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해안길

남해안길 66. 남파랑 85.89(해남북일내동-북평남창-안평) 2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39일 차.

 

남해안길 66. 남파랑 85.89(해남북일내동-북평남창-안평) 2

                                

◈ 일시 : 2023.  03. 25(토). 남해 해안. 섬 27차(남해안 16차)  5박 6일 중 다섯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25 km. 9시간 11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다운로드
남해안66(북일내동 ㅡ북평남창 ㅡ안평)2023-03-25 071907__20230325_0719.gpx
0.13MB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6 : 40. 해남 터미널에서 운전.용일.나범행 시내버스 타고-1000x2. 내동은 안 들어간단다.

07 : 05. 좌일(북일면 소재지)에서 하차. 오면서 전화를 걸어 대기하고 있는 북일택시를 타고(061 533 0355)

07 : 18. 내동종점에 도착. 택시비 6000원. 사동마을로 내려간다.

07 : 22. 사동해변. 간조시간(오늘 06.48)이라 바닷물이 쑥~빠져 내동항 뒤로 북도가 건너다 보인다.
           장죽도를 보며 간다.

07 ; 37. 원동포구. 

07 : 39. 장죽도까지 바닷물이 빠져 굴따는 어민들이 보이고 수확한 굴을  수레로 실어 나르고 있다.

07 : 48. 장죽도. 장군섬. 토도와 뒤로 고마도가 일렬로 서있다.

07 ; 55. 장죽도로 들어가는 노두길이 물이 빠져 열려있다.

08 ; 05. 신월 방조제를 건너간다.

08 : 21. 신월 방조제 끝 수문 2개.

08 : 33/57. 토도옆  장구도 입구. 노두길이 열려있다.
             이곳에 사는 자칭 자연인이 극구 차 한잔하고 가란다. 뒤이어 오는 "좋은 사람들" 팀을 만나
             장구도와 토도를 보며 커피 한 잔 하며 담소를 나누고 쉬어간다. 아내는 앞서가서 지루 하게 기다리고.

09 : 04. 토도 들어가는 노두길.

09 : 14. 만수리 제방을 건너간다. 오산어촌갯벌 5.3km. 만수리마을과 뒤로 위봉-대둔산이 구름 속에 희미하다.

09 : 20. 바다와 잠시 작별하고 우측으로 꺾어 양화마을로

09 ; 31. 양화리 언덕. 파란 보리밭뒤로 구름이 조금 걷히며 위봉과 대둔산이 보고 바닷가로 내려간다.

09 : 35. 새우양식장 너머로 완도대교가 흐릿하게 보이고

09 : 41. 방조제를 건너간다. 남파랑길과 삼남길은 우측에 있는 도로를 따라 삥 돌아간다.

09 : 48. 수문. 계속 방조제를 따라가고

09 ; 51. 방조제 제방 끝. 돌아온 도로 따라온 남파랑길. 삼남길을 만나 도로 따라간다.

09 : 53/ 폐선 촬영지 안내판. 딸랑 부서진 조각배 하나 버려놓고

09 ; 55. 와룡리 선착장.

09 ; 58. 와룡리 짜우락 샘. 와룡의 두 눈 부분에 있는 샘 두 개로 바닷속에서 용천이 나온다.

10 ; 01. 와룡리 노둣길 안내판과 정자. 쉬고 우측 마을길로 나가 와룡교로 간다.

10 ; 18. 2차선 도로. 와룡교. 도로 따라가며 구름이 걷힌 달마산. 대둔산. 두륜산. 위봉을 바라본다.

10 ; 34. 2차로와 작별하고 율도와 완도의 숙승봉을 정면에 보며 시멘트길을  따라간다.

10 : 41. 오산마을 뒤 언덕을 넘어가며 완도의 산들과 달도를 보며 간다.

10 : 47. 오산 어촌 체험장. 넓은 데크 광장으로 살아있는 뻘밭과 완도의 산과  대둔산. 두륜산능선을 둘러본다.

10 ; 54. 삼남길 작별. 삼남길은 우측. 남파랑길은 좌측으로 간다.

