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길 61. 남파랑 80( 장흥회진-덕촌방조제-마량항) 2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3일 차.

 

남해안길 61. 남파랑 80(  장흥회진-덕촌방조제-마량항) 2

                                

◈ 일시 : 2023.  03. 10(금). 남해 해안. 섬 26차(남해안 15차)  8박 9일 중 여덟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2.6 km. 9시간 39분(핸드폰수리 1시간 포함).


◈ 동행 : 아내는 무릎 보호차 쉬고 혼자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남해안61(회진 ㅡ마량)2023-03-10 0655.gpx
0.12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56. 회진 휘게텔 모텔에서 미숫가루와 과일로 요기를 하고 휘게텔모텔을 나와

07 ; 04. 장흥  회진 터미널 맞은편. 남파랑길 80코스 시작점 안내판.마량까지 20km에 6_7시간

            이청준. 한승원의소설길 안내판. 동구마을. 회령포(회령진성)안내판.조선수군재건로.계단따라 올라간다.

07 : 06. 회령진성 역사공원 상징 조형물.천관산.소산봉조망. 

07 : 13. 회령진성. 정자. 한치재 위로 해가 뜬다.회령진성 안내판. 성을 지나 마을길로 내려간다.

07 ; 20. 회진면사무소.

07 ; 40. 좌측 골목으로 나가 해안길을 따라가며 노력도를 바라본다.

07 : 53. 회진대교와 노력도. 회진면 소재지를 바라본다.

07 : 56. 물안개낀 탱자섬. 회진대교를 바라보고

08 ; 05. 천년학 세트장. 방조제를 건너간다.

08 ; 17. 방조제 건너서 남파랑길 80코스는 우측 산으로 가서. 진목마을로 가고 나는 도로 따라 산을 돌아간다.
                 선학동 표지석과 선학동 마을 안내판.천년학 리조트.

08 ; 26. 탱자섬앞 선자마을.

08 : 29. 선자마을 안내판과 선자 정류소.

08 ; 39. 고개를 넘어가며 小大口島. 大大口島와 뒤로 조약도의 삼문산과 당목항뒷산인 공고지산이 보인다.

08 : 51.삭금마을 표지석과 대한불교 선각종 여래사 입구.

08 : 55. 별빛  밤바다 캠핑장 입구. 출발한 지 두 시간인데 핸드폰 바테리가 벌써 많이 소진돼서 
            핸드폰 밝 조정을 한다고 설정을 만진것이 밝기가 0으로 갔는지 아무것도 보이지를 않고 캄캄하다.
          아무리 만져봐도 뭐가 보여야지!!!. 화면이 떠야 전화도 걸고 트랙도 보고 사진도 찍을 수 있는데...
            부대가 있는 고개를 넘어 내려가 이진목마을에 가서 주민에게 택시를 불러 달라고 하니
           마침 아는 사람이 회진에서 택시 영업을 해서 전화하니 10분 후에 도착한단다.
           택시를 타고 대덕읍으로 가니 장날인데도 핸드폰 가게 두 곳이 다 문을 닫았다. 
          택시 기사분이 고향 후배라며 전화를 하니 얼마 후 와서 간단히 손보고 다시 그 택시를 타고 되돌아온다

10 ; 35. 다시 돌아온 덕촌 방조제. 1시간 20여분 소요됐다. 삭금마을 표지석.
           방조제 둑엔  자갈을 깔아놔서 방조제 아래 도로 따라 방조제를 건너간다.

11 : 07. 방조제 중간에서 우측 진목에서 온 남파랑길을 만나 같이 간다.

11 ; 20. 선착장. 덕촌 배수갑문. 우측 안쪽에  대덕읍의 아파트가 보인다.

11 : 26. 방조제 끝. 2차로를 따라  33.1m 밑을 지나간다..

11 ; 31. 2차로와 작별하고 좌측 마을로 간다.

11 : 34. 122.9m와 33.7m  사이. 대림영농조합법인 농기계창고 앞을 지난다.

11 : 39/59. 도로가 그늘나무밑에서 멀리 흐릿한 조약도를 보며 점심.

12 : 04. 삼거리. 바다 건너편엔 사자지맥 옹암마을이 보인다.  남파랑길 트랙은 직진해 23번 국도로 나갔는데
            지금은  스티커와  띠지가 좌측 아래로 내려가 시멘트 해안도로를 따라가고 있다.

