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청지맥 1구간(영산 태청산(593.3m)-24번국도-태산(206.5m)-생동마을).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도상거리 15km(지맥 10.5km + 진입 2km +우회 2.5km). 6시간 50분.
전남 영광군 大馬面 南山里 竹洞마을-太淸山(593.3m)-사선치-203.3m 삼각점봉-유천재 포장도로-198m봉-어랑고개(포장도로)-186m-150m-
삼봉산(163m)-24번국도(수양사거리)-숭모당-태산(太山.207m)-제당산(158.8m)-158m-장성군 삼서면 보생3리 생동마을(2차선포장도로)
◈ 일시 : 2013. 4. 7(일).
◈ 날씨 : 어제 비가 오더니 아침엔 쌀쌀하고 태청산엔 눈이 뿌렷고 바람이 불어 손이 꽁공얼다.
.
◈ 동행인 : 요맥회 12명. 강형태회장님.이한원님.최평칠님. 박성태님.정영옥님.강경복님.정환규님.최덕조님. 권순창님.정송자님.김정옥님.나.
◈ 지도.
태청지맥 1구간(영산 태청산(593.3m)-24번국도-태산(206.5m)-생동마을). 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태청지맥 1구간(영산 태청산(593.3m)-24번국도-태산(206.5m)-생동마을). 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태청지맥 1구간(영산 태청산(593.3m)-24번국도-태산(206.5m)-생동마을). 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일정정리.
07 : 35. 천안에서합류.
10 ; 08. 전남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죽동마을위에서 세멘길따라 오르고. →농로길.
10 ; 17. 옛 목장 초지인듯한 농지긑에서 산길로 들며 수렛길은 계속
10 : 26/7. 좌우로 가는 자갈임도 허릿길. 등산안내도.현위치 죽동길임도. 태청산 0.8km.
10 :32. 작은 계류를 건너며 된비얄 오름길 시작.태청산 0.6km 이정표.
10 : 42. 된비얄 올라선 한양조씨 묘. 뒤로 남산저수지와 대마면 조망. 다시 된비얄 오름길로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 정상표석과 삼각점. 밑엔 전망데크와 전망도.
갈 지맥과 상무대,영산지맥이 한눈에 조망됨..바위엔 광신도들이 여기저기 십자가 페인트칠. 잠깐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예를 올리고
11 ; 20/21.태청지맥분기점.프로펠러 헬기장.등산안내도. 이정표(봉정사 1.9km ). 직진 함.좌측은 영산기맥 길 .우측으로 상무대 조망.
11 : 24. 약 570m봉 공터봉.조망없고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며 좌측으로 우회할 군부대가 보임.
11 ; 28. 바위를 우측으로 내려가며 길은 흐릿해짐.
11 ; 39. 묘둔덕에서 내려온 570m봉을 뒤돌아 보고
11 ; 40. 묘둔덕을 넘어서면 바위가 나오며 길은 더 이상 없으며 살짝 좌틀 한다싶게 내려감.
11 ; 49. 안부. 영진지도의 사선치.군부대 철망울티리와 안엔 통신탑.좌측으로 철망울타리따라 우회시작함.
11 : 58. 가선대부 호조참의 진주김묘를 지남.우측 부대안 빨간건물들뒤로 203.3m봉이 어림되고.
12 ; 04, 좌측 사격장을 지나감.이쯤이 도상 사선마을 있던자리인가보다.
12 ; 12. 좌측 지능선위로 올라가고. 태해산(262m)과 신기제와 203.3m봉이 보인다.
