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ㅊ, ㅌ 기맥,지맥.

태행지맥 1구간(한남 서봉 분기점-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

 

태행지맥 1구간(한남 서봉 분기점-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

 

 

◈ 산행코소와 거리 및 소요시간 : 도상거리 약 15km. 6시간 07분.


화성시 봉당읍 왕림리 43번도로 왕림휴게소-장안대뒤 서봉분기점 (145m)-다시 왕림휴게소-삼봉산(225.2m)-산봉산(268.2m)-
백합고개-
태행산(236.7m) 오두지맥분기봉-실제 태행산(295m)-172m봉-39번도로-서해안고속도로-
145m봉-삼표 골재채취장-2차선도로-121m봉-염치고개(313번도로).

 

◈ 일시 : 2013. 4. 3(수).

 

◈ 날씨 : 봄날씨로 조금은 덥고  하늘은 뿌옇게 

 

동행인 : 나홀로.

 

◈ 지도

 

 

태행지맥 1구간(서봉 분기봉-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태행지맥 1구간(서봉 분기봉-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지도1.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태행지맥 1구간(서봉 분기봉-태행산(295m)-삼표채석장-염치고개).지도2.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표산업 골재 채취장부근 다음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삼표산업 골재 채취장부근 지리원지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일정정리.

 

07 : 18. 천안에서 전철로 병점으로.
08 : 14. 병점역 서쪽 버스정류장에서 34-1번 버스로 용주사-융건릉-수원대-와수리-장안대-
왕림휴게소로.

08 ; 54/5.
왕림휴게소 종점.  남쪽 굴다리로 39번도로를 건너감.

08 : 59. 서거정 재실인 염수재.재실뒤로 오르면  서거정묘인걸 우측길로 들어서 서봉지맥능선으로 오름.
09 ; 07. 서봉지맥 주능선에 올라  건달산과 왕림휴게소와 삼봉산을 보고 좌측 분기점으로
09 ; 10/4. 장안대뒤 태행지맥분기점. 약 145m.정점 북쪽  4~50m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며 태행지맥을 시작함.
09 ; 17. 안부. 좌측으로 태봉산과 발밑 터널로 빠져나가는는  KTX 고속열차를 보며 살짝 좌틀해감.
09 ; 18. 마루금은 직진해 39번도로를 건너가나 건널 수 없으니 좌측 아래로 우회함.길건너 좌측은 공장,우측은 주유소가 보임.
09 ; 22. 서거정(호는 사가정)묘.조선초 문인으로 45년간 세조등 6명의 왕을 모시며 한명회와 같이 부귀영화를 누림.
09 : 31. 다시 돌아온 왕림휴게소위 고갯마루.P& A(주)와 건축자재백화점사이 임도따라 오름.
09 ; 37. 고개마루.임도는 넘어가고 좌측은 건달산,우측 철망따라 오름
09 ; 47. 첫봉을 넘어 우측으로 상리하산길 삼거리. 220m봉과 삼봉산이 올려다 보이고
09 ; 55. 220m봉. 바로 아래서 좌측으로 건달산과 수원여자대학을 건너다보고  봉에서 우측 꺽어 내려가고
10 : 05/10. 도상 225.2m 현지 삼봉산(三峰山). 정점 넘어엔 정자와 삼봉산유래판.운동기구들.우측으로 상리하산길.
              건너편에 도상 삼봉산(영진지도의 산봉산)과 서봉지맥의 칠보산,태봉산이 조망.
10 ; 13. 로프 내림길 ㅓ 길에서 좌측 내리(지내산)으로 .직진은 상리 1.5km.
10 ; 17. 봉(삼봉산  세봉중 2봉인듯). 뚝 떨어져 내려감.저앞에 산봉산이 높게.
10 : 22. 안부위의 밀양박공묘에서 건달산조망.
10 ; 24. 안부.지도엔 넓은길이 있으나 소로다.우측은 내리 장안이,좌측은 상기리 호련이.긴 오름길시작.
10 ; 32. 오름길 중턱에서 지나온 삼봉산과 건달산을 뒤돌아 보고
10 : 36. 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 만나 우측으로 100m 간 도상 235m봉.우측으로 내려서며 저앞쪽에 산봉산과 태행산이 보이고.
10 : 42. 앞 둔덕봉에서 우측으로 반원을 그리며 돌아가며
우측 사격장에서 총소리가 계속 들려온다.

10 : 48.  삽자안부를 건너 프로펠러 헬기장.산봉산이 코앞에.
10 : 50. 안부. 좌측 사면길 있고 급경사 산봉산 오름길이
11 : 01. 영진 산봉산(268.2m). 지리원은 삼봉산(三奉山.271m).삼각점은 안보이고  삼봉산부터 온길과 건달산, 태행산이 조망.
11 : 09. 안부. 우측에 군부대 사격장 경고문.
11 ; 13. 덕고개 갈림봉.백학고개 300m,삼봉산 430m 이정표와 군경고판.. 여기서 삼봉산은
산봉산(268.2m)을 말하는듯.