12 : 14. 신리 방조제. 방조제 위는 잡목이 무성해 둑 아래로 내려가

12 : 16. 좌측으로 곧게 뻗은 농로를 따라 사자지맥 공성산(孔聖山. 367.2m)을 우측으로 보며 들판을 건너간다..

12 : 33. 들판 건너편 이신마을 앞 삼거리. 남파랑길은 우측으로 작은 봉을 돌아가는데 좌측으로 갔더니

12 : 38. 방조제 둑길 끝. 둑길은 잡초가 무성하고 앞쪽은 물길로 막혔다 우측으로 나가 축사앞을 지난다.

12 ; 43. 이신마을 앞 2차로. 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봉을 돌아 이신마을로 오는 게 낫겠다. 도로 따라간다.

12 : 48. 이신 삼거리. 좌측은 옹암리. 우측은 내저마을. 이신마을 2반 표지석. 좌측 개매기 체험장 2.5km.
          이신 정류소.  직진해 간다.

12 : 58. 야트막한 사자지맥 내저 고개. 뒤로 이신마을과 사자지맥 공성산이 보이고-넘어서면 내저마을 표지석

13 : 04. 내저 정류소. 벽돌로 지었다. 다음 정류소는 선착장.

13 ; 06/38. 내저리(內楮 닥나무저 里) 회관 앞 정자 휴식. 동백꽃이 활짝 피었다.

13 : 40. 넓은 쉼터 앞 내저 정류소.

13 : 48. 내저 정류소를 지나 삼거리. 직진은 내저 선착장. 우측 마량. 오성금길로 올라간다.

13 : 54. 깔딱 고개를 넘어간다.

14 : 03. 오성금 바닷가 펜션과 넓도. 고금도를 바라본다.

14 ; 08. 고개를 넘어간다.

14 : 10. 오성금의 양식장들과 갈 해안과 고금도, 고금대교를 바라본다
           매생이 양식용 대나무 발들을 손질해 길가에 세워놨다.

14 ; 24. 오성금 선착장 뒤로 내일 갈 고금도의 가교리 내동 쪽을 바라본다.

14 : 28. 고개. 장흥군 쉼터. 고금대교가 건너다 보인다.

14 : 47. 신리 방조제. 시멘트 제방 위로 건너가 좌측으로 간다. 긴 장대를 실은 바지선? 들이 많다.

14 : 51. 신리 방조제 건너편. 마량항 3.7km.  장흥군이 끝나고 강진군으로 들어가 좌측으로 1차로를 간다.

14 : 59. 신리 방조제. 오성금. 오성산. 넓도와 고금도. 고금대교, 조약도의 삼문산을 바라본다.

15 ; 07. 대형 크레인이 있는 선착장. 고금대교와 신마방조제를 바라본다.

15 : 16. 신마 방조제. 마량교를 건너 넓은 도로를 따라간다.

15 ; 25. 방조제 건너편. 좌측에 신마항(강진항)과 고금대교. 우측으로 꺾어간다.

15 : 30. 신마회관.

15 : 45. 신마육교를 건너  좌측 마량항 가는 길로. 고금대교를 보며 간다.

16 ; 00. 인마지교 (人馬地交) 조형물. 마량항과 마량놀토수산시장을 바라본다.

16 ; 07. 마량항. 남파랑 81 시점. 강진바다둘레길.

16 ; 09. 마량 놀토 수산시장.

16 : 15. 마량 테마모텔(40000)에 숙소를 정하고 수산시장에 가서 회를 먹으려고 갔다가
            울릉도에서 식중독 후유증이 아직도 남아있고 엊그제 꼬막 먹고 탈난일과 몸살로 고생도 해서
           포기하고 이 동네에서는 이름 있는 정가네 식당에 가서 육회 비빔밥으로 저녁(13000)
            

 

1부에 이어.

 

사자지맥 공성산(孔聖山. 367.2m)

 

 

12 : 33. 들판 건너편 이신마을 앞 삼거리. 남파랑길은 우측으로 작은 봉을 돌아가는데 좌측으로 갔더니

이신마을.

 

 

12 : 38. 방조제 둑길 끝. 둑길은 잡초가 무성하고 앞쪽은 물길로 막혔다 우측으로 나가 축사앞을 지난다.

 

축사앞을 지난다.

 

 

12 ; 43. 이신마을 앞 2차로. 앞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봉을 돌아 이신마을로 오는 게 낫겠다. 도로 따라간다.