12 ; 17. 빨간 3층 군 아파트를 지나면 세멘길을 만나서 세멘길따라 우측으로 내려가고,좌측은 봉정사 가는 길인듯
12 : 20. 철망울타리는 우측으로 가고 세멘길은 직진해 아래로 이어지고
12 : 22. 부대로 들어가는 2차선도로. 내려온길쪽에 봉정사 1.1km 이정표.우측 안쪽에 부대정문이 보이고
12 : 24.~40. 대기하고 있는차로 태해산(262m)밑 →신기저수지 →유천마을 과수원으로 이동
12 : 40. 사과 과수원에서 하차하여 사과 과수원을 가로질러 가고
12 ; 43. 과수원끝 건너편 능선에서 우측으로 오름
12 ; 48/05. 주능선 바로 아래의 경주최씨 기족묘에서 점심.四仙圍棋라 쓴 바둑판 상석이 이채롭다.
13 ; 08. 지맥주능선. 철망 울타리 따라 좌측으로 가봄.203.3m봉 서쪽 각오치로 가는 능선이 분기하는곳임.
13 ; 14.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지맥은 우측으로 꺽이는 곳에서 되돌아 옴.
13 ; 20. 다시 점심먹고 올라온 봉에 오고
13 ; 25. 내려간 안부에서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해 잡목을 오름.
13 ; 27. 203.3m. 잡목봉. 삼각점은 육군 말뚝옆 낙엽속에 있어 찾기힘듦.
13 : 39. 잡목숲을 내려온 밭.앞은 감나무밭 .앞에 198m봉과 좌측엔 신기제. 좀 내려가면 뒤로 삼각점봉이 보임.
13 : 42. 감나무밭 좌측끝에서 내려서면 좌승지 묘가 있고 세멘길 건너 앞에 과수원과 198m,210m봉이 보임. →과수원 → 밭
13 ; 46. 유천재.2차선도로.뒤로 태청산과 삼각점봉과 차량으로 들어선 과수원이 보임.우측에 유천마을.
14 ; 01. 198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14 ; 04. 전망이 트이는 둔덕에서 태청산과 유천재,210m봉,신기재를 보고 → 키작은 대밭→광산김씨 가족묘지 →어랑고개.
14 : 11/18. 어랑고개. 2차선도로,서쪽엔 광산 김씨세장비.동쪽엔 동래정씨 세장비와 장흥임씨 납골묘.삼봉산 2.1km.어랑마을 300m 이정표.
14 : 32. 솔숲으로 빨딱 올라선 210m봉. 좁은공지.직진해 넘어가고.뒤로 태해산(262m)과 신기저수지가 보임.길은 좋아짐.
14 ; 34. 앞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 넓직한 소나무숲길을 가며 186m과 150m은 얕은 둔덕이라 무심코 지나침.
14 : 45. 좌측으로 효사랑 요양원 건물이 보이면 좌측으로 지맥길을 살펴봐야한다. 150m봉을 내려선듯.
14 ; 47. 삼봉산 갈림길.바로 앞에서 내림길이 되는곳인데 좌측이 지맥이고 직진하는 좋은길은 삼봉산가는 길인데 족적도 표지기도 없다.
14 ; 53. 우측 묘지뒤로 태청산이 보이고
14 ; 55. 수렛길 삼거리.좌측은 무명봉,우측이 삼봉산길이다.
15 ; 01/2. 삼봉산(163m). 묘가 하나있고 방굿 돌 하나. 조망없고 삼각점봉은 좌측 150m떨어진 건너편에
15 ; 04. 2분거리의 152.1m 삼각점봉.삼각점은 마나님이 셋인 청주한씨묘뒤에 숨어있다.능선넘어 또다른 청주한씨묘뒤로 태청산이 보인다.
15 ; 13. 다시 돌아온 수렛길삼거리.좌측으로 가고
15 ; 19 . 다시 삼봉산 갈림길.동측으로 요양병원 파란지붕이 보이는 곳인데 족적도 없는 우측(동)으로 내려간다. →산죽밭
15 ; 30. 지독한 가시밭 → 요양병원 건물 우측 → 잔디밭 →24번국도 수양사거리.
15 ; 33. 24번국도 수양사거리.좌측은 삼계,장성.우측은 산서면,함평.청안사입구 표지석.호남권 리사이클링센터 200m표지판.쉼터.
