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ㅈ 기맥,지맥.

죽렴지맥 2구간(마차재-곰봉(1016m)-미구치-미구교).

 

 

죽렴지맥 2구간(마차재-곰봉(1016m)-미구치-미구교).
(GPS가 지점만 남고 트랙이 아웃됐다)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GPS 거리 18.8km(하산 3.38km포함).  7시간 08분.

마차재(38.59도로)-853.m-곰봉(1016m)-948.8m-임도-고성치도로-미구치(味邱峙)-미구교(31구도로)

 

 

◈ 일시 : 2014. 10. 12(일).  

 

◈ 날씨 :    서울 13.9/29. 가을날씨로  단풍좋고 산행하기  좋음.

 

동행인 : 달인클럽 13명. 김형식회장님.한상훈님. 이한원님.고광의님.정영옥님.이인표님.이선우님.  
                     강형태님.장희익님.  정환규님. 이덕희님 . 김정옥님. 박종율.

 

◈ 회비 : 5만원.

 

◈ 지도.

 

 

죽렴지맥 2구간(마차재-곰봉(1016m)-미구치-미구교).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2구간(마차재-곰봉(1016m)-미구치-미구교).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죽렴지맥 2구간(마차재-곰봉(1016m)-미구치-미구교).지도3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트랙.

 

 

 

죽렴2a.gpx

 

◈ 일정정리. 10 : 10 ~17 : 17.

 

