남평초교. 

 건물 우측 갓으로 오르면 좋은길이 나온다.

 

 

18 : 45. 남평초교뒤에서 뒤 돌아 본 급경사 벌목지와 농업기술쎈터(우). 

 

 

 

18 : 56. 오음봉(五音峰.446.3m).
두 개의 작은 바위사이에 삼각점이 있고 측량 폴대가 꽃혀있다.

 

 

 

18 ; 58. 오음봉을 내려가면 통덕랑 남평홍공과 숙부인 정선김씨묘가 있고 바로 앞에 봉긋한 봉이 있다.

 

 

 

19 ; 09. 옴모탱이길.무슨뜻일까?
통덕랑묘에서 동쪽에 길이 있는걸 모르고 서쪽 마을쪽으로 치고 내려오니 북평면 옴모탱이길 60.
       축사옆으로 내려와 우측으로 갔으면 바로 남평대교인데  좌측으로 가니 길이 신촌마을로  돌아 나 있다.

 

 

 

19 ; 22. 남평대교앞에서 뒤 돌아 본 오음봉과 뒤로 남산

 

 

 

 

19 ; 22. 남평대교앞.
남평리 관광안내도.황토민박. 이진사댁간판. 황토민박 뒤 빈집에서 대충씻다.
            남평대교 좌측이 오대천과 골지천이 만나는 합수점이다.
        

 

 

 

19 ; 22. 남평대교앞.
남평리 관광안내도.황토민박. 이진사댁간판. 황토민박.

 

 

 

19 ; 22. 남평대교앞.남평리 관광안내도.황토민박. 이진사댁간판. 황토민박 뒤 빈집에서 대충씻다.
         

 

 

 

19 ; 22. 남평대교에서 본 합수점.
          오대천과 골지천이 만나는 합수점이다.
        

 

 


<5회에 걸친 금대지맥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