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해남 땅끝탑까지 140일 차.
남해안길 67. (북평안평-통호-갈두-송지땅끝탑) 終1
◈ 일시 : 2023. 03. 26(일). 남해 해안. 섬 27차(남해안 16차) 5박 6일 중 여섯째 날.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8.37 km. 7시간 58분.
◈ 동행 : 아내.
◈ 지도.
◈ 트랙.
카카오 맵으로 트랙 보기.
◈ 일정 정리.
01: 30. 잠이 깨서 뒤척이다 어제 사온 술빵과 라면. 사과와 오렌지 계란으로 호텔방에서 아침을 먹고
터미널안에 있는 짐 보관함에서 짐을 두고 갈려다 돈만 2000원 날리고
06 ; 10. 해남 터미널에서 월송. 영전행 시내버스 타고-1000x2.
07 ; 14. 안평마을 입구의 안평 정류소에 도착하여 도로 따라 안평마을로 간다.
07 : 28. 안평마을.삼남길은 우측으로 가나 좀 더 나가 선착장을 돌아 나오기로 한다.
07 ; 32. 안평 선착장.바다 건너 완도와 연초도를 건너다보고 안평마을뒤로 돌아 나온다.
07 ; 40. 능선위. 안평마을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꺾어 올라가 길 없는 잡목을 뚫고 내려온다.
07 : 49. 마늘밭에 내려서 영전항앞의 도리섬과 멀리 감토도를 바라보고 우측으로 농로를 따라간다.
07 ; 56. 안평마을에서 넘어오는 삼남길을 만나며 삼남길은 우측으로. 우리는 좌측으 남전마을을 지난다.
07 : 59. 영전항. 좌측에 도리섬. 아르뫼농장 저온창고. 우측으로
08 ; 03. 남전리 회관. 방파제 앞. 우측으로 마을을 지나간다.
08 ; 07. 77번 국지도. 아침에 들려던 버스 종점으로 버스는 여기서 돌려 나간. 2차로를 따라간다.
08 : 24. 경치 좋은 길 시작 표지판.
08 ; 31. 고개. 삼거리. 벚꽃이 활짝 폈다. 좌측 선착장. 남성마 가는 길로 내려간다.
가드레일을 돌담으로 만드는 공사를 하고 있다.
08 ; 41.감토도와 연초도 ㅡ남성 선착장과 남성마을. 완도의 백운봉과 상황을 보며 내려간다.
08 : 47. 남성리. 좌측에 남성항. 우측으로 올라간다.
08 ; 53. 다시 만나는 77번 국지도. 땅끝 어부. 도로 따라간다.
08 ; 58/02. 정자. 닭섬과 소화도. 동화도 백일도. 흑일도를 보며 잠시 쉬어간다.
09 ; 06. 전망 좋은 곳 표지판. 정자와 벤치. 완도 29km. 군외 15km. 흑일도. 백일도 바라보고.
09 : 14. 땅끝 전망대와 통호리. 흑일도를 당겨본다.
09 ; 26. 땅끝 조각공원 앞 쉼터. 데크길이 이어지고 사구미 해수욕장을 바라본다.
09 ; 49. 사구미 해수욕장. 땅끝전망대와 흑일도 백일도를 보며 백사장을 지난다.
10 ; 02. 사구미항. 우측으로 나간다.
10 ; 08/23. 다시 2차선 77번 국지도로. 사구 정류소. 우측에서 오는 삼남길을 만나 도로 따라간다..
10 ; 37. 고개. 벚꽃이 활짝 피었다.
10 ; 44. 중대동 표지석을 지나 통호 정류소. 잠시 후 우측에 땅끝 해양 자연사 박물관이 보인다.
10 ; 58/14. 두 번째 통호 정류소. 좀 전에 삼남길은 우측으로 가서 땅끝 기맥을 넘어가서 송호리로 간다.
쉬어가며 좌측으로 통호리 선착장과 흑일도. 백일도를 본다.-통호마을 표지석.
11 ; 23. 땅끝쉼터 표지석과 정자. 소공원.
11 ; 33.넓골.선착장 뒤로 흑일도. 백일도 조망.
12 : 08. 고개. 군부대.-이어 군 헬기장
12 ; 16. 데크 쉼터. 땅끝 전망대와 모노레일 .정박해있는 여객선을 바라본다.
12 ; 32. 예쁜 옴시롱, 감시롱 땅끝 화장실.
12 ; 40. 해남 땅끝마을 전망대 사각 쉼터.땅끝 전망대와 갈두리 선착장이 내려다 보인다
12 ; 59. 삼거리. 희망의 땅 끝 표지석. 우측은 목포 해남. 좌측은 땅끝 관광지.