06 ;50. 천안출발
08 : 0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휴게소들려

10 ; 06 /10.마차재(표고 708m). 38번,59번도로를 건너  절개지 좌측 계단따라 오른다.
10 ; 18. 절개지위 우량관측시설.
10 ; 26. 벌목지 경계를 따라 오르며  두위봉쪽을 뒤 돌아 보고
10 ; 31. 853.3m. 우측으로 벽암산(霹巖山.924.9m)이 분기하고 길은 정점을 오르지 않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0 ; 39. 우측이 돌리네인 무밭에선 무수확이 한창인 안부를 지난다.
10 ; 42. 무밭끝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르는데 직진하기 쉽다.
10 ; 49. 78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 도상 마치재.세멘 임도삼거리.좌측에 비닐하우스.
           여기서부터  GPS가 지점만 남고 트랙기록은 안됐다.
10 : 56. 869.1m오름길에 우측으론 곱게 단풍이 든 계봉(1028m)이,좌측으론 마차재와 두위봉이 보인다. 
11 : 08. 벌목지를 좌측에 끼고  된비얄을 치고 오른 869.1m봉.우측으로 걱어가며  벌목지 뒤로 곰봉이 보인다.
11 ; 17. 오가피밭을 지나며 곰봉이 코앞인데 다시 한오름 올라야 한다.
11 ; 37/41. 된비얄 오른 곰봉( 1016.0m).산불감시탑. 삼각점(정선 12).두위봉과 오늘 갈 미구치가  조망된다.
11 ; 47. 급경사를 내려가며 좌측으로 록색 철조망이 시작된다.
11 : 55. 929.1m.별 특징 없고
11 ; 56. 좀 내려가선 철조망을 넘고 다시 바로 앞쪽에  철조망이 있다.
11 ; 58.  안쪽의 두 번 째   철조망을 넘으며 철조망은 끝이난다.
12 ; 03/23. 928m쯤되는 둔덕을 넘어서며 점심. 식사후 맨 꼴지로 출발.
12 : 27. 묵은 헬기장을 지난다.일행들은 휙 날라 버리고
12 ; 30. 좌측 10여m에 임도가 있어 대부분 임도를 따르지만 한동안  마루금과 멀어지므로 마루금을  고집해 앞봉을 넘고.
12 ; 37. 우측 앞쪽으로  동강건너에 있는 백운산과 죽렴지맥지맥의 끝에 있는 능암덕산이 보인다
12 ; 53. 임도 삼거리.봉 3개를 좌측으로 우회 해온 임도를 다시 만난다(산길이 빠르다).잠시 임도를 따르다 산길로 들고
13 ; 12/14. 948.8m . 예미 304 삼각점과 산불초소.산불초소위에서 두위지맥과 갈 지맥을 둘러본다.
13 ; 24. 우측으로 돌아온 임도를 건너고(몇 명은 남쪽 능선으로 내려가다 되 돌아온다).
13 ; 30/34. 길도 없는 잡목을 헤치고 내려온 임도. 좌측으로 돌아온 임도를 다시 만나 임도따라 갔다.
           더덕 캐러온 부부의 승용차가  있다.잠시쉬어 알바팀 기다렸다 출발
13 ; 43. 임도길에 우측으로 운치리와 동강가의 백운산(883.5m)이 보인다.
13 ; 48. 임도 삼거리. 좌측 위 안부로 올라  족적도 흐릿한 우측 820m 산길로 오른다.
13 ; 57. 약 820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14 ; 06. 좌,우로 길게 돌아온 임도를 만나 임도를 건너고
14 ; 13. 730.1m봉.별 특징없는 잡목봉.지도엔 우측 저밑에 평풍바위가 있단다.
14 : 15. 730.1m을 내려가며 저앞에 가야 할 봉들이 보이고
14 ; 20/24. 698.3m(고선터널위봉)에서 잠시 숨 돌리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 27. 고성터닐위.안부는 좀더 내려가서 있다.
14 ; 34. 고성고개. 우측 문 닫은 동강쉼터뒤 능선으로 붙어  좌로 꺽어 큰 고냉지밭 좌측갓으로 오르고
14 ; 45. 족적도 흐릿한 700.6m봉.
14 : 50. 록색 그물망 안부. 좌측엔  넓은 개간지밭. 동강쉼터에서 도로따라 오다 붙으면 여기로 올라온다.
15 ; 02. 된비얄 올라선 801m봉.우측으로 꺽어 내려서면
15 ; 04/06. 군경계인인데  좌측 석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꺽어 군경계 능선을 따라  간다.
15 ; 14. 약 758m 잡목봉에서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좌측은 북실마을 하산길능선.
15 ; 38/41. 된비얄 올라선 808.6m.빼곡한 철쭉잡목에서 힘들어 잠시 숨 돌리고
 15 : 43. 두리뭉실한  능선에서 우틀해 내려가선
15 ; 47. 다시 좌측으로 바짝 꺽어 밋밋하게 내려간다.
15 ; 56. 한오름 올라선 802m에선 살짝 우틀해 내려가고
16 ; 07. 다시 된비얄 올라선 표고 약 850m되는 평평한 지점에서 맥은 우측으로 내려가나 좌측 876.2m봉을 잠깐 다녀온다.
16 ; 09. 876.2m. 참나무숲으로 조망도 없고 별 특징 없다.
16 ; 26. 급경사를 내려간 미구치(味邱峙.약 726m). 좌측 목장쪽으로 하산.
16 ; 27. 칠백목장초지가 나오고 목장철선. 우측으로 고고산 남쪽봉인 935.9m봉이 높게 보인다.
16 : 31. 칠백농장주인인 유원상씨를 만나 다음번에 올라갈 차량을 섭외한다.
16 ; 38. 우측 칠백목장에서 오는 세멘길을 만나서 도로따라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여기까진 봉고차가 올라오겠다.
16 : 57. 삼거리. 미구농장등 골짝,골짝으로 들어가는  농장문패가 자주 나온다.
 17 ; 17. 미국교건너  31.38. 59번구도로 삼거리에서 산행종료.표고 320m.미구마을 안내도.고고산 등산안내도.
           미구치( 726m)에서 미구교 (320m)까지  표고 400m를 50분 걸려 내려왔다.
17 : 36. 석항천에서 씻고 다시 출발점인  마차재를 넘어 잿말랑휴게소로 가서 불고기 전골로 저녁먹고
17 : 55/18 ; 34.  잿말랑휴게소에서 저녁먹고 출발.휴게소는 난로 놓고 월동준비 완료했다.
20 ; 38. 일죽 대송휴게소도착.
21 ; 30. 천안도착.