15 : 35. 삼각형 도로사이 마루금은 사과밭이니 우측으로 도로따라 돌아가고 →우측은 산모틍이 식당.
15 : 38. 함동저수지.리사이클링센터가는 도로에서 우측 잔디밭 농장으로 오름
15 : 41. 잔디밭 끝나는곳엔 밀양박씨 가족묘. 지나온 지맥과 요양병원을 뒤돌아 보고 가시밭길로.여기서 태산밑 숭모당까진 고행길.
15 : 49. 공장 좌측 절개사면을 따라가는길은 가시밭으로 엉망이고 → 좌측에서 온 능선길을 만나고 역시나 →좀가면 나아짐.
16 : 07/1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대한광무황제숭모단亨碑.충의 숭모단복원비.운동기구들.충의공 나상호 선생의 독립운동현장을 기린듯
태매산 0.35km 이정표있고 좌측 아래로 길게 있는 함동저수지가 영산강같이 보인다.
16 : 20/22. 태산(太山.207m).삼각점은 안보이고 정점엔 움푹 들어간 묘봉.물은 어디로 빠지는지?좌측으로 내려간다.
이정표(우측 한실 0.7km 뒤쪽 숭모당 0.35km. 좌측 보생 2.3km)는 묘 우측에 있다.<주의>
16 : 24. 키 큰 산죽밭을 2분정도 내려가면
16 : 26. 산죽밭 삼거리에서 좌측으로.큰 넓적바위가 있다.→ 좀가선 제당산 오름길이 되고
16 : 33. 제당산(156.2m)삼거리.정점은 길에서 앞쪽 30여m에 있고 삼각점은 우측 건너편 둔덕에.
16 : 39. 제당산 찾아 왔다갔다. 잡목속 정점엔 돌하나 있고 선답자들 표지기만. 삼각점은 없고
16 : 43. 정점에서 서쪽(우)으로 좀 나가서 길 우측 20여m 둔덕에 묵은 삼각점(고창 304)이 있다.
지리원지도 1/25000는 여기에, 영진지도는 좀전 정점에 제당산과 삼각점이 표기돼 있다.
16 ; 49. 도상 158m봉은 좌측 어깨로 건너가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55. 좋은길 따라 쭈욱 내려가서 마지막봉도 좌측 어께로 건너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6 : 59. 생동마을. 2차선도로.길건너엔 창고건물.우측에 장성군 森西面 보생3리 생동마을.유인상산김씨紀蹟碑는돌담과 철장문속에
17 : 10. 생동고개 출발 → 삼서면 → 좀전에 지났던 24번국도 수양사거리를지나 장성 IC로
17 : 50/18 : 25. 배양사 휴게소에서 저녁.오늘저녁은 소암 강경복님이 내셨다. 감사합니다.
18 ; 25/20 ; 55. 공주근처부터 차가 밀려 좀늦게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영산 태청산(593.3m)-군부대-유천재. 2시간 53분.
07 : 35. 천안에서합류.
10 ; 08. 전남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죽동마을위에서 세멘길따라 오르고. →농로길.
10 ; 17. 옛 목장 초지인듯한 농지긑에서 산길로 들며 수렛길은 계속
10 : 26/7. 좌우로 가는 자갈임도 허릿길. 등산안내도.현위치 죽동길임도. 태청산 0.8km.
10 :32. 작은 계류를 건너며 된비얄 오름길 시작.태청산 0.6km 이정표.
10 : 42. 된비얄 올라선 한양조씨 묘. 뒤로 남산저수지와 대마면 조망. 다시 된비얄 오름길로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 정상표석과 삼각점. 밑엔 전망데크와 전망도.
갈 지맥과 상무대,영산지맥이 한눈에 조망됨..바위엔 광신도들이 여기저기 십자가 페인트칠. 잠깐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예를 올리고
11 ; 20/21.태청지맥분기점.프로펠러 헬기장.등산안내도. 이정표(봉정사 1.9km ). 직진 함.좌측은 영산기맥 길 .우측으로 상무대 조망.
