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길 62. 남파랑 81( 강진마량항-대구가우도입구) 1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5일 차.

 

남해안길 62. 남파랑 81( 강진마량항-대구가우도입구) 1

                                

◈ 일시 : 2023.  03. 21(화). 남해 해안. 섬 27차(남해안 16차)  5박 6일 중 첫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6.7 km. 5시간 4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남해안62(강진마량 ㅡ대구가우도입구)2023-03-21 122314__20230321_1223.gpx
0.09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10. 천안고속터미널에서 광주행 고속버스(₩21700x2)-광주터미널 08 : 50 도착.

09 ; 20. 광주터미널에서 강진. 당목행 시외버스(₩11200x2)-강진 10 ; 40 도착.
           강진-마량-고금-당목 가는 버스인데 강진 보금모텔에 짐 두고 점심 먹고

11 : 55. 강진터미널에서 마량 가는 농어촌버스(₩1000x2)를 타고

     이 버스는 중간에 안 서고 마량까지 직행. 고금 당목행.

12 : 23. 마량터미널 도착. 마량항쪽은 몇 번 들린 곳이라 바로 까막섬 앞 해안으로 

12 : 31. 마량까막섬 앞. 좌측에 놀토수산시장과 마량항. 고금도와 대조도, 소조도를 보고 우측으로 간다.

12 ; 36. 마량 보건지소-마량 파출소-마량 우체국-언덕을 올라간 마량 1구 회관.

12 : 42. 강진마도진 만호성지. 성돌들은 담장 밑돌도 되고 일부는 성이 남아있다.

12 ; 46. 마량 농공단지 입구. 2차로를 건너 마량초교 가는 길로 내려간다. 마량정류소와 마량농공단지 조형물.

12 : 52. 마량초교 정문. 학교가 꽤 크다.

13 : 02. 노루목입구 삼거리. 마량항과 대,소오도,
        고금도와 노루목을 보고 좌측으로 노루목을 한 바퀴 돌아 나온다.

13 ; 10. 노루목 끝의 서종 어촌 체험마을 해상펜션승선장. 고금도와 마량항을 돌아본다.

13 ; 18. 서중 어촌 체험마을. 노루목 입구다.

13 : 23. 거북바위. 뒤는 외호도.

13 : 34. 수인마을 앞. 내호도, 외호도 바라보고

13 :37. 물 빠진 바닷길 끝으로 벌거숭이가 된 내호도 바라보고-(주)바다해초

13 ; 40. 양식장 앞 물 빠진 갯벌엔 새떼들이.   양식장에서 먹거리가 나오는 듯.

13 ; 48. 수인교차로 앞.  좌측으로 내호도를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간다. 갯벌은 살아있다.

14 : 21. 내호도를 갔다 온다. 개발을 하려고 나무를 심었는데 말리 죽었다.

14 : 34. 바다 목장. 구수리카페를 지나 외호리 입구를 가기 전에 구수리 카페 주차장 쪽 고개로 올라간다.

14 ; 47. 언덕 넘어 남호마을. 남파랑길을 가는 남자 한 분을 만나 잠시 같이 남호마을을 지나간다.

14 ; 56. 방조제. 좌측 해안으론 길 없다. 우측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4 ; 57. 도암만 건너 망호마을에서 가우도 오는 출렁다리와 덕룡산과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15 ; 09. 구곡 포구. 대둔산과 두륜산, 위봉을 당겨본다.

15 ; 24. 더베이 카페. 온길 갈길을 짚어본다. 좀 전에 만났던 분이 오늘 묵어 간다는 수모텔이 뒤로 멀러 보인다.
           갯벌에 굴을 따는 사람들이 보이고 바다 건너편 해남의 두륜산-주작산 땅끝기맥을 바라본다.

15 ; 37/53. 백사 어촌 체험마을 안내소와 쉼터. 직전에 있는 해안데크의 용도는?

16 ; 02. 사당리. 비래도와 주작산 바라보고

16 : 11. 잠수교(세월교). 대구천이 도암만에 드는 곳으로 집중호우 시 넘칠 수도 있겠다.

16 : 17. 가우수산 민물장어 직판장 앞에서 여계산밑의 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이 있는 사당리를 바라본다

16 ; 22. 도상 청정물산. 우측으로 청자박물관. 강진바다 둘레길 이정표.
          지나고 보니  우측으로 가서 고려청자박물관과 한국민화 뮤지엄을 둘러보고 올걸 그랬다.