 

 

◈ 산행후기.

 

GPS가 산행중엔 별 이상없이 잘 썼는데 집에와서 트랙을 보니 산행 시작하고 40여분만에 트랙이 아웃되고 지점만 낭았다.
바테리 부족도 아니고 ...
그후에 한번 더 잠깐 아웃됐다 다시 돌아와  마제란에 트랙을 보내봤으나  시원한 소식을 못듣고
기게를 보내면  필드에 나가서 시험을 해보겠다는데 계속되는 산행으로 그럴수도 없어
그냥 쓰고 있는데 그후로는 아직 별 이상을 모르고 지내는데 그이유는 모르겠다.
이놈도 주인을 닮아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모양이다.

오늘트랙은 같이 산행한 정영옥님 트랙에가 내가 찍은  웨이 포인트를  올렸다

 

 

 

※ 마차재(38도로)-곰봉(1016m)-고성고개(2차선도로).10.76km. 4시간 24분.

 

06 ;50. 천안출발
08 : 05. 일죽 대송휴게소에서 합류하여 제천휴게소들려

10 ; 06 /10.마차재(표고 708m). 38번,59번도로를 건너  절개지 좌측 계단따라 오른다.
10 ; 18. 절개지위 우량관측시설.
10 ; 26. 벌목지 경계를 따라 오르며  두위봉쪽을 뒤 돌아 보고
10 ; 31. 853.3m. 우측으로 벽암산(霹巖山.924.9m)이 분기하고 길은 정점을 오르지 않고 좌측으로 내려간다.
10 ; 39. 우측이 돌리네인 무밭에선 무수확이 한창인 안부를 지난다.
10 ; 42. 무밭끝에서 우측으로 꺽어 오르는데 직진하기 쉽다.
10 ; 49. 78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 도상 마치재.세멘 임도삼거리.좌측에 비닐하우스.
           여기서부터  GPS가 지점만 남고 트랙기록은 안됐다.
10 : 56. 869.1m오름길에 우측으론 곱게 단풍이 든 계봉(1028m)이,좌측으론 마차재와 두위봉이 보인다. 
11 : 08. 벌목지를 좌측에 끼고  된비얄을 치고 오른 869.1m봉.우측으로 걱어가며  벌목지 뒤로 곰봉이 보인다.
11 ; 17. 오가피밭을 지나며 곰봉이 코앞인데 다시 한오름 올라야 한다.
11 ; 37/41. 된비얄 오른 곰봉 (1016.0m).산불감시탑. 삼각점(정선 12).두위봉과 오늘 갈 미구치가  조망된다.
11 ; 47. 급경사를 내려가며 좌측으로 록색 철조망이 시작된다.
11 : 55. 929.1m.별 특징 없고
11 ; 56. 좀 내려가선 철조망을 넘고 다시 바로 앞쪽에  철조망이 있다.
11 ; 58.  안쪽의 두 번 째   철조망을 넘으며 철조망은 끝이난다.
12 ; 03/23. 928m쯤되는 둔덕을 넘어서며 점심. 식사후 맨 꼴지로 출발.
12 : 27. 묵은 헬기장을 지난다.일행들은 휙 날라 버리고
12 ; 30. 좌측 10여m에 임도가 있어 대부분 임도를 따르지만 한동안  마루금과 멀어지므로 마루금을  고집해 앞봉을 넘고.
12 ; 37. 우측 앞쪽으로  동강건너에 있는 백운산과 죽렴지맥지맥의 끝에 있는 능암덕산이 보인다
12 ; 53. 임도 삼거리.봉 3개를 좌측으로 우회 해온 임도를 다시 만난다(산길이 빠르다).잠시 임도를 따르다 산길로 들고
13 ; 12/14. 948.8m . 예미 304 삼각점과 산불초소.산불초소위에서 두위지맥과 갈 지맥을 둘러본다.
13 ; 24. 우측으로 돌아온 임도를 건너고(몇 명은 남쪽 능선으로 내려가다 되 돌아온다).
13 ; 30/34. 길도 없는 잡목을 헤치고 내려온 임도. 좌측으로 돌아온 임도를 다시 만나 임도따라 갔다.
           더덕 캐러온 부부의 승용차가  있다.잠시쉬어 알바팀 기다렸다 출발
13 ; 43. 임도길에 우측으로 운치리와 동강가의 백운산(883.5m)이 보인다.
13 ; 48. 임도 삼거리. 좌측 위 안부로 올라  족적도 흐릿한 우측 820m 산길로 오른다.
13 ; 57. 약 820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14 ; 06. 좌,우로 길게 돌아온 임도를 만나 임도를 건너고
14 ; 13. 730.1m봉.별 특징없는 잡목봉.지도엔 우측 저밑에 평풍바위가 있단다.
14 : 15. 730.1m을 내려가며 저앞에 가야 할 봉들이 보이고
14 ; 20/24. 698.3m(고선터널위봉)에서 잠시 숨 돌리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14 : 27. 고성터닐위.안부는 좀더 내려가서 있다.
14 ; 34. 고성고개. 우측 문 닫은 동강쉼터뒤 능선으로 붙어  좌로 꺽어 큰 고냉지밭 좌측갓으로 오르고