온길을 뒤돌아 보고

도로따라간다.

 

12 : 48. 이신 삼거리. 좌측은 옹암리. 우측은 내저마을. 이신마을 2반 표지석. 좌측 개매기 체험장 2.5km.
          이신 정류소.  직진해 간다.

 

 

 

뒤돌아 보고

 

12 : 58. 야트막한 사자지맥 내저 고개. 뒤로 이신마을과 사자지맥 공성산이 보이고-넘어서면 내저마을 표지석

내저고개에서 뒤 돌아 본 공성산.

 

넘어서면 내저마을 표지석.

 

 

13 : 04. 내저 정류소. 벽돌로 지었다. 다음 정류소는 선착장.

 

 

13 ; 06/38. 내저리(內楮 닥나무저 里) 회관 앞 정자 휴식. 동백꽃이 활짝 피었다.

 

 

13 : 40. 넓은 쉼터 앞 내저 정류소.

 

 

13 : 48. 내저 정류소를 지나 삼거리. 직진은 내저 선착장. 우측 마량. 오성금길로 올라간다.

 

 

 

13 : 54. 깔딱 고개를 넘어간다.

 

넓도와 고금도.

14 : 03. 오성금 바닷가 펜션과 넓도. 고금도를 바라본다.

오성금 바닷가 펜션

 

 

14 ; 08. 고개를 넘어간다.

 

 

14 : 10. 오성금의 양식장들과 갈 해안과 고금도, 고금대교를 바라본다
           매생이 양식용 대나무 발들을 손질해 길가에 세워놨다.

고금대교.

 

 

 

14 ; 24. 오성금 선착장 뒤로 내일 갈 고금도의 가교리 내동 쪽을 바라본다.

 

 

14 : 28. 고개. 장흥군 쉼터. 고금대교가 건너다 보인다.

 

 

14 : 47. 신리 방조제. 시멘트 제방 위로 건너가 좌측으로 간다. 긴 장대를 실은 바지선? 들이 많다.

 

돌아갈 해안과 고금대교.

고금도.

신리 방조제

신리 방조제 안쪽.

 

14 : 51. 신리 방조제 건너편. 마량항 3.7km.  장흥군이 끝나고 강진군으로 들어가 좌측으로 1차로를 간다.

 

장흥군이 끝나고 강진군으로 들어가 좌측으로 1차로를 간다.

 

 

14 : 59. 신리 방조제. 오성금. 오성산. 넓도와 고금도. 고금대교, 조약도의 삼문산을 바라본다.

뒤돌아 본 신리방조제.

 

뒤돌아 본 오성금과 오성산.

 조약도의 삼문산을 바라본다.

 

고금도.

 

고금대교.

 

 

15 ; 07. 대형 크레인이 있는 선착장. 고금대교와 신마방조제를 바라본다.

 

신마 방조제.

 

 

15 : 16. 신마 방조제. 마량교를 건너 넓은 도로를 따라간다.

멀리 고금대교.

 

뒤돌아 보고

15 ; 25. 방조제 건너편. 좌측에 신마항(강진항)과 고금대교. 우측으로 꺾어간다.

 

 

 

15 : 30. 신마회관.

 

 

15 : 45. 신마육교를 건너  좌측 마량항 가는 길로. 고금대교를 보며 간다.

사진 우측 마량항 가는 길로. 고금대교를 보며 간다.

 

 

 

 

 

16 ; 00. 인마지교 (人馬地交) 조형물. 마량항과 마량놀토수산시장을 바라본다.

 

 

 

 

 

 

마량항과 건너편에 놀토수산시장.

 

 

16 ; 07. 마량항. 남파랑 81 시점. 강진바다둘레길.

 

 

 

 

마량 공용 버스 터미널.

 

마량에서 고금. 당목가는 버스 시간표.

 

마량에서 강진 광주 시외버스 시간표.

 

 

16 ; 09. 마량 놀토 수산시장.

16 : 15. 마량 테마모텔(40000)에 숙소를 정하고 수산시장에 가서 회를 먹으려고 갔다가
            울릉도에서 식중독 후유증이 아직도 남아있고 엊그제 꼬막 먹고 탈난일과 몸살로 고생도 해서
           포기하고 이 동네에서는 이름 있는 정가네 식당에 가서 육회 비빔밥으로 저녁(1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