11 ; 15. ㅏ 갈림길에서 우측으로내려감. 앞에 보이는  봉은  270m봉.태행산정상 1.65km,상기리 1.4km
11 : 18. 백학고개 안부. 우측 쌍학리,좌측 호연동.삼봉산 삼거리 300m.태행산 630m.
         좀전의 태행산은 295m 실제 태행산을 말하고 여기서 태행산은 삼각점있는 오두지맥분기봉을 말하는듯.
11 ; 30/51. 로프 계단 오른 도상 태행산(太行山.266.7m.). 헬기장 좌측 오두지맥쪽에 삼각점.우측 솔숲 정점에서 점심.
         산봉산,오두지맥. 실제 태행산인 295m봉 조망.이정표(자안리 2km.백학고개 630m.오두지맥쪽은 등산로 없음)
11 ; 58.  실제 태행산 앞봉 .여기서 부터는 산불지대.뒤로 지나온 태행산이 조망.
12 : 03/5. 실제의 태행산(太行山.295m). 전망대 데크.태행산 안내도.일반등산로는 좌측으로 가고 지맥은 우측으로 내려감<주의>
12 ; 07. 앞봉에 민간인 출입금지판.  직진해 봉을 넘어가면 좌측에 큰 군부대가 보이고
12 : 10. ㅓ 내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능선이 아님. <주의>마루금 우측 골짜기에 또다른 군부대가 보임.
12 ; 15. 벌목한 너덜길.우측 골짜기에 군 훈련장과 건너편 능선에 초소가 보이고 앞쪽에 지맥능선과 그 좌측으로  큰부대가 보임.
12 : 19. 수렛길 삼거리.철조망에 불발탄 경고문에 출입금지 경고판.여기서부터는 길이 시원찮음.
12 : 23. 잡목길로 살짝 올라선 깃대 밑받침있는 둔덕에서 태행산을 뒤 돌아봄.
12 ; 27. 좀더 올라간 160m봉. 녹슨 깃대있는 공터.저앞쪽에 172m봉과 또다른 172m봉이 보임.
12 : 32. 살짝 내려섰다 오른 폐 군초소봉. 이동동신탑.
12 ; 38. 2차선 포장도로.좌측에 바리케이트 있는 군부대 후문. 우측에도 군부대.우측으로 가면 도상 39번도로 양노리.
12 : 49. 172m봉. 정점 바로앞에서 좌측으로 감.
12 : 52. 잔돌봉을 넘고 - 노간주나무봉을 넘는다.
13 : 04/9.
그네가 있는 또다른 172m봉에서 태행산을 뒤돌아 보고.  길따라 우측으로 70 여m  내려가선  
13 ; 11. 타이어 계단길이 시작되면  계단길이 아닌 좌측 타이어 엮어 매단쪽으로 내려감.<주의>저앞에 철탑과 채석장이 보인다.
13 ; 21. 쭈욱 내려가서 앞 소나무 둔덕을 넘어가면 143번 철탑이 나오고
13 ; 23. 27번 철탑. 바로 아래는 39번도로 높은 절개지고 도로건너 봉을 하나 넘으면  다시 2차선 도로이고 이어 고속도로인데
           39번도로와 고속도로 사의의 마루금을 잇기는 어려워  우측으나 좌측으로 우회를 해야하는데 우측으로 가야 고생을 덜한다.
13 : 24. 27번철탑에서  우측으로 20여m 나가면  문화유씨묘가 있고 앞에 39번도로 굴다리가 보인다.
13 ; 29. 39번도로 절개지를 좌측으로 보고 묘지길 따라 내려가 39번도로를  굴다리로 건너고
13 ; 30. 39번도를 건너면 바로 2차선 포장도로다. 도로따라 좌측 고갯마루로 쓰레기 처리장인 늘푸른 산업을 우측에 끼고 오른다.
13 : 33. 고개마루전 성일산업과   비봉폐차장  사이에서 우측으로 들어가서
13 : 34. 서해안 고속도로를 건너는 굴다리를 지나면 바로앞에 폐쇄된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으로 들어가는 굴다리가 있고.
13 : 36.
굴다리옆 철망울타리 끝으로 들어서면 넓고 넓은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이다.
            둘러 보면 뺑뺑둘러 채석장 절개지로 좌측엔 지맥인 145m봉에서 121m봉을 이어지는 지맥인데  우측은  절개지다.
           채석장안 도로따라 도상 화신목장 우측봉을 기준삼아 가는데 좌로  꺽어가다 우로 꺽어가면
13 ; 43. 채석장 정중앙부의 폐자재무덤들에서 길은 좌측으로 꺽어가고 앞은 깊은 지하구덩이
13 ; 47. 마루금 145m  다음봉 마루금 우측 절개지다. 낙석주의 표지판들이 있고  우측은 천길절벽으로 현기증이 난다.
13 : 50. 지맥 마루금 안부.앞봉은 절개지라  도로따라 우측밑으로 건너가고
13 ; 55. 도상 화신목장 안부. 마루금에 복귀했다. 지금은 북양공단.뒤로 온길을 돌아보고 우측은 천길 웅덩이.조심스럽게 앞봉을 오르고
14 : 02. 잡목봉. 우측은 여전히 채석장.앞쪽엔 도로와  채석장입구와  121m봉과  원진엔지니어링이 보이고
14 : 06/7. 2차선도로.좌측에 무봉산과 공장들. 앞쪽은 다 파먹고 복구공사한  채석장.앞 절개지는 오르기 어려워 우측으로 돌아오르기로
14 : 10. 우측 채석장입구에서 좌측 복원한 채석장 절개지로 오름.
14 : 17. 복원한 채석장끝봉. 봉위엔 원진엔지니어링이. 좌측도  공장뒤 절개지. 원진엔지니어링안으로  내려서 정문으로 나옴.
14 : 20. 원진엔지니어링앞 도로.도로따라 내려가 엄마손식당.엔진텍을 지나 미경특수강에서 좌측으로 들어가
14 ; 24.  한국아이엠뒤가 맥인데 갈 수 없으니  우측 델코코 건물로 들어가 양해를 구하고 좌측 산길로 오른다.<휴 !! >
14 : 27. 마루금능선의 박종열묘. 좌측밑은 높은 절개지라 우측으로 길없는 가시밭을 헤치고 좌측으로가면
14 : 35. 공장지대끝. 뒤로 원진엔지니어링과  멀리 태행산이 보이고 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을 만나 우측으로 다시 잡목을
14 ; 41. 121m봉. 전주이씨 묘지들이 있고  앞쪽으론 다음구간의 산들이. 우측으로 내려서고
14 : 48. 염치고개.좌측에 석재공장과 이동통신탑이 .우측 아래엔  주유소.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감.
15 : 02/06. 편의점에서 우유하나 사먹고 북양1동(염치고개) 버스 정류장도착.1004번 바로 버스가 온다.
15 : 32. 수원역 북쪽정류장도착.
15 : 39. 천안행 급행을 타고
16 : 25. 천안도착.