 

 

10 ; 06 /10.마차재(표고 708m).
38번,59번도로를 건너  절개지 좌측 계단따라 오른다.

 

 

 

10 ; 06 /10.마차재(표고 708m)에서 좌측으로 본 곰봉(1016m).

 

.

 

10 ; 06 /10.마차재(표고 708m).

절개지 좌측 계단따라 오르면 우량관측시설물이 있고


 

 

10 ; 26. 벌목지 경계를 따라 오르며  지난번에 내려온 두위봉쪽을 뒤 돌아 보고

 

 


 

 853.3m   벽암산(霹巖山.924.9m) 분기봉에서 좌측으로 내려온 안부에서 본 계봉.
안부 우측은 돌리네인데   무수확이 한청인데 포크레인이 싣고있다.

 

 

 

 

10 ; 49. 780m 둔덕봉에서 좌측으로 꺽어 내려간 도상 마치재.세멘 임도삼거리.좌측에 비닐하우스.
           여기서부터  GPS가 지점만 남고 트랙기록이 안돼서 같이 간 정영옥님의 트랙에다 내가 찍은 지점을 썻다.

 

 

 

869.1m오름길  벌목지.

 

 

 

10 : 56. 869.1m오름길에 뒤 돌아 본 마차재(좌중간)와 두위봉쪽.

 

 

 

 

11 ; 17. 오가피밭을 지나며 곰봉이 코앞인데 다시 한오름 올라야 한다.

 

 

11 ; 37/41. 된비얄 오른 곰봉( 1016.0m).
산불감시탑. 삼각점(정선 12).두위봉과 오늘 갈 미구치가  조망된다.

 

 

 

11 ; 37/41.  곰봉( 1016.0m).

 

 

 

11 ; 37/41.  곰봉( 1016.0m)에서 본 두위봉쪽.

 

 


 

11 ; 37/41.  곰봉( 1016.0m)에서 본 두위지맥 질운산,타임캡슬공원쪽.

 

 

 

11 ; 37/41.  곰봉( 1016.0m)에서 본 갈 지맥.

 

 

 

11 ; 37/41.  곰봉( 1016.0m)에서
좌측부터 두꺼비 정영옥님. 태백산 이한원님. 이덕희님. 김정옥님. 고광의 장군님. 수강산 이선우님. 나 박종율. 강형태님은 사진찍고.