11 : 24. 약 570m봉 공터봉.조망없고 우측으로 뚝 떨어져 내려가며 좌측으로 우회할 군부대가 보임.
11 ; 28. 바위를 우측으로 내려가며 길은 흐릿해짐.
11 ; 39. 묘둔덕에서 내려온 570m봉을 뒤돌아 보고
11 ; 40. 묘둔덕을 넘어서면 바위가 나오며 길은 더 이상 없으며 살짝 좌틀 한다싶게 내려감.
11 ; 49. 안부. 영진지도의 사선치.군부대 철망울티리와 안엔 통신탑.좌측으로 철망울타리따라 우회시작함.
11 : 58. 가선대부 호조참의 진주김묘를 지남.우측 부대안 빨간건물들뒤로 203.3m봉이 어림되고.
12 ; 04, 좌측 사격장을 지나감.이쯤이 도상 사선마을 있던자리인가보다.
12 ; 12. 좌측 지능선위로 올라가고. 태해산(262m)과 신기제와 203.3m봉이 보인다.
12 ; 17. 빨간 3층 군 아파트를 지나면 세멘길을 만나서 세멘길따라 우측으로 내려가고,좌측은 봉정사 가는 길인듯
12 : 20. 철망울타리는 우측으로 가고 세멘길은 직진해 아래로 이어지고
12 : 22. 부대로 들어가는 2차선도로. 내려온길쪽에 봉정사 1.1km 이정표.우측 안쪽에 부대정문이 보이고
12 : 24.~40. 대기하고 있는차로 태해산(262m)밑 →신기저수지 →유천마을 과수원으로 이동
12 : 40. 사과 과수원에서 하차하여 사과 과수원을 가로질러 가고
12 ; 43. 과수원끝 건너편 능선에서 우측으로 오름
12 ; 48/05. 주능선 바로 아래의 경주최씨 기족묘에서 점심.四仙圍棋라 쓴 바둑판 상석이 이채롭다.
13 ; 08. 지맥주능선. 철망 울타리 따라 좌측으로 가봄.203.3m봉 서쪽 각오치로 가는 능선이 분기하는곳임.
13 ; 14.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지맥은 우측으로 꺽이는 곳에서 되돌아 옴.
13 ; 20. 다시 점심먹고 올라온 봉에 오고
13 ; 25. 내려간 안부에서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해 잡목을 오름.
13 ; 27. 203.3m. 잡목봉. 삼각점은 육군 말뚝옆 낙엽속에 있어 찾기힘듦.
13 : 39. 잡목숲을 내려온 밭.앞은 감나무밭 .앞에 198m봉과 좌측엔 신기제. 좀 내려가면 뒤로 삼각점봉이 보임.
13 : 42. 감나무밭 좌측끝에서 내려서면 좌승지 묘가 있고 세멘길 건너 앞에 과수원과 198m,210m봉이 보임. →과수원 → 밭
13 ; 46. 유천재.2차선도로.뒤로 태청산과 삼각점봉과 차량으로 들어선 과수원이 보임.우측에 유천마을.
10 ; 08. 전남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 죽동마을위에서 세멘길 삼거리.
10 ; 17. 옛 목장 초지인듯한 농지긑에서 산길로 들며 뒤돌아 보고.
수렛길은 좌측봉인 태청산쪽으로 좌로 꺽고 다시 우로 꺽어가고
10 : 26/7. 좌우로 가는 자갈임도 허릿길. 등산안내도.현위치 죽동길임도. 태청산 0.8km.
임도는 차로 오를수있게 상태좋다.좌측봉인 태청산으로 직등해오른다.
10 : 26/7. 좌우로 가는 자갈임도 허릿길. 등산안내도.현위치 죽동길임도. 태청산 0.8km.