◈ 산행후기.

 

※ 서봉 분기점-삼봉산-태행산(太行山.266.7m). 2시간 35분.

 

07 : 18. 천안에서 전철로 병점으로.
08 : 14. 병점역 서쪽 버스정류장에서 34-1번 버스로 용주사-융건릉-수원대-와수리-장안대-
왕림휴게소로.

08 ; 54/5.
왕림휴게소 종점.  남쪽 굴다리로 39번도로를 건너감.

08 : 59. 서거정 재실인 염수재.재실뒤로 오르면  서거정묘인걸 우측길로 들어서 서봉지맥능선으로 오름.
09 ; 07. 서봉지맥 주능선에 올라  건달산과 왕림휴게소와 삼봉산을 보고 좌측 분기점으로
09 ; 10/4. 장안대뒤 태행지맥분기점. 약 145m.정점 북쪽  4~50m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며 태행지맥을 시작함.
09 ; 17. 안부. 좌측으로 태봉산과 발밑 터널로 빠져나가는는  KTX 고속열차를 보며 살짝 좌틀해감.
09 ; 18. 마루금은 직진해 39번도로를 건너가나 건널 수 없으니 좌측 아래로 우회함.길건너 좌측은 공장,우측은 주유소가 보임.
09 ; 22. 서거정(호는 사가정)묘.조선초 문인으로 45년간 세조등 6명의 왕을 모시며 한명회와 같이 부귀영화를 누림.
09 : 31. 다시 돌아온 왕림휴게소위 고갯마루.P& A(주)와 건축자재백화점사이 임도따라 오름.
09 ; 37. 고개마루.임도는 넘어가고 좌측은 건달산,우측 철망따라 오름
09 ; 47. 첫봉을 넘어 우측으로 상리하산길 삼거리. 220m봉과 삼봉산이 올려다 보이고
09 ; 55. 220m봉. 바로 아래서 좌측으로 건달산과 수원여자대학을 건너다보고  봉에서 우측 꺽어 내려가고
10 : 05/10. 도상 225.2m 현지 삼봉산(三峰山). 정점 넘어엔 정자와 삼봉산유래판.운동기구들.우측으로 상리하산길.
              건너편에 도상 삼봉산(영진지도의 산봉산)과 서봉지맥의 칠보산,태봉산이 조망.
10 ; 13. 로프 내림길 ㅓ 길에서 좌측 내리(지내산)으로 .직진은 상리 1.5km.
10 ; 17. 봉(삼봉산  세봉중 2봉인듯). 뚝 떨어져 내려감.저앞에 산봉산이 높게.
10 : 22. 안부위의 밀양박공묘에서 건달산조망.
10 ; 24. 안부.지도엔 넓은길이 있으나 소로다.우측은 내리 장안이,좌측은 상기리 호련이.긴 오름길시작.
10 ; 32. 오름길 중턱에서 지나온 삼봉산과 건달산을 뒤돌아 보고
10 : 36. 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 만나 우측으로 100m 간 도상 235m봉.우측으로 내려서며 저앞쪽에 산봉산과 태행산이 보이고.
10 : 42. 앞 둔덕봉에서 우측으로 반원을 그리며 돌아가며
우측 사격장에서 총소리가 계속 들려온다.