 

 

 

11 : 55. 929.1m.별 특징 없고


 

 

만추의 928m쯤되는  둔덕을 넘고

 

 

 

12 ; 30. 좌측 10여m에 임도가 있어 대부분 임도를 따르지만 임도는 한동안  마루금과 멀어지므로 마루금을  고집해 앞봉을 넘어간다.

 

 

 

완택산,고고산주변의 산군들.

 

 

 

 

  죽렴지맥지맥 끝자락

 

 


 

 

 

 동강건너의 백운산 주변 산들.

 

 

 

12 ; 53. 임도 삼거리.
봉 3개를 좌측으로 우회 해온 임도를 다시 만난다(산길이 빠르다).잠시 임도를 따르다 산길로 들고

 

 

 

13 ; 12/14. 948.8m .
예미 304 삼각점과 산불초소.산불초소위에서 두위지맥과 갈 지맥을 둘러본다.

 

 


 

13 ; 12/14. 948.8m에서 본 갈 지맥.
좌측 안부가  고성고개,가운데 우측 안부가 미구치.
뒤는 두위지맥의 예미산-망경대산

 

 


 

13 ; 12/14. 948.8m에서 본 두위지맥 뱃재-예미산.

 

 

 

13 ; 12/14. 948.8m에서 본 신동읍과 두위지맥. 예미산-망경대산

 

 

 

 

 

13 ; 30/34. 길도 없는 잡목을 헤치고 내려온 임도. 좌측으로 돌아온 임도를 다시 만나 임도따라 갔다.
           더덕 캐러온 부부의 승용차가  있다.잠시쉬어 알바팀 기다렸다 출발

 

 

마루금과 나란히 가는 임도를 따라가고

 

 

 

 

 임도 따라가며 우측으로 본 운치리와 백운산군

 

 

 

13 ; 48.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 위 안부로 올라서고

 

 

 

13 ; 57. 약 820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약 820m봉을 내려서며 본 갈 지맥.

 

 

 

14 : 15. 730.1m을 내려가며 저앞에 가야 할 봉들이 보이고

 

 

14 ; 20/24. 698.3m(고선터널위봉)에서 잠시 숨 돌리고 우측으로 내려간다.

 

 

 

 고성고개의 문닫은 동강쉼터.

 

 

 

14 ; 34. 고성고개.
우측 문 닫은 동강쉼터뒤 능선으로 붙어  좌로 꺽어 큰 고냉지밭 좌측갓으로 오르고

 

 

 

※ 고성고개(2차선도로)-미구치-미구교(38도로).8.04km. 2시간 43분.

 