16 : 24. 포구. 물이 멀러까지 빠졌다. 모자 같은 비래도와 뒤로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16 : 26. 도상 "염걸장군 임진왜란 전적지"는 아무런 표식 없는 굴밭이다.

16 ; 37. 만덕산과 고바우 공원 전망대를 보며 23번 국도에 올라서 국도 따라 좌측으로. 강진 16km 표지판.

16 ; 45. 고바우 공원 전망대. 길 우측에 창자모형 돌탑 2기. 낡은 표지판만 있고 분홍나루 공사 중
         낡은 데크를 따라 내려가며 주작능선과 논정방조제. 가우도와 만덕산을 바라본다.

16 ; 59. 옛날 손짜장집과 삼바우골 정류소.

17 : 15. 국도 버리고 좌측 하저마을로

17 ; 17. 가우도와 양쪽의 출렁다리. 죽도와 강진읍. 만덕산-석문산-덕룡산이 좀 더 가까이 보인다.

17 ; 22. 하저 선착장. 큼직한 정자. 우측으로 꺾어가며 가우도와 석문산. 강진읍이 가깝게 보인다.

17 : 25/34. 하저 어촌 체험마을. 대둔산. 두륜산. 주작능선. 명호 출렁다리. 석문산을 하나씩 당겨본다.

17 : 52. 가우도 입구 남파랑 82 시점 안내판. 오늘은 여기까지 버스를 타러 간다.

18 : 02. 대구면 저두리 중저마를  210년(1982 지정) 팽나무 보호수.

18 ; 06. 상저마을 정류소. 시외버스도 선다. 버스를 기다린다.

18 : 22. 상저정류소에서 버스 타고 (₩1000x2)-18 : 40. 강진터미널 도착.
          모란 추어탕집에서 추어탕으로 저녁(9000x2) CU 들리고(3000) 예약한 보금모텔( 47000X3일)

 

 

 

06 : 10. 천안고속터미널에서 광주행 고속버스(₩21700x2)-광주터미널 08 : 50 도착.

09 ; 20. 광주터미널에서 강진. 당목행 시외버스(₩11200x2)-강진 10 ; 40 도착.
           강진-마량-고금-당목 가는 버스인데 강진 보금모텔에 짐 두고 점심 먹고

강진터미널.

 

11 : 55. 강진터미널에서 마량 가는 농어촌버스(₩1000x2) 탐.

          이 버스는 중간에 안 서고 마량까지 직행. 고금 당목행.

강진터미널에서 시내버스  시간표.

강진터미널에서 시내버스  시간표.

 

강진터미널에서 시외버스 시간표.

 

12 : 23. 마량터미널 도착. 마량항쪽은 몇 번 들린 곳이라 바로 까막섬 앞 해안으로

마량터미널.

 

12 : 31. 마량까막섬 앞. 좌측에 놀토수산시장과 마량항. 고금도와 대조도, 소조도를 보고 우측으로 간다.

좌측에 놀토수산시장과 마량항.

 

고금도(좌)와 대.소오도.

소오도(좌)-대오도(大烏島)-노루목(우).

 

 

 

12 ; 36. 마량 보건지소-마량 파출소-마량 우체국-언덕을 올라간 마량 1구 회관.

12 : 42. 강진마도진 만호성지. 성돌들은 담장 밑돌도 되고 일부는 성이 남아있다.

강진마도진 만호성지.

원마마을과 88.4m봉.

 

12 ; 46. 마량 농공단지 입구. 2차로를 건너 마량초교 가는 길로 내려간다. 마량정류소와 마량농공단지 조형물.

마량 농공단지 입구.

 

 

 

12 : 52. 마량초교 정문. 학교가 꽤 크다.

마량초교 정문.

 

마량초교 담장밑에 핀 들꽃들.

 

수선화.

 

 

개나리 .

 

백목련.

강진군. 고흥군등은 초.중. 고  학생은 버스 요금이 100원.

 

 

농공단지에서 오는 도로를 만나고

 

 

13 : 02. 노루목입구 삼거리. 마량항과 대소조도, 고금도와 노루목을 보고 좌측으로 노루목을 한 바퀴 돌아 나온다.

노루목.

 

마량항과  대,소오도,

 

여서 좌측으로 돌아 우측 건너편으로 나온다.

마량항과 고금대교.

맨 좌측이 마량초교- 마량농공단지-강진마도진 만호성지. 