10 : 48.  삽자안부를 건너 프로펠러 헬기장.산봉산이 코앞에.
10 : 50. 안부. 좌측 사면길 있고 급경사 산봉산 오름길이
11 : 01. 영진 산봉산(268.2m). 지리원은 삼봉산(三奉山.271m).삼각점은 안보이고  삼봉산부터 온길과 건달산, 태행산이 조망.
11 : 09. 안부. 우측에 군부대 사격장 경고문.
11 ; 13. 덕고개 갈림봉.백학고개 300m,삼봉산 430m 이정표와 군경고판.. 여기서 삼봉산은
산봉산(268.2m)을 말하는듯.

11 ; 15. ㅏ 갈림길에서 우측으로내려감. 앞에 보이는  봉은  270m봉.태행산정상 1.65km,상기리 1.4km
11 : 18. 백학고개 안부. 우측 쌍학리,좌측 호연동.삼봉산 삼거리 300m.태행산 630m.
         좀전의 태행산은 295m 실제 태행산을 말하고 여기서 태행산은 삼각점있는 오두지맥분기봉을 말하는듯.
11 ; 30/51. 로프 계단 오른 도상 태행산(太行山.266.7m.). 헬기장 좌측 오두지맥쪽에 삼각점.우측 솔숲 정점에서 점심.
         산봉산,오두지맥. 실제 태행산인 295m봉 조망.이정표(자안리 2km.백학고개 630m.오두지맥쪽은 등산로 없음)

 

 

 

08 : 14. 병점역 서쪽 버스정류장.
34번.34-1번이 뢍림휴세소까지 운행되고 수언역에서 타는것보다 빠른듯.

 34-1번 버스는 용주사-융건릉-수원대-서봉지맥 와수리-장안대를 거쳐 왕림휴게소로 간다.

 

 

 

08 ; 54/5. 왕림휴게소 종점.
남쪽 굴다리로 39번도로를 건너간다.

 

 

08 ; 54/5. 왕림휴게소앞에 있는  삼천병마골 안내판.

 

 

 

09 ; 10/4. 장안대뒤 태행지맥분기점.
표고는 약 145m되고 정점 북쪽 4~50m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며 태행지맥을 시작한다.

 

 


 

09 ; 18. 마루금은 직진해 39번도로를 건너가나 건널 수 없으니 좌측 아래로 우회한다.
길건너 좌측은 공장,우측으론 주유소와 자재백화점이가 보인다.
저앞 고개위에서 좌측은 건달산,우측은 삼봉산 가는길이다.


 

 

 

09 ; 22.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 호는 사가정(四佳亭) )묘.
조선 초기의 문인으로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조, 성종등 6명의 왕을 모시며 한명회와 같이 부귀영화를 누린 사람인데
호는 사가정(四佳亭)이고 아버지는 목사 미성(彌性)이며 어머니는 권근의 딸이다.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하여 사재감 직장(直長)을 지내고 이조 참의, 사헌부 대사헌(1478년),

의정부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1451년(문종 1)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
 부수찬(副修撰)·응교(應敎)를 역임하였다.
 
1456년(세조 2) 문과중시에 급제, 이듬해 문신정시에 장원했다.

후에 공조참의(工曹參議)가 되어 1460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가서 그 곳 학자들과 문장과 시(詩)를

논하여 해동(海東)의 기재(奇才)라는 찬탄을 받았다. 귀국 후 대사헌이 되고 1464년 조선 최초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 :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함)이 되었으며 1466년 발영시에 또 장원,

이후 6조(曹)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1470년(성종 1) 좌찬성(左贊成)에 올라 이듬해 좌리공신
 (佐理功臣) 3등으로 달성군(達城郡)에 봉해졌다.
 
여섯 왕을 섬겨 45년간 조정에 봉사하였고, 시문을 비롯한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으며 시화(詩話)의

백미인 《동인시화(東人詩話)》와 《동문선(同文選)》 등을 남겨 신라 이래 조선 초에 이르는 시문을

선집, 한문학을 대성했다.
 
덕행이 있어 세조 때 《경국대전》, 《동국통감》, 성종 때 《동국여지승람》 등 책의 편찬에 깊
 이 관여하였으며, 또한 왕명으로 《향약집성방》을 한글로 번역했다.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지리·의약 등에 이르기까지 정통했다.
 
사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경상도 대구의 구암서원에 배향되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사가정역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묘비는
조선숭정대부 좌찬성 달성군 시 문충 사가 서공거정묘(朝鮮崇政大夫 達城郡 諡文忠四佳徐公居正墓)
정경부인 선산김씨부貞敬夫人善山金氏附)라 써있고
아래로는 그 후손들의  묘들이 있다.


 

 서거정 사당인 염수재(念修齋).
솟을 대문에 걸린 展省門과 안으로 들여다 본 염수재(念修齋).
재실을 좌측에 끼고 재실뒤로 올라가면  서거정묘가 있고  저 뒷봉이 분기점이다.
 우측으로 올라가면 서봉지맥능선이다.