해남 자연사 박물관을 좌측 아래로 보며 좌측으로 간다.
13 : 12. 땅끝 일출 펜션 앞. 우측길은 땅끝 전망대 가는 도로. 좌측은 선착장. 모노레일 가는 길.
13 ; 19/38. 모노레일 탑승장. 표를 끊고 기다린다. 왕복 6000. 편도 4500.10분이 채 안 걸린다.
13 ; 54. 땅끝전망대 9층. 백일도. 흑일도. 노화도등 주변 섬들을 둘러보고 내려와 땅끝탑으로
14 : 19. 땅끝마을 갈림길. 좌측은 갈두리 선착장. 땅끝마을 500m. 전망대 400m. 땅끝탑 130m.
14 ; 28/23. 땅끝탑. 길고 긴 계단을 내려왔다. 남해와 서해의 경계점이다.
5번째 오는 땅끝탑이다. 9 정맥을 마치고 남도 답사를 하며 가족과 한번.
땅끝기맥 졸업하며 한 번. 삼남길을 끝내며 한 번. 서해안길 시작하며 한 번. 남해안길 끝내며 한 번.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시작해서 남해안과 남해의 섬 36개를 돌아오는데 140일이 걸렸다.
14 ; 33. 다시 올라온 땅끝마을 갈림길. 계단길은 끝내고 편한 사면길이 시작된다.
14 ; 40. 우측 해안에 스카이워크 공사 중.
14 ; 46. 모노레일 탑승장.
14 ; 51. 맹섬 앞. 두 섬 사이로 뜨는 일출이 명품인데 그런 일출은 2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볼 수 있단다.
14 ; 57. 땅끝 항.여객선 터미널. 땅끝-노화도 산양진항을 하루 12번.
횡간도와 흑일도는 1번 넙도는 3번 배가 다닌다.
15 : 00. 시내. 시외버스 정류소. 바로 옆은 남파랑. 서해랑길 안내소. 그 옆은 땅끝 희망공원.
15 : 05. 땅끝 해양 자연사 박물관. 입장료는 일반 5000. 경로 할인 없다.
15 : 12. 버스 정류소.
15 ; 16. 땅끝에서 시내버스 타고 1000x2. 이 버스는 송지. 산정면 쪽으로 돌아온다.
16 ; 20. 해남 터미널 도착.
17 ; 02. 해남 교육청 앞 도깨비 식당에서 소고기 덮밥(23800)으로 이른 저녁을 먹고
18 : 15. 해남출발(16100x2)-광주센트럴 19 : 35. 도착. 일주일 전 예약.
20 : 40. 광주 센트럴-21700x2- 천안도착 23 ; 10.
01: 30. 잠이 깨서 뒤척이다 어제 사온 술빵과 라면. 사과와 오렌지 계란으로 호텔방에서 아침을 먹고
터미널안에 있는 짐 보관함에서 짐을 두고 갈려다 돈만 2000원 날리고
06 ; 10. 해남 터미널에서 월송. 영전행 시내버스 타고-1000x2.
07 ; 14. 안평마을 입구의 안평 정류소에 도착하여 도로 따라 안평마을로 간다.
07 : 28. 안평마을.삼남길은 우측으로 가나 좀 더 나가 선착장을 돌아 나오기로 한다.
안평마을에서 뒤 돌아 본 지나온 길.
07 ; 32. 안평 선착장.바다 건너 완도와 연초도를 건너다보고 안평마을뒤로 돌아 나온다.
완도와 연초도(우).
연초도와 동섬.
07 ; 40. 능선위. 안평마을을 뒤돌아 보고 우측으로 꺾어 올라가 길 없는 잡목을 뚫고 내려온다.
07 : 49. 마늘밭에 내려서 영전항앞의 도리섬과 멀리 감토도를 바라보고 우측으로 농로를 따라간다.
영전마을.
영전항앞의 도리섬.
07 ; 56. 안평마을에서 넘어오는 삼남길을 만나며 삼남길은 우측으로. 우리는 좌측으로 남전마을을 지난다.
07 : 59. 영전항. 좌측에 도리섬. 아르뫼농장 저온창고. 우측으로
우측 끝에 남전리 회관
좌측 도리섬.
08 ; 03. 남전리 회관. 방파제 앞. 우측으로 마을을 지나간다.
08 ; 07. 77번 국지도. 아침에 들려던 버스 종점으로 버스는 여기서 돌려 나간. 2차로를 따라간다.
08 : 24. 경치 좋은 길 시작 표지판.
08 ; 31. 고개. 삼거리. 벚꽃이 활짝 폈다. 좌측 선착장. 남성마 가는 길로 내려간다.