10 : 42. 된비얄 올라선 한양조씨 묘. 뒤로 남산저수지와 대마면 조망. 다시 된비얄 오름길로
10 : 42. 된비얄 올라선 한양조씨 묘에서 뒤 돌아 본 남산저수지와 대마면.
사진 좌측 소나무뒷쪽이 죽동마을.
남산저수지쪽은 상평마를 코스인듯.
다시한번 더 올려채야 태청산 정상이다.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본 남쪽 장암지맥의 분기봉인 장암산(483m).
바위엔 광신도들이 여기저기 십자가 페인트칠을 해 눈쌀을 찌푸리게한다.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 정상표석과 삼각점. 밑엔 전망데크와 전망도.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
잠깐 무사산행을 기원하는 예를 올리고.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좌측부터 소암님.최덕조님.정환규님.박성태님.권순창님.이한원님.정송자님.김정옥님.최평칠님.박종율.정영옥님.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유추해 본 태청지맥 마루금능선.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본 상무대.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본 올라온 진입경로.
11 : 00/18. 영산기맥의 태청산(太淸山. 593.3m)에서 본 북쪽 영산기맥 월랑산(458m.가운데 낮은봉)과 고성산(546.7m.가운데뒷산).
태청지맥분기점인 저 헬기장에서 태청지맥은 앞봉으로 가고 영산기맥은 좌측으로 간다.
헬기장에 있는 이정표(태청산 0.1km.봉정사 1.9km).
11 ; 20/21.태청지맥분기점인 헬기장에 있는 등산안내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11 ; 28. 570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이 바위를 우측으로 내려가며 길은 흐릿해짐.
11 ; 39. 묘둔덕에서 내려온 570m봉을 뒤돌아 보고
11 ; 49. 안부. 영진지도의 사선치.
군부대 철망울티리와 안엔 통신탑.좌측으로 철망울타리따라 우회시작한다.
11 : 58. 가선대부 호조참의 진주김묘를 지난다.우
측 부대안 빨간건물들뒤로 203.3m봉이 어림되고.
12 ; 04, 좌측 사격장을 지나감.이쯤이 도상 사선마을 있던 자리인가 보다.
12 ; 12. 좌측 지능선위로 올라가고. 태해산(262m.좌)과 신기제(우)와 210m봉(우뾰족봉)이 보인다.
좌측 태해산 아래 허연밭아래까지 돌아가야한다.
12 ; 12. 맨 우측봉이 203.3m봉.맨좌측 뾰족봉이 210m봉이고 가운데봉이 태산인듯.
차량을 이동이 안된다면 가운데 앞봉넘어 골짜기로 올라가야할듯.
12 ; 17. 빨간 3층 군 아파트를 지나면 세멘길을 만나서 세멘길따라 우측으로 내려가고,좌측은 봉정사 가는 길인듯
12 : 20. 철망울타리는 우측으로 가고 세멘길은 직진해 아래로 이어지고
차앞봉이 태해산(262m)이고 그앞에서 유천마을로 가는 도로가 있다.
12 : 22. 부대로 들어가는 2차선도로.
내려온길쪽에 봉정사 1.1km 이정표.우측 안쪽에 부대정문이 보이고
12 : 24.~40. 대기하고 있는차로 태해산(262m)밑 →신기저수지 →유천마을 과수원으로 이동하여
사과 과수원을 가로질러 능선에서 뒤 돌아 본 유천재(가운데안부)와 198m봉(우).
12 ; 48/05. 주능선 바로 아래의 경주최씨 기족묘에서 점심.
四仙圍棋라 쓴 바둑판 상석이 이채롭다.
13 ; 08. 지맥주능선.
철망 울타리 따라 좌측으로 가봄.203.3m봉 서쪽 각오치로 가는 능선이 분기하는곳임.
13 ; 14.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지맥은 우측으로 꺽어 사선치로 간다.
도상거리는 불과 500여m밖에 안될텐데 삥돌아 오느라 1시간이 더 걸렸다.