 

 

 

09 : 31. 다시 돌아온 왕림휴게소위 고갯마루.P& A(주)와 건축자재백화점사이 임도따라 오름.

 

 

 

09 ; 37. 고개마루.
임도는 넘어가고 좌측은 건달산,우측은 삼봉산길이다 우측 철망따라 오른다.

 

 


 

09 ; 47. 첫봉을 넘어 우측으로 상리하산길 삼거리에서 올려다 본
 220m봉(좌)과  정자가 있는 도상 225.2m 봉인 현지 삼봉산(우).

 

 

 

 

09 ; 55. 220m봉  바로 아래서 좌측으로 건달산과 수원여자대학을 건너다보고 봉에서 우측 꺽어 내려가고


 

 

10 : 05/10. 도상 225.2m 현지 삼봉산(三峰山).
정점 넘어엔 정자와 삼봉산유래판.운동기구들.우측으로 상리하산길이 있고
정자에 올라가면 건너편에 도상 삼봉산(영진지도의 산봉산)과 우측으론 서봉지맥의 칠보산과 좌측뒤론 태봉산이 조망된다.

 

삼봉산(三峰山)의 3봉은 주봉인 225.2m봉과 바로앞봉과 우측 211m봉을 말하는듯싶다 .

 

 


 

삼봉산(三峰山)의 유래.

 

 

 

삼봉산(三峰山)정자에서 본 갈 지맥.
좌측봉이 2봉,가운데가 235m봉,우측 제일높은산이 268.2m인 도상  삼봉산(산봉산) .
가운데 좌측 소나무숲뒤로 태행산이 보인다.

 

 

 

10 ; 13. 로프 내림길 ㅓ 길에서 좌측 내리(지내산)으로 .직진은 상리 1.5km.
뒤돌아 본 삼봉산정자와 이정표.

 

 

 

 

10 ; 32. 오름길 중턱에서 뒤 돌아 본  삼봉산과 220m봉(우).
좌측 3봉중 가운데봉에 정자가 있는 1봉이다.

 

 

 

10 : 48. 삽자안부를 건너 프로펠러 헬기장.산봉산(우)이 코앞에.
좌측봉은 맥에서 살짝 비켜있는 270m봉.

 

 


 

11 : 01. 영진 산봉산(268.2m). 지리원은 삼봉산(三奉山.271m).
삼각점은 안보이고  좌측뒤가 태행산.

 

 

 

11 : 01. 영진 산봉산(268.2m). 지리원은 삼봉산(三奉山.271m)에서 뒤 돌아본  지나온 지맥모습.
현지 삼봉산(좌-태봉산(뒤)-235m봉-건달산(우측).

 

 

 

영진 산봉산(268.2m). 지리원은 삼봉산(三奉山.271m)을 내려서며 본 태봉산.
맨좌측은 270m.우측앞쪽은 덕고개갈림봉.
뒤로 좌측이 헬기장이 있는  도상 태행산이고 우측 더 높은봉이 현지 태행산인 295m봉.
가운데 안부 넘어가 백합고개다.

 

 

 

11 ; 13. 덕고개 갈림봉.
백학고개 300m,삼봉산 430m 이정표와 군경고판.. 여기서 삼봉산은 산봉산(268.2m)을 말하는듯.

 

 


 

11 ; 15. ㅏ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본 태헹산.
직진하는 앞봉은 270m봉.태행산정상 1.65km,상기리 1.4km

 

 


 

11 : 18. 백학고개 안부.
우측 쌍학리,좌측 호연동.삼봉산 삼거리 300m.태행산 630m.
좀전의 태행산은 295m 실제 태행산을 말하고 여기서 태행산은 삼각점있는 오두지맥분기봉을 말하는듯.

 

 


 

11 ; 30/51. 로프 계단 오른 도상 태행산(太行山.266.7m.). 헬기장 에서 본 오두지맥.
헬기장 건너 저앞에 삼각점이 있고 우측 솔숲이 정상이다. 정점에서 점심.
이정표(자안리 2km.백학고개 630m.오두지맥쪽은 등산로 없음).

 

 


 

헬기장 에서 본 실제 태행산(295m).

 

 

 

헬기장 우측 솔숲이 정상이다. 정점에서 점심.