10 ; 57. 금오마을 해변.  완도와 남도. 달도와 완도대교. 달마산과 남창마을을 보며 우측으로 간다.

11 : 10. 헤어진  2차로를 다시 만나 따라간다.-오산마을 표지석.

11 ; 21. 북평초교.

11 : 27/12 ; 06. 남창 터미널 못 미쳐에 있는 진미식육식당에서 육회 비빔밥으로 점심(12000X2).

12 ; 08. 남창 시외버스 터미널. 남파랑길 85. 86코스 시종점 팻말이 터미널 기둥이 걸려있다.
            여기서 좌측 해안으로 가서 해월루와 달량진성을 보고 나와야 하는데 무심코 우측으로 나갔다.

12 ; 19. 북평힐링파크. 완도에서 오는 남파랑길 89를 만나 인도 따라 우측으로 간다.

12 ; 27. 북평면사무소. 좌측으로 77국지도를 따라가며 남창교차로를 지난다.

12 ; 49. 헤어졌던 삼남길을 다시 만나 같이 가고 남파랑길은 여기서 우측으로 가서 미황사로 간다.

12 ; 56. 이진리 정류소. 우측엔 정자. ←120m 이진성지 표지판. 달마산. 달마고도 안내판. 좌측 이진성지로 간다.

13 ; 03. 이진성. 이진성지 안내판. 조선수군재건로. 마을길로 언덕을 넘어간다.

13 ; 12. 이진 마을회관을 지나 이진나루. 정자. 달도와 완도를 보며 우측으로 간다.

13 : 41. 앞 갈대밭쪽은 길이 없어 우측으로 농로 따라 

13 ; 49. 77국지도 2차로와  이진성에서 오는 삼남길을 만나 같이 간다.

14 ; 04. 2차로에서 내려와 서홍마을을 보며 제방길을 따라간다.

14 ; 17. 좌측 달도 쪽으로 가는 노두길은 반쯤 잠겼다. 완도대교를 당겨본다.

14 : 20/27. 계단이  부서진 정자.

14 : 30. 제방길에서 우측으로 가서 언덕을 올라가 우측 서홍마을로.

14 : 45/51. 서홍회관. 서홍정류소.

14 : 53. 삼거리에서 좌측 시멘트 농로로 내려간다.

15 : 02. 농로 끝  우측으로 갯가를 건너간다. 고동이 새까맣게 깔려있다.

15 ; 10. 서바우 선착장. 완도의 상황봉과 완도대교를 바라본다. 파래인지 감태인지 작업장.

15 : 21/28. 신흥마을 정자. 잠시 쉬고.

15 ; 35. 수문을 지나고

15 ; 41. 묵동마을과 달마능선을 바라보며 간다.

16 : 01. 안평항과 연초도. 동섬을 바라보고.

16 : 02. 철대문. 전봇대 따라 묵은 길이 이어지는 끝에 집이 보인다. 철망울타리 따라 올라간다.
            삼남길은 이곳  올라오기 전에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올라가서 2차선 도로에 붙었았다.

16 ; 07. 개인주택을 지나 내려온 2차선 도로 직전의 사유지 대문. 다행히 대문이 열려있다.
            좌측으로  2차선 도로를 따라 내려간다.

16 ; 19. 안평항과 뒤로 연초도가 보인다.

16 ; 31. 안평 정류소. 안평마을 표지석. 좌측으로 안평마을 가는 도로.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버스를 기다린다.
16 : 40. 지나온 서홍 쪽에서 버스가 들어와 안평으로 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버스를 탔다.
           이 버스는 여기서 멀지 않은 영전마을이 종점이고 5분쯤 쉬었다가 해남으로 간다.

17 : 45. 근 한 시간이 걸려 해남 터미널 도착. 하나로 마트에 들러 술빵 3. 우유 사고(₩15750)
            거목식당에 가서 백반(9000x2)으로 저녁 먹고 뷰티크호텔인에서 2박(55000)

 

 

 

1부에 이어.

 

 

 

12 ; 27. 북평면사무소. 좌측으로 77국지도를 따라가며 남창교차로를 지난다.

 

 

 

좌측으로 본 달도.

달도와 완도.