13 ; 25. 내려간 안부에서 철망울타리는 좌측으로 내려가고 지맥은 직진해 잡목을 오름.
13 ; 27. 203.3m. 잡목봉. 삼각점은 육군 말뚝옆 낙엽속에 있어 찾기힘듦.
13 : 39. 잡목숲을 내려온 밭.앞은 감나무밭 .앞에 198m봉과 좌측엔 신기제. 좀 내려가면 뒤로 삼각점봉이 보임.
13 : 42. 감나무밭 좌측끝에서 내려서면 좌승지 묘가 있고 세멘길 건너 앞에 과수원과 198m,210m봉이 보임. →과수원 → 밭
13 ; 46. 유천재.2차선도로.뒤로 태청산과 삼각점봉과 차량으로 들어선 과수원이 보임.우측에 유천마을.
※ 유천재-24번도로 수양사거리- 생동마을. 3시간 13분.
13 ; 46. 유천재.2차선도로.뒤로 태청산과 삼각점봉과 차량으로 들어선 과수원이 보임.우측에 유천마을.
14 ; 01. 198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14 ; 04. 전망이 트이는 둔덕에서 태청산과 유천재,210m봉,신기재를 보고 → 키작은 대밭→광산김씨 가족묘지 →어랑고개.
14 : 11/18. 어랑고개. 2차선도로,서쪽엔 광산 김씨세장비.동쪽엔 동래정씨 세장비와 장흥임씨 납골묘.삼봉산 2.1km.어랑마을 300m 이정표.
14 : 32. 솔숲으로 빨딱 올라선 210m봉. 좁은공지.직진해 넘어가고.뒤로 태해산(262m)과 신기저수지가 보임.길은 좋아짐.
14 ; 34. 앞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고 → 넓직한 소나무숲길을 가며 186m과 150m은 얕은 둔덕이라 무심코 지나침.
14 : 45. 좌측으로 효사랑 요양원 건물이 보이면 좌측으로 지맥길을 살펴봐야한다. 150m봉을 내려선듯.
14 ; 47. 삼봉산 갈림길.바로 앞에서 내림길이 되는곳인데 좌측이 지맥이고 직진하는 좋은길은 삼봉산가는 길인데 족적도 표지기도 없다.
14 ; 53. 우측 묘지뒤로 태청산이 보이고
14 ; 55. 수렛길 삼거리.좌측은 무명봉,우측이 삼봉산길이다.
15 ; 01/2. 삼봉산(163m). 묘가 하나있고 방굿 돌 하나. 조망없고 삼각점봉은 좌측 150m떨어진 건너편에
15 ; 04. 2분거리의 152.1m 삼각점봉.삼각점은 마나님이 셋인 청주한씨묘뒤에 숨어있다.능선넘어 또다른 청주한씨묘뒤로 태청산이 보인다.
15 ; 13. 다시 돌아온 수렛길삼거리.좌측으로 가고
15 ; 19 . 다시 삼봉산 갈림길.동측으로 요양병원 파란지붕이 보이는 곳인데 족적도 없는 우측(동)으로 내려간다. →산죽밭
15 ; 30. 지독한 가시밭 → 요양병원 건물 우측 → 잔디밭 →24번국도 수양사거리.
15 ; 33. 24번국도 수양사거리.좌측은 삼계,장성.우측은 산서면,함평.청안사입구 표지석.호남권 리사이클링센터 200m표지판.쉼터.
15 : 35. 삼각형 도로사이 마루금은 사과밭이니 우측으로 도로따라 돌아가고 →우측은 산모틍이 식당.
15 : 38. 함동저수지.리사이클링센터가는 도로에서 우측 잔디밭 농장으로 오름
15 : 41. 잔디밭 끝나는곳엔 밀양박씨 가족묘. 지나온 지맥과 요양병원을 뒤돌아 보고 가시밭길로.여기서 태산밑 숭모당까진 고행길.