 

 

 

※ 태행산(太行山.266.7m)-서해안고속도로-염치고개. 3시간 10분

 

11 ; 30/51. 로프 계단 오른 도상 태행산(太行山.266.7m.). 헬기장 좌측 오두지맥쪽에 삼각점.우측 솔숲 정점에서 점심.
         산봉산,오두지맥. 실제 태행산인 295m봉 조망.이정표(자안리 2km.백학고개 630m.오두지맥쪽은 등산로 없음)
11 ; 58.  실제 태행산 앞봉 .여기서 부터는 산불지대.뒤로 지나온 태행산이 조망.
12 : 03/5. 실제의 태행산(太行山.295m). 전망대 데크.태행산 안내도.일반등산로는 좌측으로 가고 지맥은 우측으로 내려감<주의>
12 ; 07. 앞봉에 민간인 출입금지판.  직진해 봉을 넘어가면 좌측에 큰 군부대가 보이고
12 : 10. ㅓ 내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능선이 아님. <주의>마루금 우측 골짜기에 또다른 군부대가 보임.
12 ; 15. 벌목한 너덜길.우측 골짜기에 군 훈련장과 건너편 능선에 초소가 보이고 앞쪽에 지맥능선과 그 좌측으로  큰부대가 보임.
12 : 19. 수렛길 삼거리.철조망에 불발탄 경고문에 출입금지 경고판.여기서부터는 길이 시원찮음.
12 : 23. 잡목길로 살짝 올라선 깃대 밑받침있는 둔덕에서 태행산을 뒤 돌아봄.
12 ; 27. 좀더 올라간 160m봉. 녹슨 깃대있는 공터.저앞쪽에 172m봉과 또다른 172m봉이 보임.
12 : 32. 살짝 내려섰다 오른 폐 군초소봉. 이동동신탑.
12 ; 38. 2차선 포장도로.좌측에 바리케이트 있는 군부대 후문. 우측에도 군부대.우측으로 가면 도상 39번도로 양노리.
12 : 49. 172m봉. 정점 바로앞에서 좌측으로 감.
12 : 52. 잔돌봉을 넘고 - 노간주나무봉을 넘는다.
13 : 04/9.
그네가 있는 또다른 172m봉에서 태행산을 뒤돌아 보고.  길따라 우측으로 70 여m  내려가선  
13 ; 11. 타이어 계단길이 시작되면  계단길이 아닌 좌측 타이어 엮어 매단쪽으로 내려감.<주의>저앞에 철탑과 채석장이 보인다.
13 ; 21. 쭈욱 내려가서 앞 소나무 둔덕을 넘어가면 143번 철탑이 나오고
13 ; 23. 27번 철탑. 바로 아래는 39번도로 높은 절개지고 도로건너 봉을 하나 넘으면  다시 2차선 도로이고 이어 고속도로인데
           39번도로와 고속도로 사의의 마루금을 잇기는 어려워  우측으나 좌측으로 우회를 해야하는데 우측으로 가야 고생을 덜한다.
13 : 24. 27번 철탑에서  우측으로 20여m 나가면  문화유씨묘가 있고 앞에 39번도로 굴다리가 보인다.
13 ; 29. 39번도로 절개지를 좌측으로 보고 묘지길 따라 내려가 39번도로를  굴다리로 건너고
13 ; 30. 39번도를 건너면 바로 2차선 포장도로다. 도로따라 좌측 고갯마루로 쓰레기 처리장인 늘푸른 산업을 우측에 끼고 오른다.
13 : 33. 고개마루전 성일산업과   비봉폐차장  사이에서 우측으로 들어가서
13 : 34. 서해안 고속도로를 건너는 굴다리를 지나면 바로앞에 폐쇄된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으로 들어가는 굴다리가 있고.
13 : 36.
굴다리옆 철망울타리 끝으로 들어서면 넓고 넓은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이다.
            둘러 보면 뺑뺑둘러 채석장 절개지로 좌측엔 지맥인 145m봉에서 121m봉을 이어지는 지맥인데  우측은  절개지다.
           채석장안 도로따라 도상 화신목장 우측봉을 기준삼아 가는데 좌로  꺽어가다 우로 꺽어가면
13 ; 43. 채석장 정중앙부의 폐자재무덤들에서 길은 좌측으로 꺽어가고 앞은 깊은 지하구덩이
13 ; 47. 마루금 145m  다음봉 마루금 우측 절개지다. 낙석주의 표지판들이 있고  우측은 천길절벽으로 현기증이 난다.
13 : 50. 지맥 마루금 안부.앞봉은 절개지라  도로따라 우측밑으로 건너가고
13 ; 55. 도상 화신목장 안부. 마루금에 복귀했다. 지금은 북양공단.뒤로 온길을 돌아보고 우측은 천길 웅덩이.조심스럽게 앞봉을 오르고
14 : 02. 잡목봉. 우측은 여전히 채석장.앞쪽엔 도로와  채석장입구와  121m봉과  원진엔지니어링이 보이고
14 : 06/7. 2차선도로.좌측에 무봉산과 공장들. 앞쪽은 다 파먹고 복구공사한  채석장.앞 절개지는 오르기 어려워 우측으로 돌아오르기로
14 : 10. 우측 채석장입구에서 좌측 복원한 채석장 절개지로 오름.
14 : 17. 복원한 채석장끝봉. 봉위엔 원진엔지니어링이. 좌측도  공장뒤 절개지. 원진엔지니어링안으로  내려서 정문으로 나옴.
14 : 20. 원진엔지니어링앞 도로.도로따라 내려가 엄마손식당.엔진텍을 지나 미경특수강에서 좌측으로 들어가
14 ; 24.  한국아이엠뒤가 맥인데 갈 수 없으니  우측 델코코 건물로 들어가 양해를 구하고 좌측 산길로 오른다.<휴 !! >
14 : 27. 마루금능선의 박종열묘. 좌측밑은 높은 절개지라 우측으로 길없는 가시밭을 헤치고 좌측으로가면
14 : 35. 공장지대끝. 뒤로 원진엔지니어링과  멀리 태행산이 보이고 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을 만나 우측으로 다시 잡목을
14 ; 41. 121m봉. 전주이씨 묘지들이 있고  앞쪽으론 다음구간의 산들이. 우측으로 내려서고
14 : 48. 염치고개.좌측에 석재공장과 이동통신탑이 .우측 아래엔  주유소.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감.
15 : 02/06. 편의점에서 우유하나 사먹고 북양1동(염치고개) 버스 정류장도착.1004번 바로 버스가 온다.
15 : 32. 수원역 북쪽정류장도착.
15 : 39. 천안행 급행을 타고
16 : 25. 천안도착.