 

 

12 ; 49. 헤어졌던 삼남길을 다시 만나 같이 가고 남파랑길은 여기서 우측으로 가서 미황사로 간다.

달마산.

 

 

12 ; 56. 이진리 정류소. 우측엔 정자. ←120m 이진성지 표지판. 달마산. 달마고도 안내판. 좌측 이진성지로 간다.

정자앞에 달마산. 달마고도 안내판과 조선수군재건로 안내판.

 

 

 

이진정류소와 우측뒤로 이진성지.

 

 

13 ; 03. 이진성. 이진성지 안내판. 조선수군재건로. 마을길로 언덕을 넘어간다.

 

 

 

 

 

마을길로 언덕을 넘어간다.

 

 

 

13 ; 12. 이진 마을회관을 지나 이진나루. 정자. 달도와 완도를 보며 우측으로 간다.

뒤돌아 보고

완도의 백운봉-상황봉.

 

숙승봉-백운봉-상황봉. 아래는 군외면 신학리 대문리.

 

객이 주인이 됐다.

완도의 끝자락과 노화도 소안도.

 

 

13 : 41. 앞 갈대밭쪽은 길이 없어 우측으로 농로 따라 

서홍리 끝자락.

 

 

 

 

13 ; 49. 77국지도 2차로와  이진성에서 오는 삼남길을 만나 같이 간다.

 

 

14 ; 04. 2차로에서 내려와 서홍마을을 보며 제방길을 따라간다.

 

14 ; 17. 좌측 달도 쪽으로 가는 노두길은 반쯤 잠겼다. 완도대교를 당겨본다.

남창(좌)-달도(중)-완도대교(우).

 

완도대교(좌).원동-숙승봉-백운봉.

14 : 20/27. 계단이  부서진 정자.

 

 

달마능선.

 

 

14 : 30. 제방길에서 우측으로 가서 언덕을 올라가 우측 서홍마을로.

 

 

14 : 45/51. 서홍회관. 서홍정류소.

 

옛 초등학교 부지는 교회 수양관이 됐고

 

 

14 : 53. 삼거리에서 좌측 시멘트 농로로 내려간다.

 

 

 

15 : 02. 농로 끝  우측으로 갯가를 건너간다. 고동이 새까맣게 깔려있다.

 

완도대교.

 

고동이 새까맣게 깔려있다.

 

 

15 ; 10. 서바우 선착장. 완도의 상황봉과 완도대교를 바라본다. 파래인지 감태인지 작업장.

 

 

 

 

 

좌측 앞봉은 도상 솔밭끝. 두번째는 안평선착장.

 

15 : 21/28. 신흥마을 정자. 잠시 쉬고.

 

도상 64m봉.

 

 

15 ; 35. 수문을 지나고

 

 

 

15 ; 41. 묵동마을과 달마능선을 바라보며 간다.

 

 

16 : 01. 안평항과 연초도. 동섬을 바라보고.

 

 

16 : 02. 철대문. 전봇대 따라 묵은 길이 이어지는 끝에 집이 보인다. 철망울타리 따라 올라간다.
            삼남길은 이곳  올라오기 전에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올라가서 2차선 도로에 붙었았다.

 

 

16 ; 07. 개인주택을 지나 내려온 2차선 도로 직전의 사유지 대문. 다행히 대문이 열려있다.
            좌측으로  2차선 도로를 따라 내려간다.

 

 

 

16 ; 19. 안평항과 뒤로 연초도가 보인다.

 

 

16 ; 31. 안평 정류소. 안평마을 표지석. 좌측으로 안평마을 가는 도로.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버스를 기다린다.

 

지나온 길. 

 

안평정류소에서 본 안평마을.

 

 

 

16 : 40. 지나온 서홍 쪽에서 버스가 들어와 안평으로 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버스를 탔다.
           이 버스는 여기서 멀지 않은 영전마을이 종점이고 5분쯤 쉬었다가 해남으로 간다.

17 : 45. 근 한 시간이 걸려 해남 터미널 도착. 하나로 마트에 들러 술빵 3. 우유 사고(₩15750)
            거목식당에 가서 백반(9000x2)으로 저녁 먹고 뷰티크호텔인에서 2박(5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