15 : 49. 공장 좌측 절개사면을 따라가는길은 가시밭으로 엉망이고 → 좌측에서 온 능선길을 만나고 역시나 →좀가면 나아짐.
16 : 07/1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대한광무황제숭모단亨碑.충의 숭모단복원비.운동기구들.충의공 나상호 선생의 독립운동현장을 기린듯
태매산 0.35km 이정표있고 좌측 아래로 길게 있는 함동저수지가 영산강같이 보인다.
16 : 20/22. 태산(太山.207m).삼각점은 안보이고 정점엔 움푹 들어간 묘봉.물은 어디로 빠지는지?좌측으로 내려간다.
이정표(우측 한실 0.7km 뒤쪽 숭모당 0.35km. 좌측 보생 2.3km)는 묘 우측에 있다.<주의>
16 : 24. 키 큰 산죽밭을 2분정도 내려가면
16 : 26. 산죽밭 삼거리에서 좌측으로.큰 넓적바위가 있다.→ 좀가선 제당산 오름길이 되고
16 : 33. 제당산(156.2m)삼거리.정점은 길에서 앞쪽 30여m에 있고 삼각점은 우측 건너편 둔덕에.
16 : 39. 제당산 찾아 왔다갔다. 잡목속 정점엔 돌하나 있고 선답자들 표지기만. 삼각점은 없고
16 : 43. 정점에서 서쪽(우)으로 좀 나가서 길 우측 20여m 둔덕에 묵은 삼각점(고창 304)이 있다.
지리원지도 1/25000는 여기에, 영진지도는 좀전 정점에 제당산과 삼각점이 표기돼 있다.
16 ; 49. 도상 158m봉은 좌측 어깨로 건너가서 좌측으로 내려가고
16 : 55. 좋은길 따라 쭈욱 내려가서 마지막봉도 좌측 어께로 건너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16 : 59. 생동마을. 2차선도로.길건너엔 창고건물.우측에 장성군 森西面 보생3리 생동마을.유인상산김씨紀蹟碑는돌담과 철장문속에
17 : 10. 생동고개 출발 → 삼서면 → 좀전에 지났던 24번국도 수양사거리를지나 장성 IC로
17 : 50/18 : 25. 배양사 휴게소에서 저녁.오늘저녁은 소암 강경복님이 내셨다. 감사합니다.
18 ; 25/20 ; 55. 공주근처부터 차가 밀려 좀늦게 천안도착.
14 ; 01. 198m봉. 좌측으로 내려가고.
키작은 대밭에서 내려다 본 어랑고개와 210m봉.
좌측에 보이는 마을은 삼계면(森溪面)이고 공장굴뚝같이 보이는 두 개 건물은 금강아파트.
14 : 11/18. 어랑고개.
2차선도로,서쪽엔 광산 김씨세장비.동쪽엔 동래정씨 세장비와 장흥임씨 납골묘.삼봉산 2.1km.어랑마을 300m 이정표.
14 : 11/18. 어랑고개에서.
14 : 32. 솔숲으로 빨딱 올라선 210m봉 좁은공지에서 뒤 돌아 본 태해산(262m.우)과 신기저수지.
14 : 45. 좌측으로 효사랑 요양원 건물이 보이면 좌측으로 지맥길을 살펴봐야한다. 150m봉을 내려선듯.
15 ; 01/2. 삼봉산(163m). 묘가 하나있고 방굿 돌 하나. 조망없고 삼각점봉은 좌측 150m떨어진 건너편에
15 ; 04. 2분거리의 152.1m 삼각점봉.
삼각점은 마나님이 셋인 청주한씨묘뒤에 숨어있다.능선넘어 또다른 청주한씨묘뒤로 태청산이 보인다.
15 ; 19 . 다시 삼봉산 갈림길.
동측으로 요양병원 파란지붕이 보이는 곳인데 족적도 없는 우측(동)으로 내려간다. →산죽밭
효사랑 요양병원 뒷모습.