11 ; 58. 실제 태행산 앞봉에서 뒤 돌아 본 도상 태행산과 산봉산. 

여기서 부터는 산불지대다.

 

 

12 : 03/5. 실제의 태행산(太行山.295m). 태행산 안내도와 전망대 데크.조망은 시원찮다.
좀 나은 일반등산로는 좌측으로 가고 지맥은길이  시원찮은 우측으로 내려간다<주의>

 

 

 


12 ; 07. 앞봉엔 민간인 출입금지판.
직진해 봉을 넘어가면 좌측에 큰 군부대가 보이고

 

 


12 : 10. ㅓ 내림길에서 좌측으로 내려감.
직진능선이 아님. <주의>마루금 우측 골짜기에 또다른 군부대가 보임.

 

 


12 ; 15. 벌목한 너덜길.
우측 골짜기에 군 훈련장과 건너편 능선에 초소가 보이고

 

 

 

 

12 ; 15. 벌목한 너덜길.
앞쪽에 지맥능선과 그 좌측으로 큰부대가 보인다.
우측이 군초소봉,두번째 봉이 172m봉.맨 좌측도 172m봉.

 

 


12 : 23. 잡목길로 살짝 올라선 깃대 밑받침있는 둔덕에서 뒤 돌아 본 태행산과
수렛길 삼거리에 있는 경고판.

 

 

 

12 : 32. 살짝 내려섰다 오른 폐 군초소봉. 이동동신탑.

 

 

12 ; 38. 2차선 포장도로.
좌측에 바리케이트 있는 군부대 후문. 우측에도 군부대.우측으로 가면 도상 39번도로 양노리.

 

 


13 : 04/9. 그네가 있는 또다른 172m봉에서 태행산을 뒤돌아 보고.
길따라 우측으로 70 여m 내려가선

 

 


13 ; 11. 타이어 계단길이 시작되면 계단길이 아닌 좌측 타이어 엮어 매단쪽으로 내려감.<주의>

 

 

13 ; 11. 타이어 계단길이 시작되면 계단길이 아닌 좌측 타이어 엮어 매단쪽으로 내려감.<주의>
저앞에 철탑(좌)과 채석장(우)이 보인다.

 

 


13 ; 23. 27번 철탑.
바로 아래는 39번도로 높은 절개지고 도로건너 봉을 하나 넘으면 다시 2차선 도로이고 이어 고속도로인데
39번도로와 고속도로 사의의 마루금을 잇기는 어려워 우측으나 좌측으로 우회를 해야하는데 우측으로 가야 고생을 덜한다.

 

 27번 철탑에서 우측으로 20여m 나가면 문화유씨묘가 있고 앞에 39번도로 굴다리(하늘색 지붕뒤)가 보인다.



 

 39번도로 굴다리에서 뒤 돌아 본 27.143철탑.

 

 

 

13 ; 30. 39번도를 건너면 바로 2차선 포장도로다.
도로따라 좌측 고갯마루로 쓰레기 처리장인 늘푸른 산업을 우측에 끼고 오른다.

 

 


13 : 33. 고개마루전 성일산업과 비봉폐차장 사이에서 본 마루금고개.
지맥은 좌측 39번도로에서 건너와  고개 우측 철탑으로 이어져 서해안고속도로를 건너는데

 

 

 

성일산업과 비봉폐차장 사이에서 우측으로 들어가 저 굴다리로 서해안고속도로를 건넌다.

 

 

13 : 34. 서해안 고속도로를 건너는 굴다리를 지나면 바로앞에 폐쇄된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으로 들어가는 굴다리가 있고.

 

 

13 : 36. 굴다리옆 철망울타리 끝으로 들어서면 넓고 넓은 삼표산업 골재재취장이다.
둘러 보면 뺑뺑둘러 채석장 절개지로 좌측엔 지맥인 145m봉에서 121m봉을 이어지는 지맥인데 우측은 절개지다.

맨 좌측봉이 145m봉.