가드레일을 돌담으로 만드는 공사를 하고 있다.
08 ; 41.감토도와 연초도 ㅡ남성 선착장과 남성마을. 완도의 백운봉과 상황을 보며 내려간다.
남성 선착장과 남성마을.
연초도와 동섬.
감토도와 완도.
08 : 47. 남성리. 좌측에 남성항. 우측으로 올라간다.
08 ; 53. 다시 만나는 77번 국지도. 땅끝 어부. 도로 따라간다.
땅끝 어부집.
08 ; 58/02. 정자. 닭섬과 소화도. 동화도 백일도. 흑일도를 보며 잠시 쉬어간다.
닭섬(좌)-소화도-동화도(우).동화도 뒤는 횡간도.
당겨 본 동화도와 뒤의 횡간도 뒤로 노화도가 살짝 보인다. 우측 밑은 도상 11.6m.
09 ; 06. 전망 좋은 곳 표지판. 정자와 벤치. 완도 29km. 군외 15km. 흑일도. 백일도 바라보고.
당겨본 동화도-백일도-흑일도.
09 : 14. 땅끝 전망대와 통호리. 흑일도를 당겨본다.
땅끝 전망대(좌)
백일도-흑일도.
흑일도(좌)-땅끝전망대(우)
흑일도.
09 ; 26. 땅끝 조각공원 앞 쉼터. 데크길이 이어지고 사구미 해수욕장을 바라본다.
우측에 땅끝 조각공원.
서구미 해수욕장.가운데 멀리 땅끝 전망대.
백일도,흑일도.
09 ; 49. 사구미 해수욕장. 땅끝전망대와 흑일도 백일도를 보며 백사장을 지난다.
뒤돌아 본 소하도(좌)-동화도-백일도(우앞).
10 ; 02. 사구미항. 우측으로 나간다.
사구미항에서 땅끝 전망대.
사구미항에서 백일도, 흑일도.
10 ; 08/23. 다시 2차선 77번 국지도로. 사구 정류소. 우측에서 오는 삼남길을 만나 도로 따라간다..
사구 정류소와 뒤에 사구미 예본교회.삼남길은 윤도산 안부를 넘어 교회앞으로 나온다.
10 ; 37. 고개. 벚꽃이 활짝 피었다.
10 ; 44. 중대동 표지석을 지나 통호 정류소. 잠시 후 우측에 땅끝 해양 자연사 박물관이 보인다.
통호 정류소.
땅끝 해양 자연사 박물관.
10 ; 58/14. 두 번째 통호 정류소. 좀 전에 삼남길은 우측으로 가서 땅끝 기맥을 넘어가서 송호리로 간다.
쉬어가며 좌측으로 통호리 선착장과 흑일도. 백일도를 본다.-통호마을 표지석.
통호리 선착장과 뒤로 백일도. 흑일도.
백일도. 동화도 뒤로 완도.
11 ; 23. 땅끝쉼터 표지석과 정자. 소공원.
백일도-흑일도 뒤로 횡간도.
11 ; 33.넓골.선착장 뒤로 흑일도. 백일도 조망.
넓골 선착장.
뒤 돌아 보고
미역 인지 다시마 인지 채취중.
12 : 08. 고개. 군부대.-이어 군 헬기장
12 ; 16. 데크 쉼터. 땅끝 전망대와 모노레일 .정박해있는 여객선을 바라본다.
땅끝 전망대와 모노레일. 여객터미널.
12 ; 32. 예쁜 옴시롱, 감시롱 땅끝 화장실.
12 ; 40. 해남 땅끝마을 전망대 사각 쉼터.땅끝 전망대와 갈두리 선착장이 내려다 보인다
땅끝전망대 모양이 돌고래같다.
12 ; 59. 삼거리. 희망의 땅 끝 표지석. 우측은 목포 해남. 좌측은 땅끝 관광지.
해남 자연사 박물관을 좌측 아래로 보며 좌측으로 간다.
해남 자연사 박물관과 흑일도.
2부로.
'남해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안길 67. (북평안평-통호-갈두-송지땅끝탑) 終2 (1) | 2023.04.26 |
---|---|
남해안길 66. 남파랑 85.89(해남북일내동-북평남창-안평) 2 (0) | 2023.04.26 |
남해안길 66. 남파랑 85.89(해남북일내동-북평남창-안평) 1 (0) | 2023.04.26 |
남해안길 65. 남파랑 84(강진도암면-사내방조제-해남북일내동) (1) | 2023.04.26 |
남해안길 64. 남파랑 83(강진터미널-백련사-다산초당-석문구름다리-도암면) 2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