우측으로
효사랑 요양병원 우측에서 본 수양사거리와 뒤로 숭모단(좌측봉)과 태산(우측봉)
15 ; 33. 24번국도 수양사거리.
좌측은 삼계,장성.우측은 산서면,함평.청안사입구 표지석.호남권 리사이클링센터 200m표지판.쉼터.
15 ; 33. 24번국도 수양사거리.
좌측은 삼계,장성.우측은 산서면,함평.청안사입구 표지석.호남권 리사이클링센터 200m표지판.쉼터.
15 : 35. 삼각형 도로사이 마루금은 사과밭이니 우측으로 도로따라 돌아가고 →우측은 산모틍이 식당.
15 : 41. 잔디밭 끝나는곳엔 밀양박씨 가족묘에서 지나온 지맥과 요양병원을 뒤돌아 보고.
사과밭건너 하얀건물이 효사랑요양병원이고 병원뒤능선이 마루금,맨 우측봉이 210m봉.
15 : 49. 공장 좌측 절개사면을 따라가는길은 가시밭으로 엉망이고 숭모단까진 고행길이다.
얼마나 가시밭길이 험한지 최평칠 선배님은 스틱 한 마디가 없어질줄도 몰라 잃어버렸다.
16 : 0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 뒷모습
16 : 07/1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
안엔 숭모단(崇募壇)현판과 대한광무황제숭모단亨碑
16 : 07/1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
안엔 숭모단(崇募壇)현판과 대한광무황제숭모단亨碑.
16 : 07/16. 태산밑 숭모단(崇募壇)에서 본 태산과 저앞에 있는 태매산 0.35km 학산마을 이정표.
충의공 나상호 선생의 독립운동현장을 기린 비인듯.
여기서 부터 생동마을까진 길이 좋다.
16 : 20/22. 태산(太山.207m).
삼각점은 안보이고 정점엔 움푹 들어간 묘봉.물은 어디로 빠지는지?좌측으로 내려간다.
이정표(우측 한실 0.7km 뒤쪽 숭모당 0.35km. 좌측 보생 2.3km)는 묘 우측에 있다.<주의>
16 : 26. 산죽밭 삼거리에서 좌측으로.큰 넓적바위가 있다.→ 좀가선 제당산 오름길이 되고
16 : 33. 제당산(156.2m)삼거리.
정점은 길에서 앞쪽 30여m에 있고 삼각점은 우측 건너편 둔덕에 있어 제당산을 찾느라 왔다갔다.
정점엔 돌 하나 있고 선답자들의 표지기만 여럿있다.
16 : 43. 정점에서 서쪽(우)으로 좀 나가서 길 우측 20여m 둔덕에 묵은 삼각점(고창 304)이 있다.
지리원 1/25000 지도는 여기에, 영진지도는 좀전 정점에 제당산과 삼각점이 표기돼 있다.
16 : 59. 생동마을. 2차선도로.
길건너엔 창고건물이 있고.
16 : 59. 생동마을. 2차선도로.
우측에 장성군 森西面 보생3리 생동마을과 마을입구에 마을표석이 보인다
16 : 59. 생동마을. 2차선도로.
내려온 능선쪽엔 유인상산김씨紀蹟碑는 돌담과 철장문속에 갇혀있다.
'ㅊ, ㅌ 기맥,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청지맥(太淸枝脈)은 ? (0) | 2013.04.09 |
---|---|
태행지맥(太行枝脈)은 ? (0) | 2013.04.09 |
태행지맥 1구간(한남 서봉 분기점-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 (0) | 2013.04.06 |
천황지맥 5구간(비홍치-문덕봉(599.4m)-고리봉(708.9m)-합수점). (終)( 목 디스크 발병하다 ) (0) | 2012.08.09 |
천황지맥 4구간(수동고개-노적봉-풍악산(605m)- 응봉-비홍치). (0) | 201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