 

 

 

 

 145m봉에서 121m봉으로  이어지는 지맥인데 응선 우측은 절개지다.
우측에 도상 화신목장(현 북양공단) 파란지붕들이 보이고 맨우측 깍아지른 절벽봉이 맥이다.

 

 

 

13 ; 43. 채석장 정중앙부의 폐자재무덤들에서 길은 좌측으로 꺽어 지맥능선으로 가고 앞은 깊은 지하구덩이

 

 

 


13 ; 43. 채석장 정중앙부의 폐자재무덤들에서 길은 좌측으로 꺽어 지맥능선으로 가고

 

 

지맥능선 잴개지를 따라 우측으로 꺽어가는데 낙서주의 경고판이 있고

 

 

 우측은 채석장절벽으로 아찔아찔.

 

 

 

13 : 52. 지맥 마루금 안부에선 앞봉은 절개지라 도로따라 우측밑으로 가는데 바로앞 고갯마루까지  길이 있으니 안심이다.

저 안부가 도상 화신목장(현 북양공단)이고  저봉위에 오르면 앞뒤 조망이 좋다.

 

 


13 ; 55. 도상 화신목장 안부. 마루금에 복귀했다. 지금은 북양공단.뒤로 온길을 돌아본다.
맨 좌측이 고속도로 건너 첫봉인 145m봉이고 채석장안으로 내가 온길이 보인다.
우측은 천길 웅덩이.조심스럽게 앞봉을 오는데 겁이나서 빤반한쪽으론 못가고 좌측 가시밭으로 .

 

 

 

우측 천길 웅덩이 아래엔 양수기인지 시설물이 있고 채석당 중앙에 폐자재무덤들뒤 하얀 작은 콘테이너박스 있는곳이 굴다리다.
뒤로 제일높은 태봉산이 보이고  그앞쪽이 172m봉, 쭈욱있는 철탑들이 지맥능선이고 맨 우측봉이 145m봉.

 

 

 

내려다본 도상 화신목장(지금의 북양공단).
많은 선답자들이 채석장에서 145m봉으로 올라서는 갈 수 없으니 우측 저 고개까지 우회하느라 무진 고생들을 한모양이다.

 

 

봉에 올라 다시한번 145m봉부터북양공단까지  이어지는 지맥을 돌아보고.

 

 

 

14 : 02. 잡목봉.
우측은 여전히 채석장.

 

 

 

14 : 03. 잡목봉을 넘어서며 본 2차선도로와  이어갈 원진엔지니어링과 121m봉.
도로건너 좌측능선이 맥이나 절개지가 높으나 우측 콘테이너박스 있는 채석장입구에서 앞절개면을 따르는게 낫다.

 

 


14 : 06/7. 2차선도로.
좌측에 무봉산과 공장들. 앞쪽은 다 파먹고 복구공사한 채석장.앞 절개지는 오르기 어려워 우측으로 돌아오르기로

 

 

14 : 17. 복원한 채석장끝에서 뒤 돌아 본 2차선도로전 잡목봉(좌측 뾰족한봉).
앞쪽에서 좌우로 2차선도로가 있고 좌측 복구한 중간턱길로 오면 편하다..
봉위엔 원진엔지니어링이. 좌측도 공장뒤 절개지. 원진엔지니어링안으로 내려서 정문으로 나옴.

 

 


좌측도 공장뒤 절개지이고 저기 121m봉이 보인다.
저 절개지가 맥이고 절개지 우측위에 밀양박씨묘가 있다.

 

 

 

봉위엔 원진엔지니어링이.
공장안으로 내려설 수 밖에 방법이 없다.

 

 

 

원진엔지니어링안으로 내려서 정문으로 나왔다.

 

 


원진엔지니어링앞도로 따라 내려서고 앞 3층집이 엄마손식당 겸 매점인데 문을 닫았다
맨우측 파란 건물쪽으로

 

 

14 ; 24. 한국아이엠뒤가 맥인데 갈 수 없으니 우측 델코코 건물뒤 주차장 으로 들어가 양해를 구하고 좌측 산길로 오른다.<휴 !! >

 

 


14 : 35. 공장지대끝.
뒤로 원진엔지니어링(맨 우측 흙색집)과 멀리 태행산이 보이고 좌측에서 올라온 능선길을 만나 우측으로 다시 잡목을 오른다.
사진 좌측끝  절개지 위에 박종열묘가 있고 여기까지 오른데는 절개면위는 무서워 접근 못하고 가시밭을 헤치고 왔다.

 

 

14 ; 41. 121m봉. 전주이씨 묘지들이 있고 앞쪽으론 다음구간의 산들이. 우측으로 내려서고

 

 

14 : 48. 염치고개.
좌측에 석재공장과 이동통신탑이 .우측 아래엔 주유소.도로따라 좌측으로 내려감.

 

 


14 : 48. 염치고개 우측.

 

 


15 : 02/06. 편의점에서 우유하나 사먹고 북양1동(염치고개) 버스 정류장도착.
수원역 가는 1004번  버스가  여기저기 거치지않고 바로 수원역으로 간단다.

 

 

 

 

 북양1동(염치고개) 가는 버스 노선들.