14 ; 34. 고성고개. 우측 문 닫은 동강쉼터뒤 능선으로 붙어  좌로 꺽어 큰 고냉지밭 좌측갓으로 오르고
14 ; 45. 족적도 흐릿한 700.6m봉.
14 : 50. 록색 그물망 안부. 좌측엔  넓은 개간지밭. 동강쉼터에서 도로따라 오다 붙으면 여기로 올라온다.
15 ; 02. 된비얄 올라선 801m봉.우측으로 꺽어 내려서면
15 ; 04/06. 군경계인인데  좌측 석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꺽어 군경계 능선을 따라  간다.
15 ; 14. 약 758m 잡목봉에서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간다.좌측은 북실마을 하산길능선.
15 ; 38/41. 된비얄 올라선 808.6m.빼곡한 철쭉잡목에서 힘들어 잠시 숨 돌리고
 15 : 43. 두리뭉실한  능선에서 우틀해 내려가선
15 ; 47. 다시 좌측으로 바짝 꺽어 밋밋하게 내려간다.
15 ; 56. 한오름 올라선 802m에선 살짝 우틀해 내려가고
16 ; 07. 다시 된비얄 올라선 표고 약 850m되는 평평한 지점에서 맥은 우측으로 내려가나 좌측 876.2m봉을 잠깐 다녀온다.
16 ; 09. 876.2m. 참나무숲으로 조망도 없고 별 특징 없다.
16 ; 26. 급경사를 내려간 미구치(味邱峙.약 726m). 좌측 목장쪽으로 하산.
16 ; 27. 칠백목장초지가 나오고 목장철선. 우측으로 고고산 남쪽봉인 935.9m봉이 높게 보인다.
16 : 31. 칠백농장주인인 유원상씨를 만나 다음번에 올라갈 차량을 섭외한다.
16 ; 38. 우측 칠백목장에서 오는 세멘길을 만나서 도로따라 지그재그로 내려간다. 여기까진 봉고차가 올라오겠다.
16 : 57. 삼거리. 미구농장등 골짝,골짝으로 들어가는  농장문패가 자주 나온다.
 17 ; 17. 미국교건너  31.38. 59번구도로 삼거리에서 산행종료.표고 320m.미구마을 안내도.고고산 등산안내도.
           미구치( 726m)에서 미구교 (320m)까지  표고 400m를 50분 걸려 내려왔다.
17 : 36. 석항천에서 씻고 다시 출발점인  마차재를 넘어 잿말랑휴게소로 가서 불고기 전골로 저녁먹고
17 : 55/18 ; 34.  잿말랑휴게소에서 저녁먹고 출발.휴게소는 난로 놓고 월동준비 완료했다.
20 ; 38. 일죽 대송휴게소도착.
21 ; 30. 천안도착.

 

 

우측 문 닫은 동강쉼터뒤 능선으로 붙어  좌로 꺽어 큰 고냉지밭 좌측갓으로 오르고

 

 

 

15 ; 02. 된비얄 올라선 801m봉.
우측으로 꺽어 내려서고

 

 


 

15 ; 04/06. 군경계인인데  좌측 석항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꺽어 군경계 능선을 따라  간다.

 

 

 

15 ; 38/41. 된비얄 올라선 808.6m.
빼곡한 철쭉잡목에서 힘들어 잠시 숨 돌리고

 

 

 

15 : 43. 두리뭉실한  능선에서 우틀해 내려가선

 

 

16 ; 07. 다시 된비얄 올라선 표고 약 850m되는 평평한 지점에서 맥은 우측으로 내려가나 좌측 876.2m봉을 잠깐 다녀온다.

 

16 ; 26. 급경사를 내려간 미구치(味邱峙.약 726m).

 좌측 목장쪽으로 하산.

 

 

칠백목장초지가 나오고 목장철선.
우측으로 고고산 남쪽봉인 935.9m봉이 높게 보인다.
좌측 저아래  산모랭이를 돌아가면 미구교가 나온다.

 

 


 

목장의 한우들.

 

 

 

16 : 31. 칠백농장주인인 유원상(011 9793 0620)씨를 만나 다음번에 올라갈 차량을 섭외한다.

 

 


 


미구치(味邱峙.약 726m)에서 저 아래 38번국도 비구교(320m)까진 표고 400여m를 내려가야한다.

 

 

 

뒤 돌아 본 미구치(味邱峙.약 726m. 우 안부)와 마루금능선.

 

 

 

우측으로  본 다음 구간의 고고산.

 

 

 

골짝,골짝으로 들어가는  농장문패가 자주 나온다.

 

 

 

미구마을에서 뒤 돌아 본 미구교(우 안부)와 마루금능선.

 

 

 

미구교앞의 미구마을 안내도.

 

 

 

석항천.

 

 

 

17 ; 17. 미국교건너  31.38. 59번구도로 삼거리에서 산행종료.표고 320m.미구마을 안내도.고고산 등산안내도.
           미구치( 726m)에서 미구교 (320m)까지  표고 400m를 50분 걸려 내려왔다.

 

 

17 : 55/18 ; 34.  잿말랑휴게소에서 저녁먹고 출발.휴게소는 난로 놓고 월동준비가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