13 ; 10. 노루목 끝의 서종 어촌 체험마을 해상펜션승선장. 고금도와 마량항을 돌아본다.

노루목 끝의 서종 어촌 체험마을 해상펜션승선장에서고금도.

 

대.소오도와 마량항.

 

외호도(좌). 내호도와(우끝).

 

 

갈 해안.

 

해상펜션과 뒤로 완도의 상황봉(좌)-백운봉(우).

 

해남의 대둔산(좌)두륜산-위봉(우).

 

 

 

13 ; 18. 서중 어촌 체험마을. 노루목 입구다.

 

 

 

뒤 돌아 본 노루목.

 

 

뒤돌아본 완도와 완도의 사후도우측의 좌측섬.. 고마도(맨 우측) 맨좌측 작은섬은 고금도 용초앞의 만대소도(民大梳빗소島).

 

13 : 23. 거북바위. 뒤는 외호도.

 

 

13 : 34. 수인마을 앞. 내호도, 외호도 바라보고

 

13 :37. 물 빠진 바닷길 끝으로 벌거숭이가 된 내호도 바라보고-(주)바다해초

외호도(좌)-내호도(우측 붉은섬)

내호도(우). 멀리서 보면  도로 절개지인줄 알았다.

 

내호도(좌)와 수인교차로(우).

 

13 ; 40. 양식장 앞 물 빠진 갯벌엔 새떼들이.   양식장에서 먹거리가 나오는 듯.

(주)바다해초.

 

 

물 빠진 갯벌의 새떼들

외호도. 내호도.

 

 

13 ; 48. 수인교차로 앞.  좌측으로 내호도를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간다. 갯벌은 살아있다.

수인교차로 앞.

 

좌측으로 내호도를 보며 2차선 도로를 따라간다. 

갯고랑과 고금도.

 

내.외호도.

 

 

14 : 21. 내호도를 갔다 온다. 개발을 하려고 나무를 심었는데 말리 죽었다.

 

내호도.

 

내호도에서 뒤 돌아 보고

 

 

14 : 34. 바다 목장. 구수리카페를 지나 외호리 입구를 가기 전에 구수리 카페 주차장 쪽 고개로 올라간다.

우측으로 앞고개를 넘어간다. 고갯 마루에 남호마을.

 

두 돌아 본 외호도.

14 ; 47. 언덕 넘어 남호마을. 남파랑길을 가는 남자 한 분을 만나 잠시 같이 남호마을을 지나간다.

 

남호마을.

 

남호마을.

 

남호마을.

 

유채꽃.

 

14 ; 56. 방조제. 좌측 해안으론 길 없다. 우측으로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구곡마을.

 

 

14 ; 57. 도암만 건너 망호마을에서 가우도 오는 출렁다리와 덕룡산과 주작능선을 당겨본다.

좌측 멀리 비래도.

앞 사진 중앙 우측을 당겨본 덕룡산과 망호마을에서 가우도 들어가는 출렁다리(우)

 

앞사진 중앙 좌측으로 당겨본 덕룡산과 비래도(우)와 3일후에 지나갈 도암(논정)방조제(좌중).

 

 

15 ; 09. 구곡 포구. 대둔산과 두륜산, 위봉을 당겨본다.

구곡 포구.

당겨본  대둔산(좌측 뒷산)과 두륜산(우).

 

대둔산(좌)-두륜산-위봉(우).

 

저앞이 더베이 카페.

 

 

 

15 ; 24. 더베이 카페. 온길 갈길을 짚어본다. 좀 전에 만났던 분이 오늘 묵어 간다는 수모텔이 뒤로 멀러 보인다.
           갯벌에 굴을 따는 사람들이 보이고 바다 건너편 해남의 두륜산-주작산 땅끝기맥을 바라본다.

 

더베이 카페앞.선착장 끝 좌측은 완도.

 

뒤돌아 본 지나온해안과 수모텔(우)

 

당겨본 수모텔.

 

갯벌에서 굴을 따는 사람들.

 

백사마을이 보이고

 

 

이데크의 용도는? 우측에 바다로 나가는 시멘트길이  있는데 낚시하나?

백사마을.

 

15 ; 37/53. 백사 어촌 체험마을 안내소와 쉼터. 직전에 있는 해안데크의 용도는?

여기서 우측으로 나가면 대구면사무소

 

백사 어촌체험마을  안내소.

뒤돌아 보고

완도(좌)와  두륜산(우)

 

덕룡산(좌)

